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통변의 순서>
1. 四柱와 운로(運路)를 정확하게 작성한다.
2. 不足하거나 없는 五行, 태과(太過)한 오행의 역할과 특성을 찿는다.
3. 사주원국(八字)의 글자별 인자(因子)분석과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글자들의
계통별 특성(생왕병사묘절지, 형충합(간합,삼합,방합,암합 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4. 日干과 다른 干支의 通根과 透干 여부, 간지와 다른 간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오행별, 得令, 得地, 得勢의 여부)한다.
특히 월령(月令)의 투간(投干) 여부를 중점으로 본다.
5. 六神과 육신과의 관계와 특성을 비교하여 파악하고 분석한다.
6. 사주의 格局用神(쓰임새, 사회활동)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7. 중요 신살에 관한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天乙貴人, 空亡, 12運星, 12神殺,
백호대살, 괴강, 양인, 원진 등)
8. 사주에 타고난 원천적인 그릇의 크기와 福德의 有無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부모의 복덕, 배우자 인연, 자식의 인연, 청소년기의 학업 운, 직업 및 적성,
사업운, 재물운, 명예의 등급과 한계, 수명과 건강 등등)
9. 大運과 歲運이 사주에 미치는 영향과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10. 사주와 대운과 세운을 통합하여 분석하고, 통변을 하고 해답을 제시한다.
1. 四柱와 運路를 정확하게 작성한다.
1) 四柱 통변(通辯)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정확한 사주와 운로의 작성이다.
2) 문점자(問占者)가 불러주는 생년월일시를 꼭 확인한다.
(나이, 띠, 生年, 음력, 양력, 生時, 胎生地)
- 사주를 작성할 때 불러주는 대로 적지 말고 꼭 확인하여 작성하는 습관을 기른다.
- 生年을 작성할 때 불러준 나이를 무슨 띠? 몇 년생인가? 를 꼭 확인하고 작성한다.
특히 음력 12월생인 경우 집에서 부르는 나이와 본인이 쓰는 나이가 다르고,
띠도 다른 경우가 종종 있으니 출생년도를 확인하여 대조해 본다.
- 간혹 주민등록에 등재된 생년월일을 알려주는 문점자도 있으니 주의할 것.
- 알려준 생일이 양력인지 음력인지를 확인한다(요즘 10-20대는 거의 양력생일을 씀)
- 태생지, 탯줄 자른 곳, 또는 성장지 등을 확인하여 참고한다.
50대 이후의 사주는 태어난 장소에 따라서 많은 변화가 있다.
(60년대 전라도 출신은 정치적 상황과 지역의 인맥이나 학맥 때문에 軍官 등의 관료직
다는 醫學이나 法曹界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기업체에서도 S그룹 등의 대기업에서는
고위직에 오르기가 쉽지 않았다.)
- 개인의 운명은 태어난 국가에 따라서도 크게 달라진다.
(생일이 같더라도 북한과 남한태생의 사회적 활동과 재산의 비교)
- 외국태생은 현지시각을 적용한다.
3) 月柱를 정확하게 세운다. (節入시간 확인, 司令)
4) 時柱 작성
- 표준시와 東京時, 夜子時와 朝子時, 썸머타임을 구분하여 정확하게 세운다.
- 시주는 東京時를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태생지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서울 태생이라면 현재 통용하는 시간에서 32분 정도 늦춘 시간을 쓴다.
- 야자시, 조자시 구분 없이 오늘 밤 11시 30분이 넘으면 다음날 日辰을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시간이 정확하다면 구분하여야 한다.
- 썸머타임이 시행되는 해에 태어난 사람은 원래의 실시간으로 환산하여 작성한다.
5) 生時를 모를 경우, 三柱로 보거나 사주를 통변하면서 정한다.
- 삼주 중심의 통변에서 時柱가 자식, 성격, 지향하는 방향, 중년 이후의 부부관계나
가정생활 등을 중점으로 파악하는 자리인 만큼,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타난 결과를
가지고 역으로 시주를 추정해보는 방법이 확률적으로 정확하다.
- 生時를 모르는 경우, 흔히 적용하는 ‘父先亡, 母先亡’ ‘잠자는 습관’ ‘부모의 나이’
‘머리의 가마 위치’ 등을 가지고 시를 추정하는 방법은 논리적으로나 확률적으로
볼 때 적용하지 않는 것이 낫다.
- 時의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 2가지 時柱를 세워 참고하되, 다가오는 시간에 중점을
두어 파악한다.(예 : ‘오전 11시쯤인데 확실히는 모르겠다.’라고 해서 巳時인지
午時인지 불분명할 때는, 다가오는 午時에 중점을 두고 파악한다.)
6) 大運 작성이 정확한지 확인해본다. (대운수, 現在 대운 확인, 접목대운, 합기대운)
- 대운이 정확하게 쓰였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섯 번째 대운 천간은 월간과 합이 되고
여섯 번째 대운 지지와 월지는 충이 되는 것을 활용한다.
- 대운 수를 정확히 파악하고 현재의 대운 간지에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辰戌丑未 대운(접목대운)이 언제 지났는지 또 다가오는지 확인하고 통변에 참고한다.
7) 부족한 五行, 空亡, 合冲, 형,충,파,해, 三災, 12신살, 貴人, 怨嗔, 羊刃 등 신살 표기.
- 되도록 사주감정지에 午行과 六神, 부족하거나 없는 오행, 공망, 삼재, 원진, 합충,
십이신살, 십이운성, 천을귀인, 양인, 문창 등을 확인하고 표시한다.
- 사주를 보는 사람은 기(氣)가 충만하고 문점자를 제압할 수 있는 힘이 있어야 한다.
8) 컴퓨터로 명조를 작성할 경우, 위 사항을 체크해 본다.
2. 不足하거나 없는 五行, 태과(太過)한 오행의 역할과 특성을 찿는다.
四柱원국에서 그 사주의 가장 특징적인 것을 빠르게 파악하여 통변하는 방법은
부족한 五行과 六神, 태과한 五行과 六神을 적용하는 것이다. 해당하는 오행과 육신은
운명의 결정적 열쇠역할을 하거나 화두(話頭)로 작용한다.
1) 부족하거나 없는 오행과 육신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전생부터 인연이 없거나 약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오행과
육신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끊임없는 생각을 많이 한다. 즉, 부족한 오행과
육신은 일생의 화두(話頭)에 해당한다고 통변하면 된다.
- 아쉬운 마음에 끝없이 채우려는 특성이 있다.
- 해당하는 오행과 육신에 대한 장점이 파괴되었거나, 가치관과 기준이 제대로 서
있지 못하고 관리도 제대로 못한다.
- 해당하는 오행과 육신에 대한 논리가 부족하거나 정신적인 결함이 있을 수 있다.
논리가 없다는 것은 막무가내, 무조건식이 될 수 있다.
편벽된 성품으로 나타나 적응력이 약하다.
- 운명의 끝없는 변수로 작용하며, 제한된 조건, 형식, 주어진 틀 안에서 쓸 수밖에 없다
.
- 때로는 함정요소로 작용하여 매사가 지연, 지체되거나 애로사항으로 나타난다.
- 인체적으로도 오장육부의 기능이 허약하거나 다른 장기에 미치는 영향이 나타난다.
- 없는 오행이나 육신을 파악할 때, 支藏干에 있으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지 원국에는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단 조건부, 한시적, 제한적으로 쓴다.
- 源神(生해주는 五行)을 살핀다.
木이 없는데 水가 많을 경우 자연스럽게 木의 작용력이 나타나는 것이다.
- 없는 六神을 통변할 때는 해당하는 육신의 자리를 꼭 참고하고 파악한다.
坤命의 경우 남편인 官星이 없으면 日支에 있는 육신이나 신살, 십이운성 등을 잘
살피고 통변한다.
- 없는 오행이나 육신의 경우 運路에서의 유무와 경과 여부를 잘 살펴 통변한다.
大運에서 없는 五行이나 육신이 보충될 경우 있는 것같이 작용을 하는데,
나타나는 작용력과 특성은 의외일 경우가 많으므로 잘 적용해야 한다.
즉, 運에서 쓰고 나면 더 약해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운의 초기에는 강하게 작용
하는데 운이 끝나갈 무렵에는 처음과 다르게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 해당하는 오행과 육신으로 인한 결과는 그 사람의 취약점이 될 수 있고 아픈
상처가 될 수 있다.
- 없는 육신 대신 다른 것이 발달하여 대타로 쓸 수 있는 경우가 가끔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세운(歲運)에서 오면 오히려 어색하거나 문제를 야기시켜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 大運에서 와도 干支로 오는지 뿌리가 없이 天干으로만
오는지 등의 상태를 잘 파악하여 통변한다.
- 부족한 것과 없는 것을 극복했을 때는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있는 사람보다 훨씬 더 두각을 나타내고 발전할 수 있다.
- 부족한 오행이나 육신의 역할 부족으로 인한 상대 오행과 육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五行 중에서도 水, 火를 파악해야 한다. 온도와 습도를 본다는 것이다.
- 水나 火가 부족하거나 없는 경우, 조후(調候)를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2) 태과하거나 혼잡한 오행과 육신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전생부터 인연이 많은 것이고, 행동이나 성격에 강한 습성으로 나타난다.
- 어쩔 수 없이 그 육신의 특성에 끌려가거나 따라가는 행동을 하면서도
그런 자기 자신을 거부하거나 싫어한다.
- 해당하는 육신에 관한 인연이 자주 바뀌거나 활동에 변화가 많다. 財星이 많으면
재물의 변화가 많거나 여자의 편력이 심하거나(남자) 활동 공간에 변화가 많다.
- 혼잡한 육신은 정편(正偏)의 좋은 이미지가 불순해지거나 단점으로 나타나기 쉽다.
吉星도 凶星을 닮아가고 불순해지는 경향이 있다.
- 해당하는 육신의 가치관이 삐뚤어져 있어 감당하기 힘들고 상대 육신을
파극(破剋)하거나 盜氣한다.
- 태과하거나 혼잡한 육신은 해당하는 육신에 대한 비교평가를 많이 한다.
- 태과하거나 혼잡한 육신은 상대 육신의 유무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고, 制化여부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 잘 제화시켜주는 육신은 그 사주에서 아주 貴한 역할을 하고
장점으로 나타난다.
즉, 제화하는 육신운이 오면 단점이 변해서 장점으로 나타난다.
3) 태과한 오행과 육신을 무조건 나쁘게 보지 말고, 주어진 상황을 받아들여 잘 극복
하고 활용하면 그 육신의 능력을 빌려 잘 살 수 있으므로 그 방법과 해결책을 찾아
통변할 줄 알아야 한다.
4) 있어도 없는 것처럼 무력해진 五行과 六神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사주원국에 나타나 있으나 역할이나 기능이 크게 약해져 있으나 마나 한 것.
- 空亡, 合去, 羈絆(묶여 있는 것), 冲이나 刑이 되어 크게 파극(破剋)된 것.
5) 없어도 있는 것처럼 보는 五行과 六神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拱挾(공협은 지지에 간격을 두지 않고 연이어 있을 때만 적용한다. 예를 들어
년지에 子가 있고 월지에 寅이 있을 때 子와寅 사이에 丑이 있는 것처럼 간주한다.)
- 공협은 밖에서 일어나는 외부적 환경에 활발히 반응하거나 육신의 역할을 뚜렷하게
하지는 않지만, 끼어들어 숨어서 정신적인 작용과 神殺로서의 역할을 나타낸다.
- 合化 된 五行, 合으로 끌어오는 것(三合에서 半合이 간격을 두지 않고 연이어 있으면
나머지 글자를 불러들이는 작용. 예를 들어 子辰이 있으면 申을 항상 끌어 들여
없어도 있는 것처럼 작용)
- 도충(水, 火에 해당). 대체적으로 水火가 地支에 3개 이상 몰려있을 때,
허공에 있는 冲되는 기운을 끌어당겨 작용하는 역할을 말한다.
3. 사주원국(八字)의 글자별 因子분석과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글자들의
係統別 특성(生旺病死墓絶地, 형충합(干合,三合,方局,암합 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1) 干支의 각 글자들이 갖고 있는 한난조습(寒暖燥濕)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2) 干支의 각 글자들이 갖고 있는 時間性과 運動性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3) 각 地支가 지니고 있는 시간적인 특성, 계절적인 특성, 동물들의 특성에서 나오는
인자(因子)들의 통변(通辯)내용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4) 寅申巳亥, 子午卯酉, 辰戌丑未 계통별로 묶어서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5) 寅卯辰, 巳午未, 申酉戌, 亥子丑의 方局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方局은 세력(힘)이 뭉쳐져 있는 것으로 태과한 五行이나 六神과 비슷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 方局은 평생을 두고 작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본 그룹이다.
전생부터 습성처럼 쌓아온 행동 양식, 정서, 또는 환경으로 습관적인 삶의
바탕이 될 수 있고, 이것이 나아가서는 그 사람에게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
- 예를 들어 亥子丑이 方局으로 印星에 해당하면 학문탐구나 연구적인 분위기,
또는 종교나 정신적인 활동이 삶의 바탕이나 도구 또는 생활방식으로 작용한다.
- 또한 申酉戌 方局(金局)을 이루었다면, 金局은 계절적으로 가을이라 쌀쌀하고
차갑고, 收, 義, 革, 殺氣, 結實, 매듭, 마무리를 지을 줄 아는 특성을 지닌 사람이다.
매사에 과단성이 지나쳐 무모하거나 결과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殺氣를 동원해서 개혁하거나 마무리하려는 특성이 있다.
- 寅卯辰 木局은 어질 仁, 솟구치는 기운, 生命力으로 시작을 잘하고 밀고나가는
힘은 있지만 안정되지 못하고 흔들리는 특성이 있다. 결단력도 약하고 매듭도
약하다. 그러나 인품은 온화하고 인정이 많고 매사에 희망적이다. 이러한 것이
습관, 정서적으로 습성으로 있을 것이다. 살아가거나 문제해결방식이 이런 식으로
나올 것이다. 그래서 그룹별, 계통별로 무엇이 어떻게 차지하고 있는지에 따라
四柱해석의 상당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6) 亥卯未, 寅午戌, 巳酉丑, 申子辰 三合이 갖는 목적과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눈만 뜨면 꿈꾸는 운동성, 방향성, 삼합의 육신에 대한 해석)
- 三合은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뭉쳐진 것이다. 三合된 육신에 대한 통변은
한마디로 요약해 자나 깨나 끊임없이 추구하는 사회적인 활동성, 운동성, 방향성,
계획으로 天干에 透干되면 더욱 더 강하게 나타난다.
7) 대세를 이룬 강력한 세력의 五行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분석한다.
- 나타나 있는 글자가 어떻게 그룹을 짓고 있고, 무엇이 대세를 장악하고 있는 가를
파악하여 통변하면 절대 틀리는 법이 없다. 사주원국에 세력이 강한 것은 버릴 수
없으니 그대로 취하되 사주를 주도하고 이끌어 나가는 것으로 통변한다.
- 단, 格局이나 身弱身强을 가리고 用神을 취하는 것은 사주통변을 세밀하게 하기
위한 일부분으로서 취하는 것이지 전부는 아니다.
4. 日干과 다른 干支의 通根과 透干 여부, 간지와 다른 간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오행별, 得令, 得地, 得勢의 여부)한다.
1) 日干과 다른 干支의 通根과 透干 여부, 간지와 다른 간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오행별, 得令, 得地, 得勢의 여부)한다.
2) 천간과 천간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 천간을 통해 정신적인 경향, 습성, 추구하는 방식, 겉으로 드러나는 사회활동 뱡향,
공간성, 物象論 등을 통변한다.
3) 천간의 그룹형성과 淸濁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合으로 묶이거나 변질, 剋으로 제어된 상태)
4) 천간과 지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 육신 관계에 너무 치우치지 말고 지지와의 관계에서 方局, 三合, 12운성의 상태를
파악하고, 육신 통변은 한 육신에 대해 일괄적으로 통변하지 말고 干支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통변한다. 예를 들어 같은 傷官이라도 甲-午의 경우와 辛-亥의
경우를 달리 보아야 한다.
5) 일지와 타 지지와의 관계를 方局, 三合, 刑冲破害, 공망 등의 신살관계를 파악한다.
6) 12神殺을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역마(驛馬), 망신(亡身), 장성(將星), 지살(地殺), 화개(華蓋) 등을 파악하여 해당하는
육신의 환경과 활동성을 통변한다.
7) 合과 刑沖 등이 섞여 을 때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분석하여 통변한다.
5. 六神과 육신과의 관계와 특성을 비교하여 파악 분석한다.
1) 육신의 그룹별 상태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 육신이 그룹별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財星이 있으면
원신(源神)이 되는 食傷이 있는지, 이끌고 지켜주는 官星이 있는지, 財星의 精神
(머리와 뿌리)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통변한다.
2) 편중(偏重)되거나 없는 六神이 상대적인 六神과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는가?
육신의 多少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 육신의 多少는 직업적인 것과 사회적인 면을 연결해서 분석하고 통변한다.
- 財官印食중 많은 육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육신의 상태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예를 들어 財星이 많은데 食傷이 적은 사람, 官星이 적은 사람, 比劫이 적은 사람
등이다.
- 태과한 육신은 喜用神이 아니더라도 버리거나 이길 수 없는 조건에 해당하므로
그 특성을 잘 파악하고 분석하여 통변한다. 예를 들어 황토가 많은 지역에서는
좋든 싫든 간에 황토로 집을 짓거나 황토를 이용한 사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3) 年月日時에 놓여있는 육신을 위치별 입장에서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4) 凶神(殺傷梟刃)은 상대 六神을 꼭 살핀다.
5) 나이와 성별, 직업에 따른 육신의 통변을 다르게 한다.
6. 사주의 格局用神(쓰임새, 사회활동)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1) 월지를 중심으로 한 격국용신을 정하고 用神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순용과 역용)
- 격국용신은 해당 사주의 사회성, 대인관계, 직업을 파악하고 사주그릇의 크기,
命의 高低와 淸濁을 파악하는데 가장 탁월하다. 특히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을
비롯한 진학의 통변에 중요하게 활용할 수 있다.2) 성격(成格)과 파격(破格)을 파악하고, 파격이라면 파격의 정도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3) 格의 用神은 格을 살려주는 글자로서 해당 사주에서 가장 필요한 글자로 용신을 정한다.
- 이때에 특히 주의할 점은 日干의 强弱과 대운의 行路는 최대한 배제한다. 즉, 用喜神은
運을 의식하지 말고 四柱 자체에서만 찾아볼 필요가 있다. 運을 먼저 보려 하면 四柱
파악이 잘 안 된다. 大運은 접어두고 四柱자체에서 끄집어내려고 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4) 二重格에 해당한다면 이중격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사회활동에 나타나는 先後를
구분하여 통변한다.
5) 格이 불분명하거나 대세를 이룬 육신이 없는 짬뽕 사주로 분류가 된다면 官印局,
食傷局으로 단순화시켜 파악하거나 분석하고, 또는 抑扶的인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통변한다.
- 月支를 기준으로 어떠한 六神이 주도권을 잡고 움직이는 것을 살핀다.
원국에서 대세를 장악하거나 그룹을 이룬 것이 해당 사주의 사회성을 끌고 나가는
경향이 강하다. 이것이 格局用神을 대신할 수 있는 파악방법이다.
7. 天乙貴人, 空亡, 三災, 陽刃, 12運星, 12神殺 등 제반 신살에 관한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1) 어떤 글자가 貴人 등의 吉神이 되고, 어떤 글자가 나쁜 뜻을 가진 凶殺이 되는지를
파악하여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자료나 경험을 통하여 실증하여 본다.
특히 숨은 작용의 변화를 생각해 본다.
2) 天乙貴人
- 어느 六神, 어느 자리에 있느냐에 따라서 역할이 많이 달라질 수 있다. 貴人이 있는데
그 貴人의 상태를 분석(空亡, 合冲)하여 귀인이라도 다 똑 같은 역할을 하지 않음을
파악하고 통변한다.
3) 空亡에 관한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五行, 六神, 神殺, 위치별 空亡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세운(歲運)에서 空亡運이 왔을 때 일어나는 일들, 사건 사고의 근접성과 세밀하게
파악하고 분석하며, 탈공(脫空)시 일어나는 현상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공망의 세밀한 통변은 별도의 공망 자료를 참고한다.
