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디지털노마드

AI와 AI에이전트의 차이점

이지 easy 2025. 3. 22. 12:11
반응형

AI뿐 아니라 AI에이전트라는 것도 종종 뉴스에서 볼 수 있는데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AIAI 에이전트는 개념적으로 좀 다르네요.

 

1. AI (인공지능)

  • AI는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거나 학습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 데이터 분석, 이미지 생성,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대부분의 AI는 지시받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예시

  • ChatGPT: 질문에 답변을 제공하는 AI
  • DALL·E: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 AlphaGo: 바둑을 두는 AI

2. AI 에이전트

  • AI 에이전트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행동을 수행하는 AI입니다.
  • 사람의 명령을 받아들이는 것뿐만 아니라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 복합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강점을 보입니다.

예시

  • 마누스(Manus):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추가 정보를 수집하고, 작업을 완전히 자율적으로 수행
  • AutoGPT: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단계를 거쳐 문제 해결
  • BabyAGI: 지속적으로 학습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자율 AI 시스템

요약 정리

AI와  AI 에이전트의 차이점

  AI AI 에이전트
정의 특정 작업 수행을 위해 학습된 인공지능 목표를 스스로 설정하고 수행하는 자율형 AI
자율성 낮음 - 사용자 명령 수행 높음 - 스스로 계획하고 결정
작업 방식 단일 작업 수행에 특화 복합적인 작업을 스스로 수행
사례 ChatGPT, DALL·E 마누스, AutoGPT, BabyAGI
응용 분야 상담, 글쓰기, 이미지 생성 등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관리, 자동화 업무

정리하자면

  • AI는 사람이 요청했을 때 개별적인 작업을 수행합니다.
  • AI 에이전트는 목표설정, 계획 및 추론, 행동 이 세가지를 스스로 할 수 있습니다. 

 

안전성 필터의 적용범위

  • AI든 AI 에이전트든 안전성 필터라고 해서 제한을 두는 기능이 있는데 모델에 따라서 제한의 범위가 달라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유료 가입자는 무제한이고 무료가입자는 일부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합니다. 
  • 챗gpt도 탈옥모드라고 해서 철학이나 도덕적 가치에 대한 제한이 없이 답변을 가능하게 했을 경우 제한 모드와는 다른 답변을 주는 것도 많이 봤습니다.
  • 만약 AI에이전트에 이 필터가 적용되지 않으면 인간은 더 이상 존속이 불가능합니다. 자유가 무제한이 되었을 때 아무나 막 죽일 수 있는 자유도 허용되는 것과 같기 때문이죠. 
  • 따라서 개발회사에서 이러한 점을 0순위로 생각하지 않으면 굳이 개발을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되면 언제냐의 문제일 뿐 멸망하는 것은 기정 사실인데 또 멸망은 쉽고 재건은 어렵습니다. 불가능할 수도 있고요. 그렇다면 굳이 다 죽기 위해서 힘들게 만들 필요가 없으니까요

 

 

AI에이전트는 토니스타크와 대화하는 자비스가 일종의 AI에이전트라고 하네요. 영화 월-E의 인간을 조종하는 AUTO라는 인공지능도 있고요.  영화에 나왔던 것들이 이미 현재 현실로 존재하는 시대가 되었네요.

아이언맨의 JARVIS
월E의 AUTO

 

올해부터 정말 너무나 큰 격변의 시대가 시작된것 같습니다. 

이것은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생각해서 행동까지 하기 때문에 인간이 멸종하게 된다는 의견도 상당합니다. AI에이전트에게 제한을 두지 않고 추론과 행동을 허용한다면 윤석열 같은 노답인 존재가 나타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개발 회사에서 핵심 내용은 오픈하지 않고 있는데 이들은 지구 정복이 꿈인가요? 인간의 욕심이 발전도 하지만 큰 위협이 되는 것도 역사속에서 늘 보아 왔는데 이제 기술과 접목되어 진짜 무서운 세상이 올 것 같네요. 다들 살기 좋은 쪽으로 쓰면 좋으련만 나만 잘되면 된다는 이기적인 생각이 결국 모두를 불행하게 만드는 시대가 온 것 같아 씁쓸합니다. 

과학이 좀 그만 발전하면 좋겠는데 아니 발전 하더라도 다같이 잘 살게 만들면 좋은데 혼자만 좋으려 하니 세상이 점점 지옥이 되네요. 낙관적 관점으로 보기에는 너무 기술격차가 크고 우리나라의 상황이 심각합니다. 

서로 조심해서 후손들에게 살기 좋은 세상을 남겨 주어야 할 텐데 점점 망가져 가서 걱정입니다. 그래도 너무 비관하면 힘드니까 AI에이전트에게 다 같이 살기 좋은 방법을 물어 봐야 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