삼라만상

  • 홈
  • 태그
  • 방명록
  • 공지

상형자 1

한문의 형식 漢文의 形式

한문으로 된 고전들이 많습니다. 이것을 읽을 때 어떻게 읽어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지 한문의 형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따로 문법을 보기 보다는 문장속에서 자연스럽게 익히는 방법이 좋습니다. 한자의 유래 漢字의 由來 전설적인 유래 - 전설의 왕인 황제 때 사관이 새와 짐승발자국을 본떠 만든 데서 기원하였다고 보는설이 있으나 근거가 불충분해 전설적인 설로서만 전해지고 있습니다. [說文解字]의 한자 9천자, [康熙字典] 4만9천자 수록, 현재의 한자는 6만자에 이릅니다. 그러므로 개인의 창작이라기 보다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서서히 증가해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은허殷墟에서 출토된 갑골문자가 가장 오래된 글자. 주周나라 선왕宣王 때 사주史籒가 만든 주문籒文인 대작(大篆) 선진시대 죽간에 쓰인 과두문자蝌蚪..

동양고전 2022.01.31
1
더보기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 삼라만상
    • 풍수지리
      • 풍수서적
      • 고전풍수
      • 생활풍수
      • 실전풍수
    • 주역
    • 명리
    • 동양고전
    • 타로 리딩
      • 메이저 마이너 카드
      • 타로 배우기
    • 원석
    • 건강
      • 코로나
    • 생활정보
      • 디지털노마드
      • 쇼핑
      • 자기개발
    • 보이차
    • 도서리뷰
    • 이슈
    • 마음
    • 미분류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