4) 三災에 관한 年의 변화와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12運星과 三合의 특성을 제대로 공부하면 三災는 저절로 알 수 있으므로
십이운성과 삼재의 구성에 관한 이론적인 근거를 파악하고 통변한다.
- 三災를 계절 개념, 시간 개념으로 바꾸어서 통변하거나, 사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자와 연결시켜 통변하는 요령도 적용해 본다.
- 삼재에 해당하는 운에는 보편적으로 좋지 못한 일이 많이 발생하지만, 福三災라
해서 逆으로 예상외의 吉慶事가 있는 경우도 있다.
복삼재에 해당하는 사주는 대체적으로 偏重된 사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삼재에 해당하는 운에는 吉한 육신이라도 불안과 동요 속에 기복을 가지고
작용하며, 그 능력도 주도권이 약한 상태에서 나타난다. 새끼(用神) 삼재)
8. 사주에 타고난 원천적인 그릇의 크기와 福德의 有無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1) 부모의 복덕과 배우자 인연, 자식의 인연 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年月柱의 財星이나 印星의 기운으로 어릴 때 부모덕과 부모 복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예를 들어 年月柱에 강한 겁재가 자리 잡고 있다면 부모가 유력하더라도 자신은 혜택을
보지 못하거나 객지로 출타, 또는 독립된 환경에서 사는 경우가 많다.
- 처와 자식의 인연, 有無, 德의 유무, 자식의 多少를 생각해 본다.
2) 청소년기의 학업운, 직업(사업 또는 직장 인연, 재물 또는 명예의 등급과 한계)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학업운은 格局用神의 짜임새, 두 번째 大運과 年月柱에 어느 六神이 있는지 등을
참고하여 적성과 전공의 성향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전공과 연결시켜 직업과 재물의 수단과 방법, 경로 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재물과 명예의 상한선을 파악하고 분석한 후에 대운을 살펴 실현 가능성을 통변한다.
3) 수명(壽命)의 장단(長短)과 건강에 관한 특징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9. 大運과 歲運이 사주에 미치는 영향과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1) 사주원국의 通(기본적인 파악과 분석)이 가장 중요하고 어렵다.
사주를 통달(通達)하면 대운과 세운(歲運)은 쉽게 분석할 수 있다.
2) 大運은 사주의 연속으로 보충작용을 하며, 月柱에서 나온 계절의 변화로 空亡 등의
통변은 크게 해당하지 않는다.
- 대운은 10년 동안 사주에 영향을 주는 계절이요, 주거지나 환경으로 파악하고,
사주를 관리하는 위탁관리자로 통변하며, 세운은 그런 환경에서 일어나는
기후변화나 사건 사고 등으로 통변한다.
3) 辰戌丑未 대운, 合氣 대운, 여섯 번째 冲대운, 막 지나간 대운, 앞으로 다가오는
대운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4) 해당하는 대운의 六神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 분석한다.
5) 대운이 좋고 세운이 나쁘면 그 작용력은 약하며, 대운이 나쁘고 세운이 좋아도
그 작용력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10. 사주와 대운과 세운을 통합하여 분석하고, 문접자(問占者)의
궁금사항을 파악하여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것이 결론이다.
1) 사주원국이 잘 짜여져 있는 경우에는 대운이나 세운 중에 어느 하나만 좋아도
운을 잘 활용할 수 있지만, 사주원국이 나쁜 명은 대운 세운 중 한 가지만 나빠도
고통과 재난을 당하기 쉽다.
2) 사주원국과 대운 세운에서 이루어지는 合冲의 변화와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이하참고자료로 활용하십시요
지지와 지장간
천간의 전쟁은 오직 스스로 가능하나 지지의 전쟁은 불과 같아서 다급하다. 천간에서 甲이 庚을 만나고 乙이 辛을 만나면 소위 천전(天戰)이라고 한다. 그러나 지지에서 따라주고 고요하면 害가 없다. 천간은 동적이며 지지는 정적이기 때문에 만일 천간의 기세가 집중되어 있다면 지지가 안정이 되어야 하는데 制化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천간의 싸움은 오히려 가능하다고 하는 것이다.
지지에서 寅이 申을 만나고 卯가 酉를 만나면 지전(地戰)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천간이 힘을 발휘하기가 불능이니 그 세력이 흉하게 미친다. 지지의 기운이 복잡하면 비록 천간이 거스르지 않고 고요해도 제화가 어렵다. 그래서 지전은 불같이 급하다고 하였다. 이런 까닭에 천간은 動하나 靜하지 않으며, 靜한 즉 더욱 집중이 되므로 지지는 마땅히 靜해야 하며, 動하면 아니 되니 靜한 즉 쓸모가 있으나 動한 즉 천간의 뿌리가 뽑히게 되는 것이다
양의 지지는 동적이고 강하여 재앙과 상서로움이 신속하게 나타나며, 음의 지지는 정적이고 전일하면 나쁜 일과 좋은 일이 늦게 나타난다.
子寅辰午申戌은 陽의 지지인데 그 성정은 동하고 그 세력은 강하며 그 발생이 신속하다.
그리하여 재앙과 상서로움이 빨리 나타난다.
丑卯巳未酉亥는 陰의 지지인데 그 성정은 고요하고 전일하면 발생이 빠르지 않고 좋고 나쁜 것도 늦게 나타나니 길흉의 결과가 1년이 지난 후에 알 수 있다.
子中癸水와 午中丁火를 말할 것 같으면 體는 양이고 用은 음이며, 巳中丙火와 亥中壬水는 체는 음이고 용은 양이니 분별해야한다.
剛柔와 建順의 이치도 천간과 다르지는 않으나 生剋制化는 그 이치가 다단하다. 천간은 하늘을 상징하고 지지는 땅을 상징하는데, 대지가 초목을 키우고 백과를 풍성하게 하는 것은 하늘의 양기를 받아들였다고 보는 것이 음양지도이다. 명리학에서도 땅의 상징인 지지속에 하늘의 상징인 천간을 포함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지장간이다. 지장간은 여기, 중기, 정기로 삼분된다. 여기는 앞 지지의 오행과 동일한 간을 취하여 지의 절기는 변했으나 아직도 앞 절기의 지의 영향하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중기는 여기부터 정기에 이르는 중간의 기로서 그 지가 합하여 오행화하는 간을 취한 것이고, 정기는 그 지가 지닌 오행과 동일한 간을 말한다.지장간의 여기, 중기, 정기의 각간이 보유하는 지속에서의 구간을 장간분야라고 하는데, 그 분야는 십이지마다 다르다. 각 월의 지장간은 아래와 같다.
정월 ; 寅月: 입춘(立春) 후 7 일간은 戊土, 7 일간은 丙火, 16 일간은 甲木이 사령한다
2월 ; 卯月: 경칩(驚蟄) 후 10 일간은 甲木, 그 후의 20 일간은 乙木이 사령한다.
3월 ; 辰月: 청명후 9 일간은 乙木, 후 3일간은 癸水, 그 후 18 일간은 戊土가 사령한다.
4월;巳月: 입하 후 7 일간은 戊土, 그 후 7 일간은 庚金,그후 16 일간은 丙火가사령한다.
5월; 午月: 망종 후 10 일간은 丙火,후 9 일간은 己土, 그 후 11 일간은 丁火가 사령다.
6월;未月: 소서후 9일간은 丁火, 그후 3 일간은 乙木, 그 후 18 일간은 己土가 사령한다.
7월;申月:입추(立秋)후 7 일간은 己土, 그후 7 일간은 壬水, 16 일간은 庚金이 사령한다.
8월; 酉月: 백로(白露) 후 10 일간은 庚金, 그 후 20 일간은 辛金이 사령한다.
9월 ;戌月: 한로후 9일간은 辛金, 그후 3일간은 丁火, 그 후 18 일간은 戊土가 사령한다.
10월;亥月:입동후 7일간은戊土, 그후 7 일간은 甲木, 그 후 16 일간은 壬水가 사령한다.
11월 ; 子月: 대설(大雪) 후 10 일간은 壬水, 그 후 20 일간은 癸水가 사령한다.
12월;丑月:소한 후 9일간은 癸水, 그후3일간은 辛金, 그 후 18 일간은 己土가 사령한다.
지장간의 일수는 각 명리서마다 약간씩 다르며, 심지어 시간까지 세밀하게 명시한 명리서도 있으나,
지장간의 사령의 날짜수에 너무 집착할 필요는 없다.
지장간이란 천간이 지지속에 감추어져 있는 것이며, 천간으로 체(體)를 삼고 지지로 용(用)을 삼아 음양을 정밀하게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감리진태(坎離震兌), 동지와 하지와 춘분과 추분의 사계가 나뉘어지고, 해와 달의 차고 기울어지는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지지 속에 감추어져 있는 지장간의 천간은 고요하게 쓰일 때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장간에 감추어 있던 10간이 천간에 투출(透出)하면 그 작용이 클 것이다.
그러므로 천간은 지지에 뿌리를 박는 통근(通根)해야 좋고, 지장간(支藏干)은 천간에 투출해야 귀하다.
甲乙木이 寅卯를 만나면 당연히 신왕(身旺)하게 되고, 亥辰未를 만나도 역시 뿌리를 박게 된다. 미의 묘고를 만나도 통근하게 된다. 壬癸水가 고(庫)의 진(辰)을 만났는데 천간에 투출했다면 마찬가지로 쓸 수가 있으니, 癸水는 지장간에 숨어 있고 壬水는 천간에 투출했으니 壬水가 지지에 통근한 것이 된다.
土는 辰戌丑未의 本氣이니 묘고라고 할 것이 없고, 금수목화(金水木火)는 고(庫) 속에 있다. 지장간은 월지가 중심이고, 참고로 일지는 보아도 년지와 시지는 진술축미를 제외하고는 장생인 중기와 당왕한 본기인 정기만을 보아야 한다.
무기토는 사에서는 역량이 강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인신해에서는 매우 약하다.
因緣法 乾命論 總整理
柱中에 偏財, 正財가 混雜되어 透出하면 偏財를 合去하거나 沖去하는 配星을 因緣한다.
日干의 財星이 入墓時는 이를 開庫하는 띠를 因緣한다.
日支에 暗藏된 財星이 있으면 그대로 透出시켜 因緣한다.
柱中에 財星이 透出하고 無根하여도 無條件 財星의 建祿支를 因緣한다.
柱中에 比肩이나 劫財가 없고 日干이 身弱하면 日干의 建祿支를 因緣한다.
財星이 透出하고 地支가 空亡이면 空亡 地支를 相沖하는 十神을 因緣하고
地支가 財星인데 空亡이면 空亡인 地支를 그대로 因緣한다.
日支에 財星이 있으면 因緣이 되고 대개는 用神이라도 因緣이 된다.
財星이 混雜되고 桃花殺, 劫殺, 亡身殺, 등을 同伴하거나 日時가 相沖, 怨嗔殺인
경우에는 本妻偕老하기는 어려우니 이런 경우에는 日干의 特性上 可及的 財星을 定配로 하고 다소 問題가 있다고 생각되면 比劫으로 因緣한다.
四柱가 混濁하고 日支가 比劫이면 그 比劫을 因緣한다.
淸格이면 財星祿을 因緣하고 濁格이면 比劫이 因緣이다.
財星이 混雜되고 複雜하면 正財를 因緣한다.
因緣法 坤命論 總整理
柱中에 偏官, 正官이 混雜되어 透出하면 偏官을 合去하거나 沖去하는 配星을 因緣한다.
日干의 官星이 入墓時는 이를 開庫하는 띠를 因緣한다.
日支에 暗藏된 官星이 있으면 그대로 透出시켜 因緣한다.
柱中에 官星이 透出하고 無根하여도 無條件 官星의 健綠地를 因緣한다.
柱中에 比肩이나 劫財가 없고 日干이 身弱하면 日干의 建祿支를 因緣한다.
官星이 透出하고 地支가 空亡이면 空亡 地支를 相沖하는 十神을 因緣하고
地支가 官星인데 空亡이면 空亡인 地支를 그대로 因緣한다.
日支에 官星이 있으면 因緣이 되고 대개는 用神이라도 因緣이 된다.
官星이 混雜되고 桃花殺, 劫殺, 亡身殺, 등을 同伴하거나 日時가 相沖, 怨嗔殺인
경우에는 本夫偕老하기는 어려우니 이런 경우에는 日干의 特性上 可及的 官星을
定配로 하고 다소 問題가 있다고 생각되면 比劫으로 因緣한다.
四柱가 混濁하고 日支가 比劫이면 그 比劫을 因緣한다.
淸格이면 官星祿을 因緣하고 濁格이면 比劫이 因緣이다.
官星이 混雜되고 複雜하면 偏官을 因緣한다.
傷官이 見官하면 得子別夫하게 되니 通關하는 財星을 因緣하거나
傷官과 干合하는 因緣이 좋다.
食傷이 太旺한 境遇에는 食傷을 因緣하거나 印綬를 因緣한다.
傷官이 旺盛하여 官星을 剋할 때는 그 官星을 合去하여 保護하는 因緣을
만나거나 進神, 退神을 因緣한다.
二字 因緣法
子子 ~ 丑 因緣
丑丑 ~ 子 因緣
寅寅 ~ 亥 因緣
卯卯 ~ 戌 因緣
辰辰 ~ 酉 因緣
巳巳 ~ 申 因緣
午午 ~ 未 因緣
未未 ~ 午 因緣
申申 ~ 巳 因緣
酉酉 ~ 辰 因緣
戌戌 ~ 卯 因緣
亥亥 ~ 寅 因緣
調候 處理上 沖하는 十神을 因緣하는 特別한 경우도 있다.
子子 - 午.
丑丑 - 未.
寅寅 - 申.
卯卯 - 有
辰辰 - 戌.
巳巳 - 亥.
午午 - 子.
未未 - 丑.
申申 - 寅.
酉酉 - 卯.
戌戌 - 辰.
亥亥 - 巳.
透出因緣着根法
坤命.
柱中에 財星이 透出하고 無根하면 財星의 建祿支를 先取하여 因緣하고
正財와 偏財가 混雜되어 透出하면 正財는 그대로 두고 偏財를 沖去하거나
合去하는 因緣을 만나야 한다.
坤命
柱中에 官星이 透出하고 無根하면 官星의 建祿支를 先取하여 因緣하고
正官과 偏官이 混雜되어 透出하면 正官은 그대로 두고 偏官을 沖去하거나
合去하는 因緣을 만나야 한다.
日干別 因緣
乾命.
甲日生 ~ 己 - 午 因緣
乙日生 ~ 甲 - 丙 - 戊 - 己 因緣
丙日生 ~ 辛 - 壬 - 亥 - 酉 因緣
丁日生 ~ 申 - 午 因緣
戊日生 ~ 亥 - 子 - 巳 因緣
己日生 ~ 壬 - 癸 - 亥 - 午 因緣
庚日生 ~ 丁 - 己 - 午 - 卯 因緣
辛日生 ~ 壬 - 寅 因緣
壬日生 ~ 丁 - 己 - 巳 - 午 因緣
癸日生 ~ 丙 - 巳 - 午 因緣
坤命
甲日生 ~ 丁 - 辛 - 午 因緣
乙日生 ~ 甲 - 丙 - 庚 - 申 因緣
丙日生 ~ 癸 - 巳 - 亥 因緣
丁日生 ~ 戊 - 壬 - 亥 因緣
戊日生 ~ 乙 - 辛 - 卯 因緣
己日生 ~ 甲 - 壬 - 己 - 亥 因緣
庚日生 ~ 乙 - 丁 - 癸 - 午 因緣
辛日生 ~ 庚 - 壬 - 寅 因緣
壬日生 ~ 己 - 巳 - 丑 因緣
癸日生 ~ 丙 - 戊 - 庚 - 巳 因緣
조후론(調候論)
調候法은 命理學의 最高法으로서 모든 法則에서 最優先하여 適用시킨다.
季節인 月柱와 日干의 特性과 四柱의 構成을 살펴서 調候를 定한다.
可能하면 月支三合, 用神三合, 調候論으로 連結하여 定配를 定한다.
用神이 透出하고 無根하여도 그대로 着根시켜 定配한다.
도삽도화(倒揷桃花)
乾命 ~ 財星이 깨끗하면 年上女人을 定配한다.
乾命 ~ 財星이 濁하면 年上女人과 離別한다.
坤命 ~ 官星이 깨끗하면 年下男子를 定配한다.
坤命 ~ 官星이 濁하면 年下男子와 離別한다.
進神法 과 退神法
柱中에서 子午沖, 寅申沖, 卯酉沖, 巳亥沖이 있거나 寅巳刑殺, 巳申刑殺, 子卯刑殺
等等이 있을 때 使用하는 法則이다.
子午沖 -
子水가 退神하여 亥水를 因緣하면 午火는 丁火요. 亥水는 壬水로서 丁壬合木으로
子午沖이 解消되고 丁火와 午火가 天乙貴人은 亥水로서 幸福을 누린다.
午火를 進神하여 巳火를 因緣하면 子水는 癸水요. 巳火는 丙火로서 癸水와 巳火는
天乙貴人이 되고 巳中 戊土가 戊癸合을 이루기 때문에 子午沖이 解消된다.
寅申沖 -
寅木을 進神하여 卯木을 因緣하면 申金은 庚金이요. 卯木은 乙木이기 때문에
乙庚合金으로 寅申沖이 解消되고 乙에 申은 天乙貴人 合이 됨으로 좋은 因緣이 된다.
申金을 進神하여 酉金을 因緣하면 寅木은 甲木이요, 丙火로서 酉金은 辛金이라 寅申沖이 解消되고 辛. 寅은 天乙貴人이기 때문에 좋은 因緣이 된다.
卯酉沖 -
卯木을 退神하여 寅木을 因緣하면 酉金은 辛金이요. 寅木은 甲木이요. 丙火로서
甲辛 陰陽. 丙申合水로서 卯酉沖이 解消되고 天乙貴人을 이룬다.
酉金을 退神하여 申金은 因緣하면 申金은 庚金이요. 卯木은 乙木이라 乙庚合金으로 卯酉沖이 解消되고 天乙貴人의 關係를 이루기 때문에 좋은 因緣이 된다.
巳亥沖 -
巳火를 進神하여 午火를 因緣하면 亥水는 壬水요. 午火는 丁火로서 丁壬合木으로
巳亥沖이 解消되고 天乙貴人이 됨으로서 좋은 因緣이 된다.
亥水를 進神하여 子水를 因緣하면 子水는 癸水요. 巳火 丙火로서 癸에 巳는
天乙貴人이 되어 좋은 因緣이 된다.
丑未沖 -
丑土를 退神하여 子水를 因緣하거나 未土를 退神하여 午火를 因緣하면 子丑合.
午未合으로 丑未沖이 解消된다.
六沖과 三刑殺은 六合 또는 三合, 方合을 연연하는데 用神을 반드시 보아야 하고
居住地域도 대단히 重要하다.
辰戌沖 -
子辰合을 因緣하고 午戌合을 因緣하면 子辰合水 午戌合化로 辰戌沖이 解消된다.
六沖과 三刑殺은 六合 또는 三合. 方合을 因緣하는데 用神을 반드시 보아야 하고
居住地域도 대단히 重要하다.
干合과 支合法
合이란 新生體로서 生産되고 變化한다.
兩天干이 干合하면 陰五行으로 變化한다.
甲己合은 己土 ~ 己甲合은 戊土
乙庚合은 庚金 ~ 庚乙合은 辛金.
丙申合은 癸水 ~ 辛丙合은 壬水.
丁壬合은 甲木 ~ 壬丁合은 乙木.
戊癸合은 丁火 ~ 癸戊合은 丙火.
陰天干이 干合하면 陽五行으로 變化한다.
六合 卽 支合은 陽五行으로 變化한다.
乾命 四柱에서 干合이든 支合이든 化五行이 日干의 財星이면 可能한 定配로 判定하고
坤命 四柱에서 干合이든 支合이든 化五行이 日干의 官星이면 可能한 定配로 判定한다.
時柱가 本人의 年柱와 5~6年 差異 이내에 該當하면 반드시 本人의 配偶者이니 놓치지 말아라.
