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생활풍수

풍수지리 동기감응

이지 easy 2021. 10. 27. 02:13
반응형

동기감응은 풍수지리에서 다뤄진 오래된 주제 입니다. 같은 기운은 서로 감응한다는 뜻입니다. 일종의 공명현상이기 때문에 충분히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이라고 생각됩니다. 

현재 동기감응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은 화장을 했을 경우 감응의 유무, 친자가 아닌 입양아의 경우의 동기감응의 문제, 유골이 아닌 유품이나 글이나 작품등의 감응의 유무 등이 있습니다. 

일단 고전적 풍수지리의 개념에서는 부모와 자식은 같은 기운을 나누었기 때문에 서로 감응하며 부모의 유골이 땅속의 기운을 받아 그것이 편안하면 자식에게도 그 기운이 전해지고, 불편하거나 문제가 생기면 자식에게도 그 기운이 미친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명당에 조상님의 유골을 안장해 본인이 복을 받으려는 이기적인 사람처럼 쓰이기도 하지만 사실 조상님을 편히 모시게 되면 그 뿌리가 안정되기 때문에 근원이 안정됨으로써 본인 뿐 아니라 후손까지 잘 되는 것은 그저 당연한 인과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현장을 가보면 그 후손의 상태와 직결되어 있음은 거의 명백하다고 생각됩니다. 조상의 무덤이 지금은 애물단지 처럼 여겨지고 있는 것이 많이 안타깝고요. 일이 잘 안풀린다면 친가, 외가 할 것 없이 한 번 방문해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4대까지 확인하는 것이 좋지만 최소한 부모님, 조부모님, 외조부모님 까지만이라도요. 

시대가 변해 전통적 방법 그대로 장례를 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이 시대에 맞는 새로운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정리가 되어 유골을 편히 모실 수 있게 된다면 혼란스러운 세상이 안정되는데 작으나마 기여를 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풍수지리라는 훌륭한 전통문화유산이 계속해서 지켜져서 많은 사람들이 편안한 환경에서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아래는 동기감응의 유래가 전해온 몇 가지 고전의 소개 입니다.

 

먼저 『호수경(狐首經)』 「人元篇」에 있습니다. 『호수경(狐首經)』은 한대(漢代)의 백학(白 鶴)이 쓴 것으로 전해지는 풍수경전(風水經典)입니다. 

 

東山吐焰 西山起雲 穴吉而溫 富貴延綿 其或反是 子孫孤貧

동산토염 서산기운 혈길이온 부귀연면 기혹반시 자손고빈

 

동산에 불꽃이 일면 서산에 구름이 일어난다. 

혈이 길하고 따뜻하면 부귀해지고 반대면 자손이 가난해진다. 

 

동쪽산에서 불이 나면 그 온기로 인해서 서쪽 산에 수증기가 모여 구름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같은 기운끼리 감응 한다기 보다는 인과에 의한 변화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또 다른 구절은 

 

장경(금낭경)의 구절로

蔡季通曰; 生死殊, 情氣相感, 自然默與之通, 今尋暴骨, 以生人刺血滴之而滲, 則為親骨肉, 不滲則非

채계통왈: 생사수도 정기상감  자연묵여지통  금심폭골  이생인지혈적지이삼입 칙위친골육  부삼칙비

 

채계통은 말했다. 산사람과 죽은 사람의 길은 전혀 다르지만, 그 정()과 기()는 서로 감응하여 자연히 말 없는 가운데 서로 통한다. 이제 (산사태 등으로 땅 위에) 드러난 뼈의 주인을 찾으려 할 때, 산 사람을 찔러서 피를 내어 그 뼈 위에 떨어뜨려 보아, 만약 그 피가 스며든다면 그와 친골육(親骨肉)간이고, 스며들지 않는다면 친골육 사이가 아니다.

 

一行曰: 經者, 璞引靑囊經

又曰: 生曰人, 死曰鬼, 父母死, 葬得地, 氣類相感, 而福應必及生人

일행선사는 말했다: ()이란, 곽박(郭璞)이 인용한 청낭경(靑囊經)을 말한다. 또 다른 사람은 말했다. 살아있으면 사람()이고 죽으면 귀신()이다. 부모가 돌아가셔서 땅속에 장사지내면 그 유해가 지기(地氣)를 얻으면, 같은 종류의 기()는 서로 감응하므로, 반드시 귀신의 복()은 살아 있는 사람에게도 응하게 된다.

 

是以 銅山西崩 靈鐘東應

이것은 구리 광산이 서쪽에서 무너질 때 신령한 종이 동쪽에서 응하여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사고전서에는 이 부분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漢未央宮 一日無故鐘自鳴,

東方朔曰, 必主銅山崩應, 未幾西蜀果秦銅山崩, 以日揆, 正未央鐘鳴之日也.

()나라 미앙궁(未央宮)에서 어느날 아무런 이유도 없이 종이 저절로 울렸다.

동방삭(東方朔), 이것은 반드시 구리 광산이 무너진 것에 감응한 것이라고 하였다. 과연 얼마 지나지 않아 서촉(西蜀) 지역의 진령(秦嶺) 구리 광산이 무너졌다는 소식이 와서 그 날짜를 따져 보니 바로 미앙궁의 종이 울렸던 그날이었다.

 

帝問朔何以知之, 對曰: 銅出于山, 氣相感應, 猶人受體于父母也.

帝嘆曰: 物尙爾, 況于人乎!

황제가 동방삭에게 그것을 어떻게 알았느냐?"고 묻자, 동방삭은 “(종은 구리로 만들고) 구리는 산에서 나므로, 가 서로 감응한 것입니다. 이는 마치 사람이 그 몸을 부모에게서 받는 것이나 마찬가지 이치입니다.”고 대답했다. 그 말을 듣고 황제는 사물들도 이러하거늘 하물며 사람에게 있어서이랴!” 하면서 감탄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