時干 또는 時支中에 한자(一字)가 用神일 경우에 그 一字를 머금은게 配偶者의 띠가 된다.
日支가 무슨 十神이든 日支中 暗藏된 地藏干이 配偶者로 連結되고 日支 그대로 因緣이 된다.
用神이 因緣이다.
柱中에서 配偶者의 十神이 因緣이 된다.
合者가 因緣이 된다.
劫財를 退神시키고 比肩을 因緣하고
傷官을 退神시키고 食神을 因緣하고
偏財를 退神시키고 正財를 因緣하고
偏官을 退神시키고 正官을 因緣하고
偏印을 退神시키고 正印을 因緣한다.
공망법(空亡法)
柱中에 있는 財星이 空亡이면 空亡인 財星을 因緣한다.
柱中에 있는 官星이 空亡이면 空亡인 官星을 因緣한다.
乾命이 柱中에 財星이 透出하거나 財庫가 있으면 財庫를 相沖하는 띠를 因緣한다.
坤命이 柱中에 官星이 透出하거나 官庫가 있으면 官庫를 相沖하는 띠를 因緣한다.
乾命 丙辰, 丁巳 日生은 丑土가 空亡인데 丑土는 財庫로서 開庫하는 未, 年生을 因緣한다.
坤命 甲寅, 乙卯 日生은 丑土가 空亡인데 丑土는 官庫로서 開庫하는 未, 年生을 因緣한다.
乾命 戊戌, 己酉 日生은 辰土가 空亡인데 辰土는 財庫로서 開庫하는 戌, 年生을 因緣한다.
坤命 丙申, 丁酉 日生은 辰土가 空亡인데 辰土는 官庫로서 開庫하는 戌, 年生을 因緣한다.
乾命 庚寅, 辛卯 日生은 未土가 空亡인데 未土는 財庫로서 開庫하는 丑, 年生을 因緣한다.
坤命 戊子, 己丑 日生은 未土가 空亡인데 未土는 官庫로서 開庫하는 丑, 年生을 因緣한다.
乾命 甲子, 乙丑 日生은 戌土가 空亡인데 戌土는 財庫로서 開庫하는 辰, 年生을 因緣한다.
坤命 壬申, 癸酉 日生은 戌土가 空亡인데 戌土는 官庫로서 開庫하는 辰, 年生을 因緣한다.
사주의 해석
1.천간과 지지의 희기(喜忌)가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한다.
->천간과 지지는 이름도 다르고 갯수도 다르다.
->그 외면적 조건들이 다르다면 당연히 내용도 다르니 결국 작용력도 다른 것이다.
2.천간은 상대적으로 氣에 가깝고 지지는 상대적으로 質에 가깝다
->하늘에는 각종 氣로 가득찼으며, 산소.수소.질소.아르곤 등등 원소적 氣體로 가득하고
->땅에는 그 원소들이 결합된 물체로 가득하다.
3.천간만의 희기신을 먼저 결정해야 한다.
->천간은 氣의 형태이므로 천간에 떠있는 오행글자의 갯수에 의하여 강약이 결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통근을 보고 뿌리를 보는 것이다.
->따라서 천간의 강약을 찾고 그에 따른 희기를 찾는 것은 복잡하다.
4.다음에는 지지만의 喜忌를 찾아야 한다.
->지지는 質(物)에 가까우니 수량적 많고 적음에서 바로 강약이 결정 되므로 매우 쉽다.
->갯수를 세어서 많은 것은 강한 것이고, 없거나적은것은 약한것
->정기 글자로 있는 오행은 강하고 지장간속의 오행은 약한 것이다.
5.행운에서 오는 육십갑자는 천간과 지지가 반드시 결합해서 온다
->예를 들어서 절대로 甲이 따로 오지 않는다.
->甲子, 甲寅, 甲辰, 甲午, 甲申, 甲戌 등...반드시 지지를 달고 오는 것이다.
->이렇게 운에서 오는 것은 반드시 지지에 의하여 천간의 힘이 구속 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것이 바로 12운성이다!
->같은 甲이라도...
->甲寅의 甲과
->甲申의 甲은....힘이 절대로 다른 것이다!
6.천간의 희기를 찾고...다음에 행운의 희기를 보는 경우에
->만약 甲이 희신이라면...甲申으로 오는 甲은 힘이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7.천간은 외부로 나타나는 기운이다
->아침에 출근하는 사람이 마누라와 싸우고 왔다면 얼굴에 나타나는 암울함을 숨기기 어렵다
->천간에 인성이 희신인 사주는 무식하다고 말하거나 학력이 낮음을 지적 당하면 참지 못한다.
8.지지에서는 형충회합으로 동(動)한다
->동하거나 깨어지는 지장간의 오행이 원국지지에서 부족한 것인지 남아도는 것인지 살펴야 한다
->아울러 그 지장간이 천간에서 이미 판정된 희기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살펴야 한다
천간합은 어떻게 해서 만들어진 것인가?
천간합(天干合)
* 甲己合 土
* 乙庚合 金
* 丙辛合 水
* 丁壬合 木
* 戊癸合 火
천간합은 명리학의 가장 중요한 개념이면서도 그 성립원리는 베일에 싸여있다.
아무도 언급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가설의 형태라도 그 궁구함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전통적으로 중국인들의 우주관은, 음양을 포함한 주역적 원리에 기초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전에 언급했듯이 소우주인 인간의 다양하고 복잡한 활동과 변화를 표상하는 명리학도 주역적 배경을 제외시키고는 논할 수 없다.
천간과 지지는 기본적으로 '시간의 흐름'을 표시하기 위해서 창조된 기호체계이다.
시간의 흐름이란 태양과 지구의 상관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변화를 지칭하며, 그것은 시간. 날짜. 계절. 년도의 직선적. 순환적 변화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것의 집합개념은 필연적으로 책력 즉 칼렌더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陽 陰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先.後의 개념, 방향의 개념
우주의 氣의 변화를 상징하는 태극도를 본다면. 양(陽)이 발생하여 커지면 음(陰)이 발생하고 다시 음(陰)이 극성하면 양(陽)이 발생하면서 끊이지 않고 순환적으로 계속된다.
甲乙丙丁戊는 陽이고 봄 여름이고 東南이며,
己庚辛壬癸는 陰이고 가을 겨울이며 서북이다.
태극도를 상상하며 그 발생순서적 형태로 본다면, 甲과己는 음양의 비율이 정반대로 구성된다.
甲이....양 90% 음10% 라면
己는....음 90% 양10% 이다.
甲이 산성이라면, 己는 알카리성이다. 갑과 기를 포개서 합해 놓으면, 중화되어 버린다. 천간 합이 되면 자신들의 속성을 잃어버리는 것은 이 같은 원리에서 추출되었을 것이다.
甲 丙 戊는 양중 양간이고 己 辛 癸는 음중 음간이고
乙 丁은 양중 음간이다. 庚 壬은 음중 양간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왜 甲己합이 土를 이루는가에 대한 의문이다.
먼저 하도와 낙서를 살펴보자.
그 당시의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주역은 곧 사이언스(science)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해답은 위 글에서의 10 천간의 직선.평면적 개념과, 하도. 낙서의 우주질서적 개념과의 연관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그 원리를 그들은 찾아냈던 것이다!!!!!
丙 丁
7 2
甲 乙 戊 己 庚 辛 여기에서 금화교역의 변화는,丙丁과 庚辛의 숫자 바뀜
3 8 5 10 9 4
壬 癸
1 6
1.甲+己 -- 3+10 = 13
2.乙+庚 -- 8+ 9 = 17
3.丙+辛 -- 7+ 4 = 11
4.丁+壬 -- 2+ 1 = 3
5.戊+癸 -- 5+ 6 = 11
우선 이 변화에서 눈에 띄는 것은, 丁壬합은 그 숫자의 합이 10을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머지는 다 10 이 넘는다.
1) 丁壬 합 = 3
=>3 은 甲목의 고유숫자다. 따라서 丁壬合은 木이다.
10 이라는 것은 1~9를 넘어서서 어떤 것의 완성단계를 한번 거친 것이다.
10은 이미 완전함이다. 丁壬은 그 과정을 거치지 않은 유일한 合이다. 덜 숙성된 것이다.
성숙하려고 한다. 남녀가 합해야 진짜 어른으로 숙성된다. 남녀 합이요, 애정합이다
2)乙庚合= 17 : 10을 빼면... 7은 금화교역으로 庚금의 고유숫자다. 乙庚합은 金이다.
3)丙辛合= 11 : 10을 빼면... 1은 壬수의 고유숫자다. 따라서 丙辛합은 水다.
#.甲己와 戊癸는 己와 戊라는 토(土)라는 특수한 상황이 개입되어 있다.
土는 만물을 실질적으로 탄생시키는 기운이다. 나머지 수.목.화.금은 土의 조절.육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실질적 만물의 형태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生生의 과정을 겪게 된다.
4)甲己合= 13
=> 여기서 10은 제외시키고 남은것이 3이다.
=> 3은 木이다.
=> 己라는 土가 개입되었으니 조절과 육성과정을 통과하면서,陰 陽의 마디를 거치게 된다.
=> 즉 두 번의 生化 과정을 겪는 것이다.
=> 3 ->木 목생화 화생토! 따라서 甲己합은 土다.
5)戊癸 合 = 11
=>여기서 10은 제외시키고 남은 것이 1이다
=>1은 水다.
=>戊라는 土가 개입되었으니 陰.陽 두마디의 生化 과정을 겪는다.
=>1 -> 水 수생목 목생화 따라서 戊癸합은 火다.
그리고 중국인들의 사유는 추상적 관념을 회피한다.
그들은 구체적 대상에서 사유의 방법론을 찾아내는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서 "아무리 하는 일이 순조롭게 잘 진행되어도, 더욱 더 긴장을 늦추지 말고 노력과 힘을 쏟아야한다" 라는 의미를중국인은 한마디로 표현한다.
"주마가편(走馬加鞭)! 달리는 말에 채칙질 하라!
주역의 태극도와 팔괘.河圖.洛書는 그들의 우주적 코스몰로지의 알파요 오메가다.명리학의 많은 원리도 이것을 절대로 벗어날 수 없다.
용신의 오행으로 본 직업
1) 木이 희신,용신일 때 - 목재와 관계된 제반 업무.
임업,목공,종이,가구,섬유,의류,포목,침구,약품,인쇄,목재가공,목재예술,문구점,악기점,문화사업,출판업,교육계,의상디자인,바느질,서점,꽃,식물,채소재배,곡물상,야채∙청과물,죽공예,등가 구,지물,신문사,당구장,보건위생,간호원,교수,교사,승려,의약,생물학,작가,공무원,종교,점술,
기획,인사,회계원,비서,타자수,금전출납인,변호사 등의 업무가 이에 해당된다.
2) 火가 희신,용신일 때
전지,가스,보일러,난방,야금,접착제,사진관,안경,통신,양품점,극장업,비디오,화장품,미용,외국어학원,그림,악기,의복,도안,장식,의장,미술,공예,완구,골동품,전기업,조명설비,제본,열음식업,기름으로 끓이는 식품업,무대조명,제련업,가공제품,열처리,X선처리,공산품제조,화학반응발열품,드라이,발전,제조업,문학,출판,언론,어학,신문,잡지,법률,화학,연극,배우,교관,인사,관리실,경찰,군인,사법부,치안경비,정치인,사원훈련원,장관,행정집행,평론가,연설가,시계제조,
기차,자동차,핵반응처리,전력,전신,역술가 등의 업무가 이에 해당된다.
3) 土가 희신,용신일 때
농업,임업,원예,광업,요업,건축업,운수,창고,종교전반,석재,광석,부동산중개업,소개업,미장이,도자기,건축관리,장의사,묘비제작,묘지관리,원유,사료,대서,농부,광부,농산물,도장,전당포,토목업,도서관(독서실),양조업,보육원,방수처리업,우비우산제조,골동품,가죽제품제조,운명학,보험업,고고학,종교인 등의 직업이 이에 속한다.
4) 金이 희신,용신일 때
귀금속,악세사리,철공업,고물상,총포류,자동차판매 및 정비,중장비,기원,정육점,거울점,열쇄,재봉사,보험업무,유가증권,금속기구,기계제조,광업,금융,경제,경리,공무원,경찰,감정사,기자, 신문,스포츠,무기제조,조각,외과의사,치과의사,법관,형집행자,음악가,폭파업,조사,감사,금속
기술,교통기구,과학기술전문업,공무집행,세무사원,계량기 등의 직업이 이에 속한다.
5) 水가 희신,용신일 때
수산,어업,선원,선박업,술집,목욕탕,음식점,요리사,다방,캬바레,여관,서비스업,유통업,세탁소,무역업,오락실,여행사,소개소,광고업,출판,미용사,해산물,염색,장의사,양어장,냉방,무술관장,운수업,채소시장,온천,배수처리,상수도,하수도,연예인,투기사업,항공,소방대,수영,냉동사업,
냉수,빙과,증류수,조사,분석,연구,체조,교통,수리사업,예술업 등이 적합하다.
運勢 통변시 참고사항
1. 나이와 직업에 따라 해석을 달리해야 한다.
* 대운은 십년 동안 그 사주가 처한 환경이요, 위탁 관리하는 책임자와 같다. 운을 판단할 때(특히 대운) 나이와 직업에 따라서 작용이 다르게 나타난다.
1) 비겁(比劫)운이 올 때
▲ 청소년에게는 친구들과 놀기에만 바쁘거나 패거리 지어서 공부를 안하고 돈 쓰기를 좋아하며 학교 다니기를 싫어한다. 남녀 공히 부모와의 마찰이 생기는데 부모가 친구 흉보는 것 등을 제일 싫어하며, 친구를 감싸고돈다. 한 마디로 말해 교우문제와 돈 쓰는 문제이다. 이럴 경우 부모와 멀리 떨어져서 공부하는 것이 좋은데 유학이나 하숙 등도 좋다.
▲ 어른의 경우 매사를 바꾸려고 한다. 독립하려고 하며 직장인은 사업하려고 한다. 소속에 대한 거부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투기성, 사업 등에 대한 심리상태의 시기이다.
2) 식상(食傷)운이 올 때
▲ 어른의 경우 바람난다. 남녀 불문하고 이혼율이 가장 높은데 돈독이 오르지 않으면 바람난다. 직장인은 이것저것, 이쪽 저쪽 등 직장, 보직 등의 변동 시기로 사업가 역시 마찬가지다.
▲ 학생의 경우 식신운에는 학업능률이 오른다. 특히 예체능 계통이 더욱 두드러진다. 표현력이 좋고 속의 것을 잘 끄집어내는 시기이다. 상관운에는 반항심과 편법 등이 생기는데 하지 말라는 것은 더한다. 자기 자신을 드러내고자 외모(헤어스타일, 복장, 장식품)등을 독특하게 보이려고 한다. 형식을 깨트리며 파격적이다.
3) 재성(財星)운이 올 때
▲ 학생의 경우에는 학마살로 작용하여 돈 쓰기 좋아하고 멋내는 것을 좋아한다.(상관운과의 차이점은 상관운은 혼자 튀고 싶어하는 것, 하지 말라는 짓은 편법을 써서라도 하는 것, 출입하지 말라는 곳 출입하다 들키는 것 등에 해당한다) 재성운 때의 사고방식은 단순히 놀이에 빠진다. 그저 공부가 싫은 것이다. 부모한테는 반항적이고 부모와 잘 안 맞다. 학마살의 운으로 학생 때는 결코 좋은 운이 아니다.
▲ 중년 때는 자신이 극하는 오행으로 남녀 모두 경제활동이 왕성하다. 역마 작용으로 이동이 잦으며, 대인관계의 폭이 넓어진다.
4) 관성(官星)운이 올 때
▲ 학생 때는 뚜렷한 목표를 세우고, 立志를 하며 주관을 세우는 것과 동시에 모범생이며 철이 든다. 일찍 관운이 오거나 年柱에 관이 있으면 조숙하고 모범생으로 ‘애 늙은이’ 행세를 한다.
▲ 어른의 경우 권리 책임을 다하는 사람인데 반해 상당히 스트레스를 받는 시기이다. 중년 家長에게 관성운이 오면 과로사, 급사 등을 조심해야 한다. 약한 사주에 관운이 올 때는 더욱 조심해야 한다. 주로 착실한 사람이다. 남편이나 친구 등이 이 운에 해당하면 업무 부담감, 스트레스 등을 잘 풀어 주어야 한다. 절대로 옆에서 압박감 등을 주면 안된다.
5) 인성(印星)운이 올 때
▲ 청소년으로 어렸을 때는 공부에 열중하고 목표를 세운다. 공부하기 좋은 운으로 시험에 합격하고 자격증을 취득한다. 만일 격국용신운에 해당하면 시험공부 등 맡은 바 본분을 다한다.
▲ 중년층에서는 문서, 매매 등의 운으로 그러나 매일 발동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歲運에서 오면 매매운, 이사 운이다. 개인적으로는 사생활, 여가, 취미 등을 즐기며 품위가 있다. 또는 종교생활에 시간을 할애한다. 직장인의 경우에는 착실하게 직장을 다니면서 공부를 한다. 사업가는 다음 단계를 구상하고 계획한다
2. 십신으로 본 통변
1) 비견
비견은 형제, 친구, 조카, 남편의 첩을 의미하고, 그 특성은 분가, 양자, 독립, 이별, 분리등이다. 자존심이 강하고 자기주장이 강하여 타인과 불화하고 타인의 비난을 초래하기 쉽다. 또 심성이 고독하고 사람들과 교재하기를 꺼려한다. - 사주에 비견이 과다하면 형제간 서로 싸우고 친구와도 서로 분리되며, 남자는 처자와 여자는 남편과 이별하고, 평생을 통해 노고가 많고 여자와의 인연이 없다.
- 비견이 형충파해되면 형제와 친구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
비견이 공망되면 남자는 아버지와 인연이 없고, 처를 극하며 여자는 남편 및 자식과 인연이 박하고, 형제는 서로 맞지 않아 동거하지 못한다. - 사주의 천성과 지성이 모두 비견이면 두 집안을 관장하던지 양자로 가기 쉬우며, 아버지와 인연이 없는 경향이 있다.
- 비견과 동주에 겁재가 있으면 형제, 부부간에 구설과 괴로움이 있으며 친척 또는 타인 때문에 손해보기 쉽고, 부친과 사별하며, 결혼이 늦는 경향이 있다. - 년간에 비견이 있으면 자기의 손위 형님 또는 누님이 있거나 양자가 될 팔자이며, 월간에 비견이 있으면 형제자매가 반드시 있다. -
월지에 비견이 있으면 사주에 관살이 없는 한 성정이 다소 난폭하다.
- 시간에 비견이 있으면 자신의 상속인이 양자인 경우가 많다.
- 비견이 묘, 사, 목욕과 동주하면 형제가 일찍 죽는 일이 있다.
- 여명에 비견이 많으면 색정으로 인한 번뇌가 많으며 가정불화도 종종 있다.
- 비견과 겁재가 동주하면 부부가 불화하다.
- 여명에 비겁이 강하면 독신이 많으며 첩이 되는 수도 있다.
- 여명에 비견이 강하고 관살이 약하면 부부간 애정이 없으며, 비견이 천간에 많으면 다정하여 정조를 잃기 쉽다.
2) 겁재 겁재는 형제, 이복형제, 남편의 첩을 표시하고 그 특성은 교만불손, 쟁투폭력이다. 부부가 서로 상극하고 야망만 커서 투기와 요행을 바라고 그것으로 인하여 손재파산하고 이산, 괴로움을 당하기 쉽다. 사주에 편인이 있으면 이와 같은 특성은 더욱 심화되고 정관이 있으면 제압된다. 공동사업은 절대 불리하다.
- 사주 중에 겁재가 많으면 남자는 처를 극하고 여자는 남편을 극하고 구설수가 많다. 특히 남자는 겁재와 비견이 사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면 화류계 여성을 정처로 삼는 경우가 많다.
- 사주 중의 어느 기둥의 천성과 지성이 모두 겁재면 부친을 일찍 사별하고 부부 이별수가 있으며 타인과 공동사업을 하면 반드시 파탄을 초래한다.
- 사주 중 이주(二柱)에 겁재와 양인이 같이 있으면 외면은 화려해 보여도 내면은 곤고하며 가정 또한 적막하다. 혼담 또한 파하기 쉬우며 재물로 인해 화를 종종 당한다.
- 사주 상 어디든지 겁재가 있으면 혼담은 한 번만으로 정해지지 아니하며 형제 중에 이복형제가 있는 수가 많다.
- 년 또는 월중에 겁재가 있으면 장자는 못된다.
- 겁재와 상관이 동주하면 무뢰한이 되며 또 이 것이 시주에 있으면 자손에게 해롭다. - 겁재,상관과 양인이 동주하면 재화를 당하지아니하면 단명하거나 극빈할 경우가 많다.
3) 식신 식신은 남자에게는 장모, 조모, 사위, 조카(생질) 및 손자를 의미하고 여자에게는 자식, 조모 및 친정의 조카를 의미한다. 특성은 의식주가 풍부하고 소득, 복록, 자산, 가재 등이 윤택함을 나타낸다. 또 신체가 풍비하고 성질이 명랑화창하며 복록이 많다. 적극적으로 대사업을 경영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인의도덕의 이념이 깊고 심미적인 면이 있어 가무를 즐기는 반면 색정에 빠지기 쉬운 결점이 있다. 비견을 만나면 이와 같은 특성은 심화되고 편인을 만나면 약화된다.
- 사주에 식신이 너무 많으면 자식복이 없으며 여자는 호색으로 과부가 되거나 첩노릇을 한다. 특히 양일생은 창녀가 되기 쉬우며 음일생은 기생 또는 여급이 되기 쉽다.
- 사주 속에 식신이 넷 이상 있으면 신체가 허약하고 부모 덕이 없다.
- 식신이 많고 편관이 아주 희미하면 자식이 없고 신체가 허약하다.
- 사주에 식신이 하나만 있으면 팔자가 좋으며 그리고 일지에 정관이 있으면 부귀한다. 월지에 건록을 만나면 크게 발달하며 생시에 건록이 있을 때도 또한 같다.
- 월주에 식신이 있고 시주에 정관이 있으면 크게 발전할 팔자며 특히 관리로서 크게 출세한다.
- 일지에 식신이 있으면 사주 속에 편인이 없는 한 처첩의 신체가 비대하며 마음이 관대하고 후덕하다.
- 월지에 식신이 있는 신강이면 신체가 비대하고 명랑하며 음식을 좋아한다.
- 사주에 식신이 있고 편인이 없으면 한 평생 큰 도난을 당하지 않는다고 한다.
- 식신이 편인에 의해 극해되면 신체가 왜소하거나 추하며 한평생 곤고하지 아니하면 단명하고 성사되는 일이 없다. 여자는 산액이 있으며 규방이 공적하다. 시주에 식신과 편인이 같이 있으면 유아 때 젖이 부족했던 일이 있다. 식신이 편인을 많이 만나면 늙어서 먹을 것이 부족하거나 음식물 중독 또는 아사할 경우가 있다.
- 여자 사주의 시주에 식신과 건록 또는 제왕이 같이 있으면 그 자식이 반드시 크게 발달한다.
- 사주에 식신이 있고 비겁이 이를 생왕하고 편인이 없거나 식신이 형충파해되지 아니하면 부귀하고 덕망이 있으며 신체 건강하여 한평생 행복하게 지낼 수 있다. 고로 고서에서도 식신유기면 승재관이라 하여 식신이 아름다운 사주를 재관이 있는 사주보다 더 높이 평가하고 있다.
- 식신이 형충되면 유년시 어머니 젖이 부족한 일이 있지 않으면 어머니와 이별수가 있으면 식신이 사절병 또는 목욕 등의 십이운성을 만나면 자식이 불효하지 아니하면 아들을 극하는 일이 있다. 또 편인에 의해 극파되면 직업이 미천하고 박복하다.
- 사주의 년간에 식신이 있고 지지에 비견이 있으면 왕왕 부잣집 양자로 갈 수가 있으며 경제적 재능이 있거나 타인의 도움을 받는다. 그러나 지지에 겁재가 있으면 남의 흉사로 인하여 이득할 수가 있다.
- 식신과 편관이 동주에 있으면 노고가 많고 다시 사주에 편인이 있으면 큰 재해를 당한다. - 사주에 식신, 겁재와 편인이 같이 있으면 요사한다.
- 식신 편관이 있고 양인을 만나면 비범한 인물이다. 그러나 양인이 여러개 있으면 평생 노고가 많다.
- 신왕이고 사주에 식신과 재가 있으면 여러 사람의 사랑을 받아 매사를 성공시키며 또 염복이 있다. 여자는 자식 중에 효자가 있다.
4) 상관 상관은 조모를 나타내고 남자는 첩의 어머니, 여자는 자식들을 의미한다. 상관은 교만하여 타인을 얕보는 특성이 있다. 비록 내심은 온정이 있고 예술적 소질이 있더라도 타인의 오해와 비방을 받기 쉬우며 세인의 방해, 반대, 경쟁, 실권, 소송 등을 야기하기 쉽다. 사주에 인성이 있으면 이와같은 흉조는 제압되나 비겁이 있으면 가일층 증가된다.
- 사주에 상관이 많으면 자식을 해친다. 그러나 신왕이면 예술가로 이름을 떨친다.
- 사주에 상관만 많고 정관이 없으면 관골이 높고 눈섭이 거칠며 눈빛이 예리하다. 그리고 재예가 있고 음악을 즐기나 인품은 교만하다.
- 사주에 상관만 있고 인수가 없으면 욕심이 많으며 재가 없으면 비록 잔재주가 있으나 빈천하다.
- 상관과 겁재가 같이 있으면 재산을 목적으로 결혼하는 탐욕스런 사람이다.
- 상관, 겁재 및 양인이 있고 다시 상관 삼합이 있으면 조상의 이름을 더럽히는 수가 있다.
- 년주의 천성과 지성이 모두 상관이면 단명하며 부귀하더라도 길지 못하다.
- 년간이 상관이면 부모 덕이 많지 아니하며 생가에 오래 머물지 아니한다.
- 년주와 월주에 상관이 있으면 부모처자가 불완전하며 다시 겁재가 있으면 생가가 빈천하고 평생 노고가 많다.
- 월주의 천성과 지성이 모두 상관이면 형제의 버림을 받고 부부 이별수가 있다.
- 년주에 상관이 있고 월주에 재가 있으면 복록이 있다.
- 년주와 시주에 상관이 있으면 남녀를 불문하고 그 자식에게 해롭다.
- 일지에 상관이 있으면 처자가 불완전하며 비록 뜻은 높으나 예술적 재능은 없다. 그러나 사주에 재성이 있으면 소년시 영달한다.
- 시주에 상관이 있으면 자손이 해롭다.
- 상관과 정관이 같이 있으면 호색다음(好色多淫)한다.
- 상관과 양인이 동주해 있으면 남의 집 하인노릇을 하기 쉬우며 부친에게 해롭다. 그러나 사주에 재가 없으면 아름다운 것을 좋아하며 사물에 대하여 영민하다.
- 상관과 12운성의 사(死)가 동주하면 성질이 우유부단하고 질투심이 강하다.
- 여자 사주에 상관만 많고 재가 없으면 부부해로하기 힘들며, 상관과 편인이 동주하면 자식과 남편복이 없으며, 년주에 상관이 있으면 산액이 있으며, 일지에 상관이 있고 양인이 가까이 있으면 그 남편이 횡사한다.
- 상관이 많으면 혼담에 장애가 많으며 결혼 후 이별 수가 있으나 상관이 공망되면 이를 면한다. 상관만 있고 관성이 없는 여자는 정조관념이 강하며 수절하는 이가 많다.
5) 편재 편재는 남자에게는 아버지와 첩 또는 처의 형제들을 의미하고 여자에게는 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의미하며 시주에 있는 편재는 외손자를 의미한다.
특성은 강개하며 변굴한 점이 좀 있으나 자성이 담백하고 수식이 없다.
금전적 출입이 빈번하며 남자는 풍류심이 있어 첩을 두거나 여난을 당하기 쉽다. 남녀불문하고 타향에 나가 출세하는 경향이 많다.
식상이 있으면 이 같은 특성이 더욱 심화되나 비견을 만나면 약화된다.
- 사주에 편재가 많으면 다욕다정하고 주색을 좋아하며 처보다 첩을 좋아한다. 그리고 양자로 가거나 타향에 나가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
- 년주에 편재가 있으면 집안 재산이 반드시 자기에게로 돌아오며 능히 조상의 업을 계승한다. 그러나 산속이 좀 늦는 경향이 있다.
- 년주의 천성과 지성이 모두 편재면 양자로 간다.
- 편재는 월주에 있는 것이 가장 좋으며 타주에도 편재가 또 여러개 있으면 박복하다. - 월주에 편재가 있고 시주에 겁재가 있으면 선부후빈하는 경향이 있다.
- 시간에 편재가 있고 사주중에 비겁이 있으면 가산을 탕진하고 상처한다.
- 신왕이고 편재 또한 왕성하면 실업가로서 크게 성공한다.
- 편재가 왕성하고 사주에 천월이덕이 있으면 그 부친이 현명하고 명망이 있으며 유복한 사람이다.
- 편재가 천간에만 있으면 의로운 일에 재산을 희사하며 주색을 좋아한다.
- 천성과 지성이 모두 편재면 재복과 여복이 많으며 경제적 수완이 있다. 이것이 월주에 있으면 고향을 떠나 성공한다.
- 편재와 편관이 동주에 있으면 아버지 덕이 없으며 여자 때문에 손재하기 쉽다. 편재와 비견이 동주하여도 마찬가지이다.
- 편재와 장생이 동주하면 부자화목하다.
- 편재와 묘가 동주하면 부친을 일찍 사별한다.
- 편재와 목욕이 동주하면 부친이 풍류를 즐긴다.
- 년주에 편재와 비견이 동주하면 부친이 타향에서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 편재를 공망하면 부친 덕이 없으며 여자관계도 오래가지 못한다.
- 여자 사주에 편재가 많으면 오히려 재복이 없으며 또 편재와 쇠가 동주하면 남편과 일찍 사별하는 경향이 있다.
6) 정재 정재는 백부, 고모를 나타내며 남자에게는 처를 의미하고 여자에게는 시어머니를 의미한다. 명예, 번영, 자산, 신용을 의미하며 정의와 공론을 존중하고 시비를 분명히 하며 의협심이 강하다. 명랑하여 주색을 좋아하고 결혼운이 좋은 반면 색정에 빠질 염려가 있다. 겁재가 있으면 이같은 길조는 허무하게 되나 식신이 있으면 복록이 더욱 증가된다.
- 월지에 정재가 있으면 성격이 독실단정하고 인망이 있으며 매사를 성실원만하게 처리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검소하고 저축심이 있으나 정재와 묘가 동주하면 인색하여 수전노 소리를 듣는다.
- 사주에 정재가 많으면 정으로 손재하기 쉬우며 엄처시하에 있게 된다. 또 어머니와 이별하기 쉬우며 신약이면 재산을 모으기 힘들며 비록 배운 것은 있으나 빈한하게 된다. - 년간에 정재가 있으면 조부가 부귀한 사람이다.
- 년과 월주에 정재와 정관이 있으면 부귀할 집안에 태어난다.
- 월간에 정재가 있으면 부지런하다.
- 일지에 정재가 있으면 처의 내조가 있다.
- 시간에 정재가 있으면 자수성가하나 그 성질이 조급하다. 또 그 정재가 형충파해되지 아니하고 겁재가 없으면 처자가 길하다.
- 정재는 천간에 있는 것보다 지지에 있는 것이 좋으며 지지 중 월지에 있는 것이 가장 좋으며 그 다음은 일지와 시지다. 특히 월지에 있으면 호문숙녀를 처로 맞이한다. - 천성이 정관이고 지성이 정재면 고귀하다.
- 사주에 정재와 식신이 가까이 있으면 처의 내조가 있으며 또 정관과 가까이 있으면 현처를 맞이한다.
- 사주 중에 정재와 비견이 있고 정재가 도화살 또는 목욕과 동주하면 그 처가 다정하여 부정하다. 그리고 정재가 쇠묘절 등의 십이운성과 동주하면 처의 신체가 허약하거나 우매하며 그렇지 아니하면 반드시 재가한다.
- 정재와 겁재가 동주하면 부친덕이 없거나 빈곤하며 인수와 동주하면 소망을 성취하기 힘들다.
- 정재가 공망되면 재화를 얻기 힘들며 처연이 박하다.
- 여자 사주에 정재와 정관 인수가 있으면 재색을 겸비한다.
- 여자사주에 정재가 너무 많으면 반대로 빈천하다.
- 여자사주에 정재와 인수가 너무 많으면 음란하거나 천부가 된다.
- 사주 중의 정재와 인수가 서로 파가 되면 시어머니와 사이가 좋지 못하다.
7) 편관 일명 칠살이라고도 하며 남자에게는 자식을 나타내고 여자에게는 정혼외의 남편 또는 남편의 형을 의미한다. 특성은 권병, 완강, 투쟁, 성급, 흉폭, 고독등이다.
권력을 믿고 행패를 부려 타인의 비난을 사는 경향이 현저하나 일면 협기가 있어 여러 사람의 두목, 군인 또는 협객이 될 가능성이 많다.
식신이 있으면 이와 같은 특성이 억제되어 길상이나 편재가 있을 때에는 더욱 증가한다.
- 년주에 편관이 있을 때 장남으로 태어나면 부모에게 불리한 일이 있다.
- 월주에 편관과 양인이 동주하면 어머니와 일찍 이별한다.
- 일지에 편관이 있으면 성질이 조급하나 총명영리하다. 그러나 묘와 동주하면 매사에 걱정이 많으며 즐거움이 적다.
- 시주에 편관이 있으면 성질이 강직하고 불굴의 기상이 있다. 그러나 아들은 늦게야 얻게 된다.
- 사주에 편관과 식신이 있으면 대귀하지 않으면 큰 부자가 된다. 그러나 신약이거나 식신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빈한하게 지낸다.
- 편관과 편재가 동주하면 아버지와 인연이 박하다.
- 편관과 인수가 사주에 있으면 큰 일을 할 팔자이며 때때로 자신을 중심으로 큰 세력을 만든다. 그리고 인수보다 편관이 성하면 무관으로 출세하고 인수가 성하면 문관으로 출세하는 경향이 있다.
- 편관 양인 및 괴강이 동주하면 군인으로 크게 공명을 세운다.
- 편관과 편인이 동주하면 외국을 편력하거나 행상인이 될 팔자이다.
- 사주에 정관과 편관이 같이 있으면 관살혼잡이라 하여 잔꾀에 능하고 호색다음하며 의외의 재화를 당하거나 잔 근심이 그치지 아니한다. 그러나 합관유살이나 합살유관이 되면 오히려 귀격이 된다. 편관과 공망이 동주하면 위사람의 사랑을 받기 힘들며 여자는 남편과 인연이 박한 경향이 있다.
- 여자 사주에 편관이 많고 다시 정관이 있으면 반드시 재가할 팔자이며 부모덕이 박하다. 사주에 편관이 다섯 개 있으면 창부가 된다고 한다.
- 사주에 편관이 많고 다시 정재와 편재가 있으면 남편 외에 밀부를 두는 일이 많다.
- 여자 사주에 정편관은 남편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정관이나 편관은 하나 있는 것이 가장 좋으며 관살혼잡이 되면 실절할 염려가 있다.
특히 관살혼잡되고 다시 삼합이 있으면 음란하기 이를데 없다고 한다.
- 여자 사주에 편관이 있는 지지가 충되면 부부가 불화한다.
- 여자 사주에 편관이 하나 있고 식신과 양인이 있으면 팔자는 좋으나 그 성질이 강강하여 남편을 고히 시중 못한다.
- 정편관이 동주하고 다시 사주에 비견과 겁재가 많으면 자매가 한 남편을 다툰다고 한다. 즉 남편이 축첩한다.
- 무오, 병오, 임자 일생으로 사주에 편관이 있으면 남편과 이별수가 있는데 첩이나 간호원, 조산원이 되면 면한다고 한다.
- 편관이 왕성하고 신약이면 고독하고 반면 편관이 극히 약하고 다시 합이되어 다른 육신으로 화하면 천격이다.
- 여자사주에 편관과 목욕이 동주하면 남편이 풍류호색이고 장생과 동주하면 귀부와 인연이 있고 묘와 동주하면 사별한다.
8) 정관 정관은 남자에게는 자식과 조카를 의미하고 여자에게는 정부와 조모를 의미한다. 특성은 품행이 단정하고 재지발신하며 장상(長上)을 존경한다.
가계가 정통이고 명예 및 신용이 있으며 자비심이 많고 용모단정하고 인품이 순정하다.
그러나 사주에 정관이 너무 많을 때에는 곤궁을 면치 못하고 여자는 일부종사하기 힘들다.
사주에 정재 또는 편재가 있을 때에는 길조가 더욱 증가되나 상관이 있을 때에는 길조는 사라지고 오히려 명예가 손상되고 상속 및 자식에게 해로운 일이 생긴다.
- 정관이 사주에 많을 때는 가계가 풍족치 목하며 큰 재화를 당한다.
- 정관이 하나만 있고 편관 및 상관이 없으면 독후강직한 군자가 된다.
- 년주에 정관이 있으면 장남으로 태어나거나 차남으로 태어나더라도 일가의 후계자가 된다. 그리고 청년 때부터 발달한다.
- 월지에만 정관이 있으면 일생 빈곤하지 않으며 인수가 있고 형충파해가 없으면 부귀하고 다시 정관 대운을 만나면 대귀 또는 대부한다.
- 월주에 정관이 있으면 장남이 아닌 경우가 많으며 한 평생 노고가 적다.
- 일지에 정관이 있으면 자수성가하며 성질이 명민하여 임기응변하며 현처와 인연이 있다.
- 시주에 정관이 있으면 주로 만년에 발달하며 현량한 아들을 둔다.
- 대체로 시주에 정관이 있으면 그 용자가 아름답고 음성이 명랑하다.
- 정관이 사주에 있더라도 인수가 없으면 명리를 얻기 힘들다.
- 장생과 동주하면 학식이 있다.
- 여자사주에 형충파해와 상관 및 편관이 없고 정관과 재만 있으면 남편덕이 있으며 천월덕과 천을귀인이 있으면 더욱 좋다.
- 정관과 장생이 동주하면 귀한 남편과 인연이 있으며 목욕과 동주하면 남편이 호색이며 사묘절 및 공망과 동주하면 남편덕이 없다.
- 사주에 정관이 너무 많으면 부부간 불화하며 독신 아니면 무기(舞妓)가 되거나 심하면 여급 또는 창녀가 된다.
- 정관과 역마가 동주하면 신체의 이동이 많고 도화와 동주하면 남편의 성질이 온순하다.
- 정관이 합이 되면 애교가 있으며 다정하다. 또 인수가 많으면 규방이 적막하다.
9) 편인 편인은 계모 및 유모, 조부를 의미하고 남자에게는 첩의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형제를 나타내고, 여자에게는 어머니의 형제를 나타낸다.
편인은 복과 수명을 해치고 식신을 파극한다(도식). 편인은 또한 파재, 이별, 고독, 박명, 실권, 병재, 색난 등을 의미하므로 사주에 편인이 많으면 어떤 형태로든 불행이 찾아온다.성격도 처음에는 부지런하나 곧 태만해져서 매사가 용두사미격이다. 비록 도량은 넓으나 변덕이 심한 단점이 있다.
그러나 편업에는 적합한 점이 있어 학자, 예술가, 의사, 승려, 배우등으로 이름난 사람들이 많다. 편인이 관살을 만나면 이같은 특성은 증가되나 편재를 만나면 억제된다.
- 사주에 편인이 많으면 부모조별하고 처자와도 인연이 박하여 재화가 있거나 명예를 해친다. 여자의 경우는 더욱 심하다.
- 사주에 편관과 식신이 있고 편인을 만나면 재복이 변동이 많으며 신체가 왜소하다. - 년주에 편인이 있으면 조업을 파하며 양과 동주하면 계모에 의해 양육된다.
- 월지에 편인이 있으면 의사, 배우, 운명가, 이발사등 편업에 적합하다. 그러나 쇠, 병, 사, 절 등의 12운성과 동주하면 인기가 없고 또 사주에 식신이 있으면 윗사람의 방해를 받으며 신체가 허약해진다.
- 월지에 편인이 있고 사주에 재와 관살이 있으면 부귀한다. 특히 편재가 있으면 편인의 흉조가 사라진다.
- 일지에 편인이 있으면 남녀불문 결혼운이 나쁘며 다시 사주에 식신이 있으면 유아 때 어머니의 젖이 부족했던 일이 있다.
- 사주에 인수와 편인이 있으면 두가지 직업을 갖는 경향이 있다.
- 편인과 비견이 동주하면 타인의 양자가 되거나 계모가 있을 수 있으며, 겁재와 동주하면 타인으로 인하여 실패가 많으며 혼담에 장애가 있다.
- 편인과 장생이 동주하면 생모와 인연이 박하고 목욕과 동주하면 계모의 양육을 받는 수가 있는데 그 계모가 부정한 경향이 있다.
- 편인과 관대가 동주하면 갑병등 양일생은 어릴 때 아버지와 이별수가 있으며, 을정등 음일생은 계모 또는 의모의 양육을 갖는다.
- 편인과 건록이 동주하면 부귀한 집안에 태어나지만 심삼세 전후하여 부친과 이별하며 집안이 영락한다. 그리고 의사나 학자에 적합하다.
- 편인과 제왕이 동주하면 계모로 인하여 고생하며 쇠병사절묘등과 동주하여도 편친과 이별수가 있으며 노고가 많다.
- 여자사주에 편인이 많고 다시 식신이 있으면 자식에게 해가 많다. 그리고 산액이 있다.
- 천성과 지성이 모두 편인이면 남편과 인연이 박하고 상관과 동주하면 남편 및 자식과 인연이 없다.
10) 인수(정인) 인수는 남자에게는 어머니 및 장인을 나타내고 여자에게는 어머니와 사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남녀 공히 손자를 의미할 때도 있다. 인수는 학문 및 총명 등의 특성이 있으므로 인수가 있으면 자기 멋대로 하는 결점이 있어도 인의를 알고 자비심이 있으며 또 종교를 봉신하고 군자 및 대인의 품격이 있으며 그 자질이 온후단정하여 신망을 얻으며 자산풍부, 무병식재, 복수쌍전, 산업진흥, 가도번영, 생애안락들의 경향이 있다.
사주에 정재가 있으면 이와 같은 길상이 감퇴되나 정관이 있으면 길조가 더욱 증가된다.
- 사주에 인수가 너무 많으면 남자는 처와 이별수가 있으며 자식은 그 수가 적거나 불효하다. 여자는 어머니와 이별수가 있으며, 인수가 많은 것은 어머니가 많은 것을 의미하므로 서모가 있거나 유모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년간에 인수가 있고 초년 대운이 양호하면 양가의 자손이다.
- 년간에 인수가 있고 월간에 겁재가 있으며 인수가 쇠병사등 쇠약한 십이운성과 동주하면 비록 상속인의 자격은 있으나 아우가 대신 상속하게 된다.
- 월간에 인수가 있고 이것이 형충되면 외가가 영락한다.
- 월주에 인수가 있고 이것이 형충되지 아니하면 문장으로 이름을 떨칠 수가 있으며 월지에 인수가 있으면 그런 경향이 더욱 많으며 성질이 총명하고 말이 적으며 용모와 인격이 고상하다. 그리고 사주에 관살이 있으면 부귀한다.
- 시주에 인수가 많고 관살이 없으면 예술로써 이름을 떨치나 고독한 경향이 있다.
- 시주에 인수가 있으면 자식복이 있으며 자신은 교묘한 재주가 있다.
- 신왕사주에 인수가 많으면 자식이 적고 빈고하다.
- 인수있는 사주에 정재가 많으면 어머니와 이별수가 있으며 매사에 막힘이 많다. 그리고 재운을 만나면 악사한다.
- 인수와 비견이 동주하면 형제 또는 친구를 위하여 진력하는 일이 많고 겁재와 동주하면 진력하더라도 결과가 좋지 못하다.
- 인수와 식신이 동주하면 타인의 존경과 신용을 받으며 이익이 많다. 편재와 동주하면 가정이 원만하고 사업상 이익이 많다.
- 인수와 상관이 동주하면 어머니와 의견충돌이 있으며 정재와 동주하면 처와 어머니 사이가 나쁘다.
- 인수와 관살이 동주하면 명리가 많고 여자는 남편과 자식복이 있다.
- 편인과 동주하면 결단심이 없으며 양인과 동주하면 심신에 괴로운 일이 많다.
- 인수와 장생이 동주하면 부모가 단정하고 어머니가 현명하거나 타인의 은애를 많이 받는다. - 인수와 관대가 동주하면 양가의 자손이며 목욕과 동주하면 직업상 과실이 많고 어머니가 청상과부로 지내는 수가 있다.
- 인수와 건록이 동주하면 가운이 좋을 때 출생하였으며 제왕과 동주하면 부친이 데릴사위인 경우가 있다.
- 인수와 사묘절병이 동주하면 부모덕이 박하다.
- 인수가 왕성하고 신왕이면 주색을 좋아한다.
- 여자사주에 인수가 많으면 남편과 일찍 이별하고 자식과도 인연이 없으며 시부모와도 사이가 나쁘다.
- 인수와 정재가 있으면 시어머니와 뜻이 맞지 아니한다.
- 여자사주에 인수가 있고 정재가 너무 많으면 음란하거나 천부가 된다.
- 여자사주에 관성이 경미하고 인수가 왕성하면 남편대신 생존경쟁에 시달리며 늙어서 남의집 살이를 한다.
- 여자사주에 인수와 상관 및 양인이 동주하면 남편 자식과 인연이 없으며 여승이 된다고 한다.
직업론 사주학에서 직업을 판단하는 법은
① 격국을 보는 법,
② 용신의 오행을 보는 법
③ 일주를 보는 법
④ 시지를 보는 법
⑤ 신살을 보는 법, 신강신약으로 보는 법, 명궁으로 보는 법 등 여러 가지다.
1. 격국과 용신으로 보는 직업론
격국으로 직업을 안다. 또는 월지가 일간에게 어떤 육신인지를 보고 직업을 판단한다.
격국 뿐만이 아니라 사주에서 세력이 강한 육신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1) 편재격 또는 편재가 용신일 때
∙ 신왕하고 편재도 왕성한 사람은 상업이나 사업에 종사하여 큰돈을 벌거나 금융업에
진출할 수 있다.
∙ 사주에 정관과 편재의 역량이 식신이나 정재보다 강한 사람은 자극적이고 투기성,
모험성, 활동성이 있고 도전적인 사업에 종사하면 좋다. 예컨대 공장,무역,제조업,
가공업,판매업,업무개발,외근,총무 등의 일에 종사함이 좋다.
이와 반대로 식신과 정재가 많으면 공무원,행정,서기 등의 일에 종사하면 좋다.
∙ 편재는 상인의 별이다. 재왕하고 신왕하면서 재가 손상되지않는 사주는 큰 상인이다.
만약 사주에 충극, 공망이 있으면 소상인이 되거나 중개상이 된다.
∙ 편재와 역마는 활동의 별이다. 편재는 재정을 담당하는데 천부적인 직분을 지니고 있고, 역마는 외교,매매,교통,운수 등의 사업에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정재와 편재는 경제적 이익을 위한 업무, 즉 상업,사업,금융,경리,세무 등에 관계된 일을 의미한다.특히 편재는 활동적이고 변화가 많은 업종 및 서비스업, 기능방면의 일에 종사함이 좋다.
2)정재격 또는 정재가 용신일 때
∙ 정재는 노력의 대가로 정당하게 취득한 이익이다. 견실하고 단조로운 일에 종사하면 좋고 봉급생활자도 좋다. 안정성이 있는 제조업,판매업,금융업에 종사할 수도 있다.
신왕한 정재격에 정재가 역마와 동주하면 상업으로 이익을 얻는다.
∙ 정재는 안정성을 위주로 돈을 버는 별이다. 그러므로 외근,복잡한 업무,사교적인 업무에는 부적격하다. 그러므로 문화,상점,안정적인 판매업,소매업,경리,봉급생활자 등이 적합하다.
∙ 신왕하고 재성이 약하면서 재성이필요한 사주는 기술,공업기사,노동자등이 적합하다.
∙ 정재와 역마가 둘 다 있으면 사업으로 이윤을 남길 수 있으므로 교통,운수업이 좋다.
∙ 정재격에 정관이 있으면 기술자,기능인이 되어도 좋다.
3)정관격 또는 정관이 용신일 때
∙ 사회적 지위나 권력에 집착하는 성격이 있으므로 공무원,회사원,정치가,법률가,행정방면실무적업무 등이 길하다.
∙ 정관격에 인수가 있거나 재성이 있으면 문관이 된다.
∙ 관인상생이 되면 정치가 또는 문학가가 된다.
∙ 木이 정관이면 솔직 인자하며 자기의 욕심을 절제하고 사회에 봉사하며 협조정신이 강하다. 따라서 행정,사법,총무,관리 등에 적합하다. 木이 정관이 된다는 것은 土일간이라는 뜻이다.
∙ 火가 정관인 金일간은 개성이 강하고 불평등한 일을 보면 참지 못하고 도우며 위엄이 있다.
그러므로 경쟁적인 문화,예술,교육 방면에 진출하면 좋다.
∙ 土가 정관인 水일간은 온화하고 정직하며 관용을 베푼다. 따라서 농림,토목,제조업에 종사하면 좋다.
∙ 金이 정관이면 사무 처리에 신속하며 경제 관념이 발달해 있고 일처리가 정확하다.
그러므로 재정,경제,금융,군인,경찰 등의 업무가 양호한다.
∙ 水가 정관이면 개성이 온화하고 이성적이며 이지적이고 지모가 탁월하다.
따라서 지능 방면의 업무, 자유업,상공업,수산업 등이 양호하다.
4)칠살격 또는 칠살이 용신일 때
∙ 칠살은 경쟁과 파괴를 뜻하는 별이다. 그러므로 경쟁하는 업무, 군인 등에 종사함이 좋다.
∙ 재자약살격은 무관이 양호하다.
∙ 제살태과격이 되면 가난한 선비에 불과하다.
∙ 신왕하고 칠살과 양인이 모두 있으면 관직,공직,군인,경찰이 양호하다.
∙ 관살혼잡이 되면 역술인 등 잡다한 직업에 종사한다. 신왕신약으로 등급을 가린다.
∙ 살인상생격은 문장,종교,서기,회계,기업의 고급직원,고위직 공무원에 종사한다.
∙ 신약하고 칠살이 많은 것, 관살혼잡한 것, 인성이 없어 칠살을 교화하지 못한 것, 칠살을 제복하지 못한 것 등은 위인이 편파적이고 싸움을 좋아하는 시정잡배,폭력배 등이 된다.
5) 정인격 또는 정인이 용신일 때
∙ 정인과 편인은 모두 명예,평판,미적 가치,정신적 가치를 추구하는 별이다.
∙ 정인은 지적 직업에 적합하다. 교육자,교수,작가,문학연구가,종교인,제조업 등이 양호하다.
∙ 정인이 편인과 동주하면 두 가지 직업을 겸한다. 정인이 칠살 또는 양인과 동주하고
신왕하면 경찰관,군인도 양호하다.
∙ 사주에 정인과 편인이 섞여 많으면 사무를 처리함이 소심하고, 본업 외에 부업을 갖는다.
∙ 화개, 문창귀인, 공망이 정인과 동주하면 학술계,문화계,종교계에 진출한다.
∙ 정인격은 교육계,문학계에서 성공할 수 있고 작가,교수,교사직에 적합하다.
∙ 정인은 재능과 학문의 별이다. 만약 정인격에 정관이 있어서 관인격이 되거나 정인격에
칠살이 있어서 살인격이 되면 고위 공무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정인격일 뿐 관성이 없으면 학문,기예 방면으로 진출함이 좋다.
6) 편인격 또는 편인이 용신일 때
∙ 편인은 변화가 많고 다양성을 지닌 대중적인 직업에 적합하다. 부업을 갖거나 직업변동이 잦다.
∙ 의사,예술가,예능인,작가,평론가,자유업,호스티스,다방 마담 등의 접객업에 적합하다.
∙ 편인격은 특이하고 전문적인 재능을 발휘하는 직업,종교가,학자,의사,기술자,예술가,
역술가등에 적합하다.
∙ 편인은 지식의 별이다. 편인격이 되면 두 가지 직업을 갖는다.
그런데 편인이 태과하면 고독하므로 사교적 직업은 피해야 한다.
∙ 정관과 편인이 상생하는 격국은 샐러리맨이 좋다.
7) 비견이 왕하거나 비견이 용신일 때
∙ 비견과 겁재는 독립의 별이다. 건록격이나 양인격 등이 되면 독립사업이 적격이다.
작가,예술가 등의 자유업도 좋다.
∙ 은행 등 금융관계업이나 사람과 협동하는 사업,동업은 맞지 않는다.
∙ 사주에 비견이 많으면 자유직업을 갖고 자수성가해야 하며 부모 유산이 적다.
비견이 많고 기신이 되면 공동사업은 반드시 망한다. 그 대신 비견이 희신,용신이 되면
타인의 도움으로 성공한다.
∙ 비견이 태과하면 사업보다는 공무원이 좋다.
∙ 비견이 희신,용신이면 공동사업,공사,동업,대리점,영업소 등이 좋다.
∙ 비견이 태과하여 기신이 되면 인덕이 없고 사업이 순조롭지 못하고 돈걱정이 많다.
8) 겁재가 많거나 겁재가 용신일 때
∙ 겁재가 많거나 월지가 겁재인 사람은 자유직업 또는 기술자가 좋다.
∙ 겁재나 양인이 있는데 격국이 식신격 또는 편관격이 되면서 식신이 관살보다 강하 면, 두뇌를 쓰는 직업 또는 특수한 재능을 살리는 직업 또는 학습에 의해 취득되는 전문 기술자가 된다.
∙ 겁재,양인이 있고 정관격이나 편관격이면서 관살의 역량이 식신보다 강하면 극단적인 파괴,극단적인 창조성을 갖는 직업(군인,경찰,발명,폭파 기술)에 양호하다.
∙ 비견,겁재는 겁탈하는 별이다. 그러므로 항상 성패가 다단하다.
∙ 겁재가 희,용신이고 형,충,공망이 없으면 증권 투자 등 투기사업이 좋다. 적수공권으로 사업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격국이 나쁘고 비견,겁재가 있으면 봉급생활자에 불과하다.
9) 식신격 또는 식신이 용신일 때
∙ 식신은 실무적이고 견실한 직업, 의식주에 관계된 직업 일용품이나 생활 필수품에 관계된
직업이 적성이다. 식료품,판매업,레스토랑,다방,음식점,가구점,디자이너,의류업,건축업,부동산 중개업,부동산과 주택에 관계된 제반 직업에 양호하다. 재성도 있는 식신격은
일용품이나 부동산과 관계된 사업으로 축재할 수 있다.
∙ 일지가 식신이거나 천간에 식신이 있으면 대부분 공공기관에 취직한다. 또는 文市상업이 적합하다.
∙ 식신격은 봉급생활자나 문장,문학 방면으로 진출하면 양호하다.
∙ 식신을 용신으로 칠살을 제압하는 사주, 식신을 용신으로 해서 겁재를 순화시키는 사주는 무관,군인,경비원 등이 가하다.
∙ 식신격은 두뇌를 올바르게 쓰며 지성과 예술감각으로 각종의 활동에 종사할 수 있다. 사주에서 겁재,편재의 역량이 비견,정재보다 강하면 가수,음악가,성악가,미술가,댄서,의상 디자이너,미용 등의 직업에서 발달한다.
∙ 식신이 재성을 생하면 외교,영업으로 이윤을 남긴다.
약품,음료,식료품,떡,가축사료 등의 사업이 양호하다.
∙ 식신이 신강한 일간을 설기시키는 용신이 되면 배우,가수가 될 수 있다.
사주에 문창귀인이 식신과 동궁이면 학문과 관련된 사업이 양호하다.
∙ 식신과 정인이 동주하고 정인이 용신이면 저술활동 또는 출판업이 양호하다.
∙ 식신격에 관살혼잡이 되면 비생산적 업무에 종사한다. 역술가,의사,관상가 등 술업이 좋다.
∙ 식신격에 정재가 있으면 금융업 또는 기업의 직원이 좋다. 또는 기술관계의 사업도 가능하다.
10) 상관격 또는 상관이 용신일 때
∙ 상관은 미적,감각적,창조적 방면의 업무, 분석, 비평, 전문적인 직업을 뜻한다.
예컨대 회화,음악,작곡가 등의 예술관계 직업, 디자이너,장식품 관계업,작가,신문,잡지,
언론계,변호사,언어학,평론가,기술자 등 전문적이고 두뇌를 쓰는 비생산적이고 비일상용품적인 업무가 적격이다. 단조로운 업무나 접객 서비스업은 맞지 않는다.
∙ 일지가 상관이거나 천간에 상관이 있으면 대부분 武市상업이 적성이다.
혹은 잡다한 기예,기술적 사업,사법,법률,변론,발명 등의 특수 사업에 종사할 수 있다.
혹은 기술,생산,학문적 공작에 적합하다.
∙ 상관격에 정관이 없는 사주는 학문,기술,변호사,재판에 관계된 직업이 적합하다.
또는 기술과 예술로 이름을 날릴 수 있다.
∙ 상관격은 총명하고 비판적이다. 상관격은 학문,문장,문학에 관계된 업무가 좋다.
특히 금수상관은 학문과 문학에 소질이 많고 총명하다.
상관격은 언변이 탁월하므로 말을 하는 직업이 모두 가능하다.
∙ 상관생재격은 기예,문장,출판으로 치부하거나 기술과 관계된 상업으로 발전한다.
∙ 상관격에 정인이 있으면 귀격이다. 상관격이 사주에 정인과 재성이 있으면 재와 인이 서로 장애를 주지 않는 한 고위직 관료가 될 수 있다.
∙ 상관격은 간섭 받는 것을 싫어하므로 법규의 저촉을 별로 받지 않는 잡다한 기술,자유업 등에 진출하면 성공한다. 즉 역술가,지관,수상가,관상가,의원,가수,배우,연극인,기술자,운동,골동품 등,자유업과 변호사,율사,대서,교수,과외교사,기자,예술가 등에 적합하다.
*격국과 직업의 기타 학설
∙ 武市行業이란, 인사,교제,공장,무역,제조,가공,기술공정,건설개발,관광유희,수리,총무,
외근,운수,운동 등의 능동적 업무를 말한다.
∙ 文市行業이란, 문화,교육,종교,문서,자선,골동품 등의 고정적이고 비생산적이며 안정적인 기복이 없는 업무나 사업이다.
∙ 신왕한 사주는 독립적,자립적 사업이 좋다. 또는 회사의 관리직 등 사람을 지도하고
지배하는 업무가 좋다. 공무원,정치가,상업가,전무 등이 적격이다.
∙ 신약한 사주는 남에게 의존하는 직업 또는 기술 등 전문적 직업에 종사함이 좋다.
∙ 사주에서 식신,정재,정관,정인,비견 등이 비교적 왕한 사람은 文으로 귀하게 될 수 있고 文市行業으로 발달한다.
∙ 사주에 상관,편재,칠살,편인,겁재 등이 비교적 왕성하면 武로 귀하게 될 수 있고
武市行業으로 발전할 수 있다.
∙ 격국에서 財印相補, 正官配印, 財官兩淸, 印綬天德, 獨官淸秀, 二德逢財, 殺印相生,
食神獨透, 食神生財 등이 되면 文의 직업에 적합하다.
用庚制木, 用刃衛印, 獨殺有制, 財殺相生 등이 되면 武의 직업에 적합하다.
2. 용신의 오행으로 본 직업
1) 木이 희신,용신일 때 - 목재와 관계된 제반 업무.
임업,목공,종이,가구,섬유,의류,포목,침구,약품,인쇄,목재가공,목재예술,문구점,악기점,
문화사업,출판업,교육계,의상디자인,바느질,서점,꽃,식물,채소재배,곡물상,야채∙청과물,
죽공예,등가구,지물,신문사,당구장,보건위생,간호원,교수,교사,승려,의약,생물학,작가,
공무원,종교,점술,기획,인사,회계원,비서,타자수,금전출납인,변호사 등의 업무가 이에
해당된다.
2) 火가 희신,용신일 때
전지,가스,보일러,난방,야금,접착제,사진관,안경,통신,양품점,극장업,비디오,화장품,미용,
외국어학원,그림,악기,의복,도안,장식,의장,미술,공예,완구,골동품,전기업,조명설비,제본, 열음식업,기름으로 끓이는 식품업,무대조명,제련업,가공제품,열처리,X선처리,공산품제조,
화학반응발열품,드라이,발전,제조업,문학,출판,언론,어학,신문,잡지,법률,화학,연극,배우,
교관,인사,관리실,경찰,군인,사법부,치안경비,정치인,사원훈련원,장관,행정집행,평론가,
연설가,시계제조,기차,자동차,핵반응처리,전력,전신,역술가 등의 업무가 이에 해당된다.
3) 土가 희신,용신일 때
농업,임업,원예,광업,요업,건축업,운수,창고,종교전반,석재,광석,부동산중개업,소개업,
미장이,도자기,건축관리,장의사,묘비제작,묘지관리,원유,사료,대서,농부,광부,농산물,
도장,전당포,토목업,도서관(독서실),양조업,보육원,방수처리업,우비우산제조,골동품,
가죽제품제조,운명학,보험업,고고학,종교인 등의 직업이 이에 속한다.
4) 金이 희신,용신일 때
귀금속,악세사리,철공업,고물상,총포류,자동차판매 및 정비,중장비,기원,정육점,거울점,
열쇄,재봉사,보험업무,유가증권,금속기구,기계제조,광업,금융,경제,경리,공무원,경찰, 감정사,기자,신문,스포츠,무기제조,조각,외과의사,치과의사,법관,형집행자,음악가,폭파업,
조사,감사,금속기술,교통기구,과학기술전문업,공무집행,세무사원,계량기등의 직업이
이에 속한다.
5) 水가 희신,용신일 때
수산,어업,선원,선박업,술집,목욕탕,음식점,요리사,다방,캬바레,여관,서비스업,유통업,
세탁소,무역업,오락실,여행사,소개소,광고업,출판,미용사,해산물,염색,장의사,양어장,
냉방,무술관장,운수업,채소시장,온천,배수처리,상수도,하수도,연예인,투기사업,항공,
소방대,수영,냉동사업,냉수,빙과,증류수,조사,분석,연구,체조,교통,수리사업,예술업 등이 적합하다.
* 왕성한 오행에 대하여
직업 판단은 희신,용신으로 하는데 사주의 왕성한 오행이 그 사람의 직업과 관계되는 경우도 많다. 예컨대 木일간이거나 木이 왕성한 사람은 木과 관계된 직업을 갖는다.
사주에 왕성하지 않은 오행이 운에서 오면 그 오행에 관한 직업, 사업을 하게 된다.
3. 직업 변동의 시기
직업이나 사업이 언제 변동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정관격, 정인격, 정재격, 편재격, 식신격인데 대운이나 유년이 와서 격국의 육신을 간합하면 직업이 변동하는데 이것은 망하기 때문에 다른 직업을 갖는 것이다.
∙ 운에서 기신이 오고 救神이 없을 때 파산, 실직 등을 당한다.
∙ 대운이 희용신인데 유년이 대운을 충극하면 그 해에 파산, 실직으로 인해 직업을 변동한다.
∙ 사주에 刑,沖,공망이 많으면 직업변동이 심하다.
∙ 월지가 형,충,공망이 되면 직업변동이 잦다.
∙ 관살이 용신인데 식상이 태과하면 직업변동이 심하다.
∙ 정관이나 칠살이 유년과 형충되거나 상관 유년이 오면 현실에 불만을 품고 직업을 변동한다.
4. 직업선택에 관한 기타 학설들
∙ 사주에 화개,인수,천을귀인이 있는데 墓운에 들면 종교가가 된다.
인수,화개,월덕합이 길신과동주하면 예술로 발전한다. 화개는 학문,예술,종교의 별이다.
∙ 역마는 편재와 같은 작용을 한다.
역마가 있으면 운수,교통관계,세일즈맨,외교관,통역 등의 일에 종사한다.
∙ 함지 도화가 있으면 색정의 별이기 때문에 이성에 대한 서비스,접객업,마담,호스테스가
되기 쉽다.
∙ 괴강이 있으면 작가,예술가,복서,레슬러 등이 될 수 있다.
∙ 살인상생이 되는 사주는 군인,외과의사,기업체의 중역이 될 수 있다. 그 방면으로 진출하면 길하다.
∙ 관인쌍청,재관상보가 되면 정치,법률에 종사할 수 있다. 전공을 택할 때 참고한다.
∙ 상관,식신이 재성을 보면 상업,금융,재정,무역,기술적 상업에 종사할 수 있고 그 방면
에서 성공할 수 있다.
∙ 신강하고 재성도 왕하면 무역,상업에 길하다.
∙ 상관상진격과 殺刃格은 군사,경비 등이 좋다.
∙ 식신이 용신이고 문창성이면 문학이 좋다.
∙ 신왕하고 재가 약하면 노동자가 된다.
∙ 비견 겁재가 많으면 자유업이 좋다.
∙ 재관이 상생하면 재정,경리가 좋다.
∙ 재관이 유력하고 일간이 왕하면 자립한다.
∙ 신왕하여 의지할 용신이 없거나 신약하여 의지할 것이 없으면 남의 밑에서 월급을 받는다.
∙ 사주에 합과 충이 적으면 한가지 직업에 종사하고 충합이 많으면 직업 변동이 잦다.
∙ 水가 필요한 사주와 역마가 있는 사주는 유동적 사업과 외근하는 직장을 갖는다.
∙ 오행이 한 쪽으로 편중되면 직업과 사업에 풍파가 많고 사업에 불리하다.
∙ 오행이 균형된 사주는 사업이 평탄하다.
∙ 사주에 병신은 강하고 약신은 약하면 비능률적으로 일을 추진하며 낭비가 많다.
∙ 병신과 약신이 균형을 이루면 피동적으로 사업이 이루어지고 성과가 있다.
∙ 성격이 고독한 사람은 공업과 상업에 관계된 직업과 인연이 없고, 의사,회계사,교사 등의 자유직업이 좋다.
∙ 성격이 나약한 사람은 농업,공업,예능,기술에 진출하는 것이 좋다.
∙ 상관의 설기함을 용신으로 하는 사주는 문학,서화,문교,예술에 관계된 사업이나 직업을 하면 좋다.
∙ 정관은 문관이나 행정이고, 칠살은 무관이나 법관,외근이며, 정인은 내무이고 편인은 외무이며, 식상격은 기술자 또는 사업가다. 식상격에서 문학가와 예술가가 많이 배출되는데 청한 사주가 그렇고 탁한 사주는 기술자에 불과하다.
∙ 상관격에 재성이 있으면 돈을 벌고 재성이 없으면 재주는 많아도 가난하다.
∙ 신약하고 관살이 태과하면 노가다가 되며, 신강하고 관살이 미약하면 행상인,세일즈맨이 된다.
∙ 고신살이나 과숙살이 있고 화개가 있으면 종교가가 된다.
□ 지장간의 이해 □
1.지지에는 여기,중기,정기라는 세 가지 천간이 숨겨져있다.
지지 속에 숨겨져 있는 천간을 “지장간”이라고한다. 지가 천간보다 3배의 힘이있다고 하니.
여기(餘) | 중기(中) | 정기(正) | ||||
자 | 壬 | 양수10 | 癸 | 음수20 | ||
축 | 癸 | 음수9 | 辛 | 음금3 | 己 | 음토18 |
인 | 戊 | 양토7 | 丙 | 양화7 | 甲 | 양목16 |
묘 | 甲 | 양목10 | 乙 | 음목20 | ||
진 | 乙 | 음목9 | 癸 | 음수3 | 戊 | 양토18 |
사 | 戊 | 양토7 | 庚 | 양금7 | 丙 | 양화16 |
오 | 丙 | 양화10 | 己 | 음토9 | 丁 | 음화11 |
미 | 丁 | 음화9 | 乙 | 음목3 | 己 | 음토18 |
신 | 戊 | 양토7 | 壬 | 양수7 | 庚 | 양금16 |
유 | 庚 | 양금10 | 辛 | 음금20 | ||
술 | 辛 | 음금9 | 丁 | 음화3 | 戊 | 양토18 |
해 | 戊 | 양토7 | 甲 | 양목7 | 壬 | 양수16 |
▪여기 : 모든 지지에는 앞 지지의정기 기운이 조금 남아 있다. 12지지는 여기
라는 고리로서 연결되어 있다.
▪중기 : 여기는 정기 라는 새로운 오행이 되기 위하여 1차 변신을 한다
(지지다 삼합하여 생성한, 오행으로 변한다.)
▪정기 : 지지 오행의 기운이 제대로 자리를 잡는다. 정기의 일부는 다음 지지의
여기로 작용 할것이다.
2. 지장간의 특성
▪사맹: 인·신·사·해를 말하며 여기가 모두 戊土이다.
축미의경우에 정기가 기토이니 다음에 오는 寅申은 여기가
기토가 되어야 마땅하지만 사맹의 여기는 모두 戊土가된다.
▪사정: 자·오·묘·유·를 말하며 중기가 없다. 같은 오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기가 순수하고 강하다.
▪사묘:·진·술·축·미·를 말하며 정기가 모두土이다
(각 지지의 성격)
子:11월,한밤중,응고된씨앗 11월의 얼어있는올달샘,작은계곡물
여기는 큰물이니 백두산천지에서 넘쳐생긴 장백폭포이다 압록강
두만강,호수이다.자신은 비록작은 물이지만 큰 물로부터 지원을 받고있다.
유사시에는 큰 물이 나서게 된다. 종족본능이 강하고 가정에 헌신적이다.
눈치와 사교성이 좋으며 근면하고 성실하며 특히야간에 활동성이 강하다.
丑:계절12월,이른새벽,석빙고,얼어있는땅,
물+쇠조각+진흙+--광산의 물기많은 廢石 이다.
소는 부지런하며 낙천적이고 느리지만 명예욕이 강하다.
寅:양 기운으로만 뭉쳐있어 삼양개태(三陽開太)라 한다.
1월,초봄,1년의시작 입춘 1년은 갑목으로 시작한다.
태양이 내리쬐는 사막의 덩치큰 고사목이다.
조금 전에 흙으로 불을꺼서 아직까지도 뜨거운 나무이다.
호랑이로 세속을벗어나고픈 기질이 있어 구속을 싫어한다.
고독을 즐기며 방랑하는 경향이 있다.
卯:순수하게 목기로 뭉쳐있으니 목이 강하다.
을목이면서도 갑목이 섞여있으니 대나무와 같은 느낌이다.
2월 나무를 심는계절 목국의 대왕 무성한 숲 넝쿨식물의키가 큰
소나무와 섞여있다. 필요하면 갑목이 나설수도 있다.
대표는 을목이 맡았으니 부드러운 자세로 협상에 나서고 있다.
토끼 겁이 많아 놀라기를 잘하며 마음이 여리고 결벽증이 있다.
내면에는 갈등이 있으니 신경성 질환의 우려가 있다.
辰:을목과 계수가 섞여 있는 토이니 습기 많은 낙엽이 쌓여 만들어진
흙,촉촉한 문전옥답,경지정리된지역,퇴비,계절로 3월
용이며 상상의동물이다 공상,이상적이 되기 십다. 대의명분을 중시
하며 현실에 집착하지 않는다. 주위를 의식하지 않으며 사치와
화려함을 좋아한다.
巳:모두양이다. 타오르는 불꼴이다. 초여름 4월
광석과 연료와 흙이 섞여서 타고있는용광로 속의 맹렬한 불
뱀은 총명하고 싫증을 잘느낀다. 방황하는 기질이 있다.
사치,화려함을 좋아하며 온순하지만 건드리면 사나와진다.
午:순수한 화염이다. 5월,한여름,한낮,후끈달아 올라 폭발할것 같은
열기이다. 화기가 순수하여 폭발우려가 있다. 그래서 지장간의
중기에 기토가 있어야 한다는 이론이 나온다.
말-감정이 풍부하고 사교성이 좋지만 게으름을 피우는 경향도 있다.
未:늦여름,6월,열기의 흙,메마른 고원.산불현장의 건조한 흙속에서 나무가
불타고 있다. 양이며 자존심이 강하며 학구적이다.
간섭받는 것을 싫어하고 성격에 급(急)한 면이 있다.
申:큰바위,암석지대,7월,초가을,결실을 준비하기 위해 낫을 가는계절
흙,물,기운이 함유된 쇠붙이이니 반도체이다.
원숭이이며 유머감각이 있고 애교, 익살,손재주가 있다. 약간 산만하다
군집생활을 좋아하며 혼자있기를 싫어한다.
종족보존의식이 강하다 이기주의적인 면이있다.
酉:순수한 금으로만 뭉쳐져 있다. 8월 차돌맹이 예리함이다.
송곳의 끝은 작고 날카롭지만 손잡이에는 큰 기운이 숨어있다.
닭이며 예언능력과 직감이 뛰어나다 꿈에서 느낀다. 신경이
예민하고 까다롭다 인정스럽다가 급변하여 냉정하거나 직선적으로
표현한다 有始無終한 경향이 있어 정리정돈이 미흡하다
戌:흙이다 9월,단풍철,황량한 사하라사막. 쇠와 불이 섞여있는 흙이니 용광로
속의코크스다. 개며 책임감이 강하고 솔직하다 온순하나 투쟁하면 잔인하다.
뒤가 없고 언변이 좋다.열이 많다.
亥:음간을 따르지만 모두 양으로만 뭉쳐져 있는 양지이다.태평양같이
넓은 바다이다. 10월,초겨울,호수이다.
홍수에 흙과 나무가 뒤섞여 휩쓸려가고 있다. 그 빛깔이 혼탁하지만
유기질이 많은 물이다. 돼지로 순하고 근성이 강하다. 변함이 없고 저돌적
이다. 병에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깨끗한 것을 좋아한다. 은혜를 보답하고
헌신적이다. 속마음을 잘 표현하지 않는 신중함이 있다.
지지에대한 그 속의 진지함을 바로안다면 12지신의 기질을 정확하게
파악할수 있게된다.
추명가 ▲오일생인(午日生人) 축혹오진(丑或午辰)-역시음독(亦是飮毒) 주의(注意)하소
▲오일봉축(午日逢丑)일도음독(一度陰毒)-
탕화살이 봉(逢)육해하여 한번 음독하여 봄이 있다.
약불기연(若不其然)탄환부상(彈丸負傷)-
만약 그런일 없으면 총알이나 파편에 부상이 있다. ▲년입지살(年入地殺)향지객(鄕之客)-생년에 지살이 놓였으니 향하는 나그네다. ▲중중인수(重重印綬)중배자당(重拜慈堂)-거듭거듭 인수성 있어 두 자당님에 절한다. ▲일월상원(日月相怨)형제불목(兄弟不睦)-생일 생월에 원진살 있으니 형제간에 불목 하도다. ▲일시상충(日時相沖)필시중혼(必是重婚)-생일 생시에 상충살 있으니 반드시 거듭 혼인한다.
상유부족(尙有不足)별가동서(別家東西)-중혼하고도 아직 부족하여 동서 두 살림 있도다. ▲백년생애(百年生涯)무정지합(無情之合)-부부궁에 간지충극하여 백년생애가 무정하도다. ▲손궁상충(孫宮相)자녀불합(子女不合)-자손궁에 상충살이 있어 자녀간 별거 또는 불합하다.
동거불가(同居不可)반호별거(反好別居)-자녀동거가 불가하고 도리어 별거함이 좋도다. ▲사중견겁(四重肩劫)이색체화(異色體花)-사중으로 비견겁이 있으니 이복형제 있도다. ▲무오화국(戊午火局)여색주의(女色注意)-무오일이 사오 화국하여 여색을 크게 주의하라. ♣역마, 지살, 상관, 살, 형 교통사고 두렵고요. ▲반음반양(半陰半陽)강유구전(强柔俱全)-음이 반이요 양이 반으로서 음양이 구전된 사주다.
본유신의(本有信義)주심미약(主心微弱)-본래는 신의가 있으나 그 주심이 미약하도다. ▲재다신약(財多身弱)부옥빈인(富屋貧人)-재가 왕하고 신이 약하여 부자집에 가난한 사람이다. ▲재살강왕(財殺强旺)처승어오(妻勝於吾)-재살이 강하고 있으니 그 처자가 나에게 이긴다.
편청내오(偏聽內吾)가화지본(家和之本)-처의 말을 잘 귀담아 들어라. 가정이 화목하는 근본이다.
▲토허목왕(土虛木旺)비위유병(脾胃有病)-토가 허하고 수목이 왕하여 비위에 병이 있게 된다.
▲목성태왕(木星太旺)위산과다(胃酸過多)-목은 산(酸)으로서 태왕하니 병명은 위산과다로다.
▲관살연좌(官殺蓮坐)외방유자(外房有子)-亥寅卯로 관살이 이어 앉았으니 외방에 자손을 얻는다.
▲역마관살(驛馬官殺)이국득자(異國得子)-역마에 관살이 임하였으니 외국에 나가 자손을 얻는다.
▲천문입조(天門入照)정통승도(情通僧道)-생일에 천문성을 비쳤으니 그 정이 불도에 통한다.
▲생일양차(生日陽差)외숙고독(外叔孤獨)-생일에 양차살이 있으니 그 외삼촌이 고독하다.
▲천마살왕(天馬殺旺)차마횡액(車馬橫厄)-역마가 살로 왕하였으니 차마에 횡액이 두렵다.
♣임일주가 상관견관 말못하는 자손이요
▲임수지혜(壬水智慧)인인자중(忍忍自重)-임수는 본래가 지혜에 속하여 참고 참을성이 많도다.
▲일월상형(日月相刑)배정향리(背井鄕離)- 생월생일이 형살이 되었으니 고향마을을 등지고 떠난다.
난수조업(難守祖業)자수성가(自手成家)-일월형은 또 조업도 못 지키고 자수로 성가 하여야 한다.
▲월건상관(月建傷官)형제수다(兄弟數多)-월건에 상관을 놓아 형제수가 많도다.
▲형제유형(兄弟有刑)별무기덕(別無其德)-형제궁에 형살있어 그 덕이 별로 없도다.
▲신왕호설(身旺好泄)선대부유(先代富裕)-신왕사주에 설함을 좋아하면 선대에서는 매우 부유했다.
▲간여지동(干與支同)손재상처(損財喪妻)-壬子는 수로서 간지동이 되어 극재함으로 파재상처다.
▲인수도화(印綬桃花)소실유덕(小室有德)-시간에 인수도화 놓아 그 소실의 덕이 매우 좋도다.
▲수옥형살(囚獄刑殺)신유구속(身有拘束)-자오묘유는 수옥살이요 형이 되면 구속되었던 일이 있다.
구사일생(九死一生)환생기명(還生其命)-구사일생 죽을 뻔한 곳에서 겨우겨우 그 생명이 다시 살아났다.
▲관봉중극(官逢重剋)서출자손(庶出子孫)-관을 거듭거듭 만나 극을 당하여 소실 몸에서 자손을 얻는다.
▲목극토관(木剋土官)기자성아(其子聲啞)-임일주의 관토가 을묘 목극을 당하여 그 아들하나 벙어리 두게 된다.
♣임계일생 관백호(官白虎)는 십중구부(十中九夫) 혈광사다.
▲임수장생(壬水長生)활발지성(活潑之性)-임수가 신에 장생하였으니 활발한 성격을 가졌다.
▲단교관살(斷橋關殺)신경통병(神經痛病)-진월 신일이 단교관살 되어 항상 신경통으로 욕본다.
▲일시봉형(日時逢刑)도인흔적(刀刃痕跡)-일시 삼형살이면 몸에 칼날로 흉터있다.
막탄기적(莫嘆其跡)차액가면(車厄可免)-그 흉터를 탄식하지마라 교통사고를 가히 면한다.
▲모쇠자왕(母衰子旺)난득자야(難得子也)-여명 일주는 약한데 식상은 강하여 자손을 얻기 어렵다.
식왕신쇠 ▲상식연합(傷食蓮合)타자양육(他子養育)-상관식신이 연하여 합신하니 반드시 남의 자손을 키운다.
▲임수목국(壬水木局)신유냉풍(身有冷風)-임수가 묘갑진으로 목풍을 놓아 몸이 항상 냉하고 풍병이 두렵다. 하원냉냉(下元冷冷)경조불순(經調不順)-그러함으로 하원이 냉냉하여 월경이 고루지 못하다.
▲식신관합(食神官合)부정잉태(不正孕胎)-관과 식신이 일지에 합하니 부정하게 애기 밴다.
▲관형호살(官刑虎殺)부군비명(夫君非命)-官이 백호대살에 刑이 되면 부군이 비명횡사 한다.
▲재인합신(財印合身)모가재취(母嫁再娶)-財父와 母印이 신으로 합하여 그 어머니 재취로 시집왔다.
▲부모지중(父母之中)일유불구(一有不具)-財父와 印母가 형을 하면 부모중에 한분이 불구된다.
♣庚辰, 庚戌, 壬辰, 壬戌, 戊戌 그 생일에 출생녀는 출가하면 남편님이 敗財, 횡사, 납치(拉致)있다.
▲임수생목(壬水生木)소식자심(素食慈心)-임수 내몸이 목을 많이 생하니 나는 잘 못 먹어도 남 먹이는 것 좋아한다.
▲생일괴강(生日魁강)부군납치(夫君拉致)-생일에 임진 괴강살이 있어 남편이 납치되어 갔다.
▲일시진술(日時辰戌)독수공방(獨守空房)-생일생시가 진술상충하여 독수공방이 처량하다.
▲임일생녀(壬日生女)백두노랑(白頭老郞)-임일주에 출생한 여인되어 나이 많은 낭군하고 삶한다.
▲관살중중(官殺重重)기비재가(豈非再家)-관살이 거듭거듭 있으니 어찌 재가하지 않을 수 있으리요
▲식상연좌(食傷蓮坐)로양압자(鷺養鴨子)-식신상관이 인묘진으로 합하니 백로가 오리새끼 키운다.
약불기연(若不其然)양가생자(兩家生子)-만약 남이 낳은 자손 안 키우면 두 시집에서 애기 낳는다.
▲관식동임(官食同臨)부정포태(不正胞胎)-관과 식신이 같이 임하여 부정으로 애기밴다.
▲수목유왕(水木有旺)풍습울적(風濕鬱寂)-임수 임묘목 진풍(辰風)이 왕하여 몸에 풍습과 울적한 氣 있다.
▲생리지통(生理之痛)경혈변흑(經血變黑)-생리통이 있게되면 그 경도빛이 검게 변한다.
▲식왕식쇠(食旺食衰)포태상타(胞胎常墮)-식신이 왕하고 일주가 약하여 포태에 유산이 자주 있다.
▲월건망신(月建亡身)모가재취(母嫁再娶)-생월에 망신살이 있으니 그 어머니 재취로 시집왔다.
♣지살마관(地殺馬官)놓은 여성 이방에서 사랑맺고 또는 국제결혼하니 신진(新進)이냐 부정(不貞)이냐.
▲삼양일음(三陽一陰)와명탄조(蛙鳴탄조)-음이 셋에 양이 하나이니 개구리 매미와 같이 소리만 요란하다. ▲사주역마(四柱驛馬)해외출입(海外出入)-사주에 역마성이 있으니 해외에 출입이 있도다.
▲역마관합(驛馬官合)국제결혼(國際結婚)-역마와 官이 합하니 국제 결혼함이 있도다.
▲관살형파(官殺刑破)난보해로(難保偕老)-관살이 충형되어 삼생가약(三生佳約)은 해로하기 어렵다.
▲삼형대귀(三刑帶鬼)극부상자(剋夫傷子)-관살이 삼형살을 띠고 있으니 관과 식신이 형하여 夫子를 剋한다. ▲금살봉형(金殺逢刑)도인상신(刀刃傷身)-금살이 형합하니 칼날로 말미암아 몸이 상한다.
▲마봉식신(馬逢食身)혼혈득아(混血得兒)-역마가 식신이 되었으니 혼혈아를 출생함이 있다.
▲관식삼합(官食三合)부정포태(不正胞胎)-관과 식신이 일주에 합하니 부정포태 있어 본다.
▲일주형살(日主刑殺)수술유적(手術有跡)-일주 형살 만나 몸에 수술한 흔적이 있다.
▲상관봉형(傷官逢刑)태아부실(胎兒不實)-상관성이 형살을 만났으니 그 태아가 충실치 못하다.
▲간합지형(干合支刑)곤랑도화(滾浪桃花)-천간은 합하고 지지는 형하니 곤랑도화살이 구성된다.
기살범지(其殺犯之)성병유음(性病有吟)-그 곤랑도화살이 범하여 방광성병 앓아본다.
♣임일주가 상관견관 말못하는 자손이다.
▲임일득령(壬日得令)지용겸비(智勇兼備)-임일주가 자월에 득령하여 지와 용이 겸전(兼全)했다.
▲임진일생(壬辰日生)음식물업(飮食物業)-임진일에 출생하여 음식물업 하게된다.
양조여관(釀造旅館)만금취득(萬金取得)-양조업이나 여관업에도 만금을 취득한다.
▲수귀동왕(水歸冬汪)호주탐색(好酒探色)-임일주가 동왕절에 출생하여 술과 여색을 매우 좋아한다.
▲생일각살(生日脚殺)상골지액(傷骨之厄)-생일에 급각살이 있어 한번 골상이 있어본다.
▲수유소실(雖有小室)조봉모별(朝逢暮別)-비록 소실이 있다하나 만나기가 바쁘게 이별한다.
▲사주관살(四柱官殺)수목제약(水木制弱)-사주관살 辰丑土가 水木에 몹시 제제 당하고 있다.
자녀익사(子女溺死)성아불구(聲啞不具)-아들 딸에 익사함이 있거나 벙어리 불구자식 둔다.
▲시상재살(時上災殺)영어지객(囹圄之客)-시간에 재살을 놓아 유치장에 갇혀본다.
▲수봉손풍(水逢巽風)노래풍질(老來風疾)-임수일이 진선풍을 만나 노래(老來) 중풍을 주의하라.
▲자진겁국(子辰劫局)이복형제(異腹兄弟)-계축자진으로 비견겁국 되어 형제지간에 배다른 분 있다.
▲관식동임(官食同臨)장모동거(丈母同居)-관 아들과 식신장모가 합하니 자녀가 장모와 같이 산다.
♣재성식상 동임(同臨)합은 장모봉양 있게 되고
▲사주역마(四柱驛馬)이역만리(異域萬里)-사주에 역마성이 있으니 이역만리 해외에서 살어본다.
▲월령겁왕(月令劫旺)형제수다(兄弟數多)-월건에 비견겁이 많으니 그 형제수가 매우 많도다.
▲신왕재흥(身旺財興)부유천창(富裕千倉)-신왕하고 재가 흥하니 매우 부유하게 잘 산다.
▲시상편재(時上偏財)난봉빈분(鸞鳳頻分)-시간에 편재성이 있으니 부부간에 짝이 각각 갈린다.
재취부족(再娶不足)신취화간(身醉花間)-재취하고도 아직 부족하여 몸이 꽃밭에 취해 눕는다.
▲재록도화(財祿桃花)인첩치부(因妾致富)-시간에 재록도화놓으면 재취소실 덕으로 잘 산다.
▲일좌편재(日坐偏財)편처동거(偏妻同居)-생일에 편재성 놓았으니 정처 아닌 여자와 동거한다.
▲편정재합(偏正財合)처첩화순(妻妾和順)-편정재가 합하니 그 처첩이 화순하도다.
▲편재득위(偏財得位)주권재첩(主權在妾)-편재가 일주에 튼튼히 자리잡혀 소실이 도리어 주권을 쥐었다.
▲식신합재(食神合財)장모봉양(丈母奉養)-식신과 재가 합하여 장모님 봉양함이 있다.
▲겁재합신(劫財合神)이안합진(異雁合陣)-비견겁이 간지로 합하여 배다른 형제가 진을 쳤도다
▲시간양착(時間陽着)처남고독(妻男孤獨)-시간에 양착살이 있어 처남이 매우 고독하다.
♣관성식신(官星食神) 동임신합(同臨身合)미가규녀(未嫁閨女)잉태하고
▲군음팔통(群陰八通)청등자수(淸燈自守)-년월일시가 전부 음으로 되어 밝은 등잔을 홀로 지킨다.
▲정우다임(丁遇多壬) 음와지란(淫訛之亂)-정화일주가 음람을 범할 우려가 있다.
▲정해투관(丁亥透官)정통도주(情通逃走)-정해일생이 투계관(透癸官)하여 애기낳고 살다가도 나간다.
▲지살관합(地殺官合)여로합정(旅路合情)-지살중에 관이 합하여 여행중에 눈맞고 정 맞는다.
▲관식합신(官食合身)미가롱와(未嫁弄瓦)-官과 식신이 합하여 혼인전 처녀가 처녀애기 배도다.
▲명암인수(明暗印綬)일천이지(一天二地)-명으로 암으로 인수 많으니 부친은 한분인데 모친이 많다.
▲재봉충마(財逢沖馬)부거타국(父居他國)-역마재가 충파되어 그 부친이 해외에 별거한다.
▲중중지살(重重地殺)해외?답(海外?踏)-해 지살이 거듭이고 사 역마 있어 해외땅도 밟아본다.
사주중관(四柱重官)난면재가(難免再嫁)-사주중에 다관성되어 再嫁하는 것 못 면한다.
▲관인동임(官印同臨)생모동거(生母同居)-官印이 동임하여 출가해서도 생모와 같이 산다.
▲음일음시(陰日陰時)연생여식(蓮生女息)-음일음시가 되어 내리내리 여식을 낳는다.
▲일좌천문(日坐天門)정통종교(情通宗敎)-생일에 亥천문성 놓아 그 정이 종교에 통한다.
♣인수축술(印綬丑戌)상형살(相刑殺)은 기조부(其祖父)가 우견피상(牛犬被傷)
▲반음반양(半陰半陽)능강능유(能强能柔)-음이 반이요 양이 반이니 강유가 구전되었다.
▲일월생합(日月生合)인화목족(隣和睦足)-생일 생월이 생하고 합하니 이웃과 친척에 화합하다.
▲편정혼인(偏正混印)모외유모(母外有母)-편인정인이 혼합되었오니 어머니 외 또 다른 어머니 있다.
▲유술천문(酉戌天門)수집약침(手執藥鍼)-신유가 봉술에 천문성 있어 손에 약침을 쥔 의사로다.
▲생일음착(生日陰着)외숙쇠몰(外淑衰沒)-생일에 음착살 놓아 외삼촌 쇠몰이다.
▲일시생합(日時生合)현처자효(賢妻子孝)-일시가 상생하고 합하여 처는 어질고 자는 효도한다.
▲년월상원(年月相怨)부조각거(父祖各居)-년월이 서로 원진(怨嗔)되어 부친과 조부가 각거했다.
▲관인상생(官印相生)부귀쌍전(富貴雙全)-관과 인수가 상생되어 부귀가 쌍전하도다.
▲편인봉술(偏印逢戌)조부횡액(祖父橫厄)-축토 편인이 봉술하여 조부가 횡액으로 돌아갔다.
▲우각촉조(牛角觸祖)비명천세(非命泉世)-소가 조부를 들이받어 비명으로 황천세계 갔도다.
약불기연(若不其然)구교모친(狗咬母親)-만약 그런 일이 없고 보면 그 어머니 개에 물려 세상 뜬다.
▲견겁혼합(肩劫混合)이안합진(異雁合陣)-비견비겁이 혼합되어 부모 다른 형제 있다.
♣백호술중(白虎戌中)편재형충(偏財刑沖) 기(其)부친이 교견사(咬犬死)라(부친 혹 숙부 고모 동일 也)
▲비견겁왕(比肩劫旺)조겁모파(朝劫暮破)-비견겁이 태왕하여 속성속패가 많도다.
▲월건망신(月建亡身)후처소생(後妻所生)-월건에 망신살이 있으니 후취택(後娶宅)에 태어난 몸이라
▲정화임살(丁火臨殺)안혼월?(眼昏月?)-丁火 광명이 殺지에 앉았으니 그 눈 시력이 일찍 어둡다.
▲술중정화(戌中丁火)편재백호(偏財白虎)-壬戌 술중 정화가 편재 父요 그가 백호대살에 임했다.
갱봉충파(更逢沖破)구교기부(狗咬其父)-그런 중 또 다시 진술이 충하여 미친 개가 그 부친을 물었다.
공수지병(恐水之病)부사비명(父死非命)-그 父 정화가 수살에 극을 받어 공수병으로 비명횡사했다.
▲시관천문(時官天門)자녀귀기(子女貴奇)-시간에 관을 놓고 천문을 놓아 자녀가 모두 귀히 된다.
▲일시유술(日時酉戌)자녀의업(子女醫業)-일시가 유술에 천문있어 자녀중에 의업이 하나 있다.
▲처궁봉공(妻宮逢空)양가지서(兩家之서)-처궁에 공망살이 있어 두 집의 사위로다.
▲일지도화(日支桃花)풍류지기(風流之氣)-생일에 도화살 놓아 바람 좀 피워본다.
▲수왈삼자(雖曰三子)이자호상(二子護喪)-비록 삼자이나 이자가 나의 호상을 설 것이다.
▲일월격각(日月隔角)난수조기(難守朝基)-생일 생월이 격각살 되었으니 그 조상의 터를 지키지 못한다.
▲추생술일(秋生戌日)급각관살(急脚關殺)-신월생인이 술월에 나서 급각관살이 되었도다.
수족이상(手足異常)팔자소관(八子所關)-수족에 이상이 있으니 이것이 팔자소관이다.
▲시상음착(時上陰錯)처남쇠몰(妻男衰沒)-시간에 음착살 놓아 처남이 역시 쇠멸한다.
▲천수아직(天授我職)기공제일(技工弟一)-하늘이 나에게 준 직업은 기술공업이 제일이다.
♣인수축술(印綬丑戌)상형살(相刑殺)은 그 조부가 우견피상(牛犬被傷).
▲사주양인(四柱羊刃)안대수강(眼大鬚强)-사주에 양인을 놓아 눈이 크고 수염이 뻣뻣하다.
▲간여지동(干與支同)고분지탄(叩盆之嘆)-干支가 同氣하여 상배(喪配)의 탄식(嘆息)이 있게 된다.
▲비겁태왕(比劫太旺)속성속패(速成速敗)-비겁성이 태왕하여 속성속패가 많도다.
▲생시천문(生時天門)정통신불(情通神佛)-생시에 천문성이 있으니 정이 신불에 통한다.
▲신왕시관(身旺時官)현처귀자(賢妻貴子)-신왕한 곳에 時間에 官이 있어 현처요 귀자를 두게 된다.
▲비견겁왕(比肩劫旺)이색채화(異色채(앵두나무 채)花)-비견겁이 태왕하여 합하니 색다른 형제나 자매 있다. ▲시봉각살(時逢脚殺)자녀상골(子女傷骨)-時間에 급각살 있어 자녀에 傷骨이 있게 된다.
약불기연(若不基然)소아마비(小兒痲痺)-만약 그 상골이 없고 보면 자녀의 소아마비가 두렵다.
▲편인술토(偏印戌土)백호봉형(白虎逢刑)-편인술토가 백호대살되어 또다시 축형을 당하였다.
구교조부(狗咬祖父)공수병거(恐水病去)-미친개가 조부를 물어 그 조부 공수병으로 세상 갔다.
▲금실무성(金實無聲)별무대성(別無大成)-금은 대단히 왕하나 화토가 부족하여 큰 성공을 못했다
♣갑진일과 을미일생 그 부친이 세상뜰 때 자살횡사 병원사니 와석종신(臥席終身) 못하리라.
▲년입지살(年入地殺)고기무익(故基無益)-생년에 지살 놓았으니 고향은 무익하도다.
▲일월격각(日月隔角)부궁불미(父宮不美)-일월이 격각하여 부친궁은 불미하다.
▲편재호살(偏財虎殺)부사혈광(父死血光)-편재 백호대살 그 부친이 피빛으로 세상 떳다.
▲월건사궁(月建死宮)형제고독(兄弟孤獨)-월건에는 사궁이 되어 형제는 고독한 운명이다.
▲일시상충(日時相沖)필시중혼(必是重婚)-생일생시가 진술로 충하여 반드시 중혼하게 된다.
▲의약가녀(醫藥家女)막결애정(莫結愛情)-갑진일생은 의약가 여자에 애정을 맺지 말아야 한다.
기녀음독(其女飮毒)괴변난면(怪 難免)-그 여자가 음독함이 있어 괴변을 면하기 어렵다.
▲일시진술(日時辰戌)천라지망(天羅地網)-생일생시 진과 술이 천라와 지망이 되어있다.
약비수인(若非囚人)명등경찰(名登警察)-이 살 놓고 죄수가 아니되고 보면 경찰관 수사관 되어본다.
▲갑일화국(甲日火局)천식해수(喘息咳嗽)-갑일생인이 오술 화국하여 숨차고 해소기침이 있다.
♣戊寅午戌 己未巳日 甲寅午戌 乙巳未日 다시 주봉(柱逢)巳午戌亥 경신신기(敬信神祇) 修道한다.
▲화개중중(華蓋重重)근심학예(勤心學藝)-화개가 거듭거듭 있어 학술 예술에 부지런하다.
▲마봉명중(馬逢命中)제전만리(蹄展萬里)-운명에 역마를 만났으니 발굽을 펴서 만리를 나간다.
▲인겁태왕(印劫太旺)조별엄친(早別嚴親)-인수와 비겁이 태왕하여 일찍 부친을 여윈다.
▲화토혼탁(火土混濁)합공승방(合共僧房)-화토가 혼탁하였으니 절간에 스님과 방을 같이 한다.
▲무일화국(戊日火局)기모승려(其母僧侶)-무일생인이 오술 화국하여 그 어머니 스님노릇 하셨다.
▲삼봉인수(三逢印綬)동서전작(東西奠酌)-인수성을 많이 놓아 동서에 잔 올린다.
▲명호운무(命好運無)불선광음(不善光陰)-사주는 좋으나 운이 없어 평생을 고생으로 지낸다
♣일주 탕화(湯火) 형천살(刑穿殺)은 탄환파편(彈丸破片) 부상(負傷)있고
{ 註:午는 탕화요 봉축은 상천살야(相穿殺也)}
▲사주토왕(四柱土旺)기성온후(其性溫厚)-사주에 화토가 왕하여 그 성품이 온후 하도다.
▲중중인수(重重印綬)중배자당(重拜慈堂)-거듭거듭 인수성 있어 두 자당님께 절한다.
▲기모신앙(其母信仰)시은포덕(施恩布德)-戊午日 火 인수국하여 그 모친이 신앙심으로 포덕(布德) 많았다. ▲월건상원(月建相怨)형제부목(兄弟不睦)-또 일월에 원진살이 있어 형제간에 화목치를 못한다.
▲생일재살(生日災殺)일도감금(一度監禁)-생일에 재살을 놓아 한번 감금이 두렵다.
▲비겁연좌(非劫連坐)이복형제(異腹兄弟)-비견비겁이 연좌하여 배다른 동기가 있도다.
▲월비급각(月比急脚)형제건각(兄弟蹇脚)-생월에 급각살 있으니 형제 가운데 다리 불구 있다.
▲오일축월(午日丑月)탕화상천(湯火相穿)-오일축월생인은 탕화상천살로 구성된다.
▲화마천신(火魔穿身)난면전사(難免戰死)-불귀신이 몸을 꿰었으니 전사를 면하기 어려웠다.
▲갑을일생 금약다수(金弱多水) 그 남편이 취중익사(醉中溺死)
♣관성위주(官星爲主) 夫君이니 관성명랑(官星明朗) 귀부(貴婦)되고
▲신왕관근(身旺官根)귀부인격(貴夫人格)-신이 왕한데 관근이 있어 귀부인격 틀림없다.
▲신좌효신(身坐梟神)유실자모(幼失慈母)-생일에 효신살 있어 일찍 어머니를 잃었다.
▲편정회인(偏正會印)서모슬하(庶母膝下)-편인정인이 회합했으니 서모님 슬하에 자랐다.
▲일시인묘(日時寅卯)인수효신(印綬梟神)-생일생시에 그 인묘가 인수성에 효신살이다.
손궁불미(孫宮不美)난보기자(難保其子)-그 자손궁이 불미하여 그 자손두기 어렵다.
▲지살중중(地殺重重)타도타국(他道他國)-지살이 인해로 거듭있어 타도타국 살아본다.
♣壬庚申일 출생인이 그 일주가 신왕이면 壬戌寅時 만나고서 其妻眼盲 妻凶死라.
▲시봉역마(時逢驛馬)해외만리(海外萬里)-시간에 역마를 놓았으니 해외만리 출입이라.
▲마두대전(馬頭帶전-화살전-)이국상망(異國喪亡)-역마가 刑을 만나 남의 나라에서 몸이 상한다.
차마상신(車馬傷身)가면기상(可免其喪)-차마에 몸이 상함 있으면 이국에 상신을 면한다.
▲시지병화(時支丙火)처궁가지(妻宮可知)-시간지지 인중병화가 나의 처궁인줄 알겠다.
▲신금래충(申金來沖)임수극병(壬水剋丙)-신금이 와서 충출시켜 신궁 임수가 剋丙한다.
▲중수공병(衆水功丙)기화몰광(其火沒光)-多水가 집중으로 극병하니 그만 그 화광이 꺼졌다.
▲기처안맹(其妻眼盲)불견촌전(不見寸前)-그 처는 그만 눈이 멀어 한치앞도 보지 못한다.
♣시상상관(時上傷官) 관불균(官不均)은 식모마담 기생이요
▲천하만민(天下萬民)각수직분(各守職分)-천하 만 백성이 각각 제 직분을 지켜산다.
▲거개서직(擧皆書職)아독야업(我獨夜業)-그 중 거개가 낮직업을 탔는데 어찌 나 혼자는 밤 직업이드냐.
▲당전사환(堂前使喚)기명기생(其名妓生)-남의 집에 이름 불리어 사니 그 이름이 기생이로다.
▲기정만금(欺情瞞金)기도낙루(幾度落淚)-사랑에 속고 돈에 속아서 그 몇번이나 눈물방울 지었는가.
▲다봉인수(多逢印綬)난면서모(難免庶母)-인수성을 많이 만났으니 서모님 면하기 어렵다.
▲재성자충(財星自沖)부친무덕(父親無德)-편재부성이 충 맞었으니 부친의 덕이 희박하다.
기부음명(其父隱命)난거와석(難去臥席)-아버지 세상 갈때에 자리에 누어 고이 가기 어렵다.
▲명암자몰(明暗子沒)안득자녀(安得子女)-明丙暗子 자손이 수에 꺼져 그 어찌 자녀 득할 수 있으리.
▲약득자녀(若得子女)안맹염려(眼盲念慮)-만약 그 자녀 득하면 안맹자녀 염려된다.
▲명봉형살(命逢刑殺)수술난면(手術難免)-사주일주에 축미형 되어 수술도 두 번 못 면한다.
▲세월시중(歲月時中)수냉위병(水冷爲病)-년월시에 모두 물이 되어 냉병으로 신음(呻吟)한다.
♣역마상관 되었으니 타국나가 상부로다.
▲세정인색(世情吝嗇)아독후중(我獨厚重)-세정은 인색하나 수생목하여 나는 홀로 후하게 산다.
▲급의급식(給衣給食)불태진대(不怠賑貸)-남에게 옷주고 밥을 주며 빌려주는데 게을리 안한다.
▲월지역마(月支驛馬)배정향리(背井鄕里)-생월에 역마성이 있으니 물마시는 샘을 등지고 떠난다.
▲천마극관(天馬剋官)이국상부(異國傷夫)-역마가 관을 극하니 남의 나라에서 상부한다.
교월만공(皎月滿空)아사비읍(我使悲泣)-밝은달이 만공산하니 나로 하여금 슬퍼 울게 한다.
▲인수패절(印綬敗絶)부모무덕(父母無德)-인수가 절,패지면 인수 부실로 그 덕이 없다.
▲식왕신쇠(食旺身衰)포태상타(胞胎常墮)-식신은 왕하고 신은 쇠하여 애기배면 자꾸만 유산된다.
▲일시상충(日時相沖)신상유적(身上有跡)-생일생시 상충되어 몸에 흉터 좀 있게 된다.
▲계일무관(癸日戊官)본래노랑(本來老郞)-계일생인이 무관을 놓아 본래가 노랑에게 시집 갔었다.
♣역마지살(驛馬地殺) 일주합(日主合)은 방외차중(房外車中)출생이요.
▲년월인수(年月印綬)잠영출세(簪纓出世)-생년월에 인수성 있어 先世에서 구슬 갓 내렸었다.
▲시마합신(時馬合身)옥외출생(屋外出生)-시간역마가 일주와 합하여 그대는 분명 옥외에서 출생했다.
▲인수성왕(印綬星旺)학업우수(學業優秀)-인수성이 왕하게 태어나 학업에는 언제나 우수했다.
일람특기(一覽特記)능독능필(能讀能筆)-한번 척 보면 기억하니 능히 읽고 능히 쓴다.
▲시상편재(時上偏財)처궁부실(妻宮不實)-시간에 편재성 놓아 그 처궁은 부실하도다.
▲생일단교(生日斷橋)낙상절골(落傷折骨)-생일에 단교관살 있어 낙상하여 절골하여 본다.
▲재임살지(財臨殺地)기부객사(其父客死)-재가 殺地 위에 앉아 그 부친이 객사한다.
▲비견겁합(比肩劫合)형제이색(兄弟異色)-비견겁이 합신하여 형제에 색다름이 있다.
▲사주천마(四柱天馬)편답이방(遍踏異邦)-사주에 역마 있어 남의 나라 땅 밟아본다.
♣정편재가 혼잡하니 이복고모 숙백(叔伯)있고
▲팔자지중(八字之中)수목전권(水木全權)-네기둥 여덟자에서 수목이 전권을 쥐었다.
▲음간종세(陰干從勢)불가부종(不可不從)-음간은 종세하는 법이므로 불가불 수목에 종한다.
▲종재득영(從財得榮)처덕아아(妻德峨峨)-그 재(財)를 따라 번영하니 그 처덕이 좋다.
▲혼사연후(婚事緣後)일익부귀(日益富貴)-혼사하고 난 다음부터 매일매일 부귀하여진다.
▲재임지살(財臨地殺)외화획득(外貨獲得)-재가 지살에 임하여 능히 외화를 벌어 들인다.
▲정편재합(正偏財合)이복숙부(異腹叔父)-정재편재가 있어 배다른 숙부가 있다.
▲사주재관(四柱財官)재정금융(財政金融)-사주에 재관이 합하였으니 재정기관이나 금융계에 출세다.
▲시관지살(時官地殺)정전관차(庭前官車)-시간에 지살 관이 되어 뜰 앞에 관용차 타고 다닌다.
♣갑을일생 月時丙戌 一子女凶死 어김없네
▲목화통명(木火通明)문명지상(文明之象)-목화가 잘 통명하였으므로 문명의 기상을 타고났다.
▲사리명철(事理明哲)금심?구(錦心?口)-모든 사리에 매우 밝으며 마음이 비단결 같고 말이 곱다.
▲역마가편(驛馬加鞭)천이빈번(遷移頻煩)-역마에 충을 놓아 채찍질하니 집 이사함이 매우 빈번하다.
해외만리(海外萬里)필유편답(必有遍踏)-해외땅 만리 길에도 반드시 살아봄이 있다.
▲관성충형(官星沖刑)부군부실(夫君不實)-관성이 沖刑되어 남편궁은 아주 부실하다.
▲수목성왕(水木盛旺)풍량신질(風凉身疾)-水는 凉하고 목은 풍인데 수목왕으로 풍과 凉病으로 몹시 앓았다.
자녀산후(子女産後)기병결차(其病抉差)-자녀생후로 그 수목이 병화로 뽑혀 득병량풍은 깨끗이 낫다.
▲식신생재(食神生財)재복유족(財福裕足)-식신이 生財 하여 그 재복은 유족하다.
▲갱임호살(更臨虎殺)기자횡액(其子橫厄)-또 다시 식신이 백호살에 있어 그 아들 횡사의 운명이다.
▲식신묘파(食神墓破)수살래극(水殺來剋)-一丙은 입묘요 一丙은 충형인데 또다시 왕한 수가 來剋火한다.
▲이자지중(二子之中)일자임종(一子臨終)-아들 둘이 있으나 그 몬래가 식신이 상하여 일자 임종한다.
▲술해천문(戌亥天門)노래염불(老來念佛)-술해가 천문성 되어 노래 염불 지극히 하며 산다.
♣경진일에 경진시는 자녀간에 익사있고
▲년월축술(年月丑戌)부파조기(父破祖基)-생년월이 축술로 형하여 부친이 조부에 재산 다 파했다.
▲사중인수(四重印綬)모외유모(母外有母)-인수가 넷씩이나 많으니 어머니 외 또다른 어머니가 있다.
▲재인유합(財印有合)모가재취(母嫁再娶)-진중 을목財 진중 술토 印이 합하여 그 어머니 재취로 시집왔다. ▲천라지망(天羅地網)신좌감방(身坐監房)-진은 천라 술은 지망되어 몸이 감방에 들어 앉아 본다.
▲생일급각(生日急脚)난면골상(難免骨傷)-생일에 급각살 있어 골상 한번 못 면한다.
▲경일진시(庚日辰時)양궁가지(養宮可知)-경일진시가 포태법으로 양궁이 되어 있다.
▲삼자지중(三子之中)형유이자(兄留二子)-글에 말하기를 삼자중에서 다못 둘이 남는다라고
▲술중정녀(戌中丁女)봉축형출(逢丑刑出)-술중에 암장되었던 정화 여식이 축형을 만나 형출되어 나온다.
▲일시경진(日時庚辰)역유수앙(亦有水殃)-경진일 경진시에 출생인은 역시 자녀형제에 수액있다.
▲강수목욕(江水沐浴)일녀익사(一女溺死)-여름철 강물에서 목욕하다가 일녀가 그만 물에 빠져 죽었다.
♣갑을일생 火식상관 사주중에 다봉수는 자녀들이 눈 못 보아 안경 쓰게 된답니다.
▲생년생월(生年生月)간극지충(干剋支沖)-년월이 천간은 상극이요 지지는 충이다.
기부기조(其父其祖)각각격거(各各隔居)-그 조부와 그 부친이 옛날에 각각 격리하여 살았다.
▲비견중첩(比肩重疊)선읍죽장(先泣竹杖)-비겁이 중첩되어 있어 부선망 하게 되었도다.
▲인개일모(人皆一母)차명이모(此命二母)-사람은 모두 어머니 한분인데 이 사주는 모친이 두분이라.
▲비견인왕(比肩印旺)시모불화(媤母不和)-인수비견이 많아 신왕되어 시모님과 그 의가 안 좋다.
▲사주인국(四柱印局)신등교단(身登敎壇)-사주 인수 놓고 잘 설하여 그 몸이 교단에 오른다.
▲구호만인(口呼萬人)여류문장(女流文章)-만인의 이름을 부르며 여류문장의 사주다.
▲정화자녀(丁火子女)오화착근(午火着根)-정화라는 자녀가 생년 오화에 뿌리를 박아 의지하고 있다.
♣경일주에 병화자손 柱中수국 만나면은 눈병신의 자손있어 밤낮으로 한숨이요.
▲경일수국(庚日水局)금수쌍청(金水쌍淸)-경금일이 子辰 水局 놓아 금수쌍청으로 매우 청백했다.
▲병경일시(丙庚日時)음성웅아(音聲雄雅)-경일생인이 병을 만나서 그 음성이 맑고 우렁차다.
▲생일역마(生日驛馬)해외출입(海外出入)-생일에 역마를 놓아 해외에 출입한다.
▲식신중중(食神重重)중배장모(重拜丈母)-식신이 거듭거듭 있어 장모님 두분 모신다.
▲자월병화(子月丙火)동천태양(冬天太陽)-자월에 병화는 그야말로 겨울날의 태양존재다.
▲다봉임계(多逢壬癸)백설분분(白雪紛紛)-천간지지로 임계수가 많아 백설이 분분하게 내린다.
▲병화자녀(丙火子女)몰광목훈(沒光目暈)-그 병화가 경금의 몸에 자녀되어 그만 역광으로 자녀 눈이 상했다.
▲병화관귀(丙火官鬼)중중수극(重重受剋)-병화관살이 사방에서 수의 극을 당하고 있다.
▲여자여손(如子如孫)서출귀자(庶出貴子)-아들 같기도 손자 같기도 한 늦게 소실의 몸에 일자를 두었다.
♣관귀중중(官鬼重重)재망극(財亡剋)은 소실몸에 득자하오.
▲중봉천라(重逢天羅)일과옥고(一過獄苦)-거듭거듭 진술사해 천라지망 놓아 한번 옥고를 치러야만 한다.
▲천마제전(天馬蹄展)편답이국(遍踏異國)-역마가 발굽을 폈으니 해외땅 밟아본다.
▲상식혼합(傷食混合)중배조모(重拜祖母)-상관식신이 혼합하여 두 조모님에 절해본다.
▲식신합재(食神合財)장모동거(丈母同居)-식신 재가 합하여 장모와 처와 같이 산다.
▲신좌일득(身坐日德)공업치부(工業致富)-몸이 日德星에 앉아 공업에 치부한다.
▲일시진해(日時辰亥)처성변태(妻性變態)-일시에 진해 귀문관살되어 처가 변태성 신경쇠약이다.
▲해수관살(亥水官殺)중중수극(重重受剋)-해수 관살 아들이 많은 토에 극을 받고 있다.
본실무자(本室無子)소실득자(小室得子)-본실에 무자하게 되고 소실몸에서 아들 낳는다.
▲식신자왕(食神自旺)손자대성(孫子大成)-식신이 왕하여 반드시 손자대에 대성공한다
♣地殺馬官 놓은 여성 해외출가 하게되고 또는 국제결혼하니 新進이냐 不貞이냐.
▲일월상충(日月相沖)필시리향(必是離鄕)-생일생월이 상충하면 반드시 고향을 떠나 산다.
▲년월상원(年月相怨)부친각거(父親各居)-생년생월이 원진이라 그 부친이 조부하고 각거한다.
▲재임급각(財臨急脚)숙부건각(叔父蹇脚)-월건 축토가 급각살에 있어 그의 숙부 다리전다.
▲편재호살(偏財虎殺)부사혈광(父死血光)-편재가 백호대살되어 그의 부친 핏빛으로 세상뜬다.
▲축미충형(丑未沖刑)필유수술(必有手術)-생월생일 축미로 삼형되어 반드시 몸에 수술자국 있다.
▲관식합신(官食合身)부정포태(不正胞胎)-官과 식신이 합하여 처녀 또는 과부로 애기밴다.
▲관성입묘(官星入墓)부입황천(夫入黃泉)-관성이 입묘하여 부군은 황천길 가게 된다.
▲사주역마(四柱驛馬)해외출입(海外出入)-사주에 역마성이 있어 해외에 출입 있어 본다.
▲마관합신(馬官合身)국제결혼(國際結婚)-驛馬官이 합신하여 국제결혼 있게된다.
▲식신봉충(食神逢沖)태아유산(胎兒流産)-그 몸에 애기 있으나 식신이 충되어 유산이다.
♣사주중에 比劫多는 난봉빈분(鸞鳳頻分) 하게되어 이녀동부(二女同夫) 싸움이니 진방지부(嗔房之婦) 이 아니냐.
▲사주생합(四柱生合)막언길복(莫言吉福)-사주가 모두 생합이라 하여 길복하다고 말하지 말라.
▲한천무우(旱天無雨)화염조토(火炎燥土)-夏月 無水의 사주로서 그 戊土가 燥土되어 나쁘다.
▲난양만물(難養萬物)초조세월(焦燥歲月)-燥土는 만물을 키우지 못하니 항상 초조한 세월을 산다.
▲자매강강(姉妹剛强)진방지부(嗔房之婦)-비견겁이 혼합하여 첩을 겪으며 사는 부인이다.
▲이녀동부(二女同夫)팔자소관(八字所關)-두 여인이 한 남편을 섬겨 사는 것도 팔자소관이다.
▲무일화국(戊日火局)승려자당(僧侶慈堂)-무일 사오미 화국을 놓아 자당님이 스님이었거나 불신자다.
▲일시효신(日時梟神)혈육포원(血肉抱願)-생일생시에 효신살 놓아 일점 혈육이 원이다.
▲성도복약(誠禱服藥)신약무영(神藥無靈)-지성껏 빌고 약먹고 했어도 신약의 영함을 못 받는다.
▲인수중중(印綬重重)중모이형(重母異兄)-인수와 비견겁이 혼합되어 두 어머니 배다른 형제다.
▲여명신왕(女命身旺)불봉옹고(不奉翁故)-여명에 일주태왕하여 시부모 안 모실려고 한다.
▲인수역마(印綬驛馬)해외수학(海外修學)-인수 역마성 놓여있어 해외에서 수학했다
♣乙辛癸巳 丁己亥日 천간투관(天干透官) 있게 되면 애기 낳고 살다가도 정통도주(情通逃走) 하기 쉽다.
▲을일묘월(乙日卯月)득령청청(得令靑靑)-을목이 묘월에 출생하여 좋은 시절 만나 청청하다.
▲중봉다화(重逢多火)도기심중(盜氣甚重)-사주에 화를 많이 만나 나의 기운이 도난 당한다.
▲목화통명(木火通命)성정명랑(性情明朗)-목화로써 잘 통하여 그 성질이 매우 명랑하다.
▲중중지살(重重地殺)해운만리(海雲萬里)-寅巳巳가 모두 지살되어 해외만리도 나가본다.
▲월봉도화(月逢桃花)후처소생(後妻所生)-생월에 도화 놓아 그 어머니 後娶로 시집왔다.
▲갑인묘목(甲寅卯木)비견혼합(比肩混合)-사주에 갑인묘목이 비견겁이 혼합되어 있다.
▲이복이부(異腹異父)형제자매(兄弟姉妹)-배다른 모친 또는 배다른 父의 형제자매가 있게 된다.
▲을사일주(乙巳日主)신금투출(辛金透出)-을사일생 출생한 사람이 신금 관이 투출하고 있다.
정통가출(情通家出)염문자자(艶聞藉藉)-정을 통하여 가출하니 염문이 자자 하도다.
▲다화금약(多火金弱)부궁불만(夫宮不滿)-화가 많고 금이 녹아서 부궁이 만족치 못하다.
▲로양압자(鷺養鴨子)을봉다화(乙逢多火)-남이 낳은 자식 키우는 것은 을이 巳巳丁火를 만난 탓이다.
▲ 약불기연(若不其然)이성득자(二姓得子)-남이 낳은 자손 아니 키우면 내가 또 다른 집 가서 애를 둔다.
연해자평(淵海子平) 십신원론(十神原論)
다른 모든 고서는 연해자평의 지식을 기초로 하고 그 위에 서술한 것이다.
따라서 연해자평을 모르면 다른 고서를 공부하더라도
기초가 부족하여 제대로 그 뜻을 파악하기가 난해하고 어렵다.
관성(官星)
1. 관살혼잡이라도 살이 쇠지에 있고 관이 왕지에 있으면 혼잡으로 보지 않는다. 또는 칠살이 제복되었어도 혼잡으로 보지 않는다.
2. 時柱칠살은 반드시 흉은 아니니 월에서 제압하고 신왕하면 反殺爲權이 된다. 그러나 칠살이 연월에 다시 있으면 辛苦艱難의 명이다.
3. 雜氣財官은 형충운이 와야 재관이 투출하여 발복한다. 원래 형충파해가 있으면 다시 형충을 요하지 않는다. 비견이 있으면 천격으로 본다.
4. 정관을 합하면 귀하지 않고(羈絆), 칠살을 합하면 흉이 아니다. 5. 신약살왕은 빈천하지 않으면 夭死한다.
6. 관성이 태왕한데 관왕지로 가면 흉화가 생한다.7. 정관이 정인을 대동하고 형충파해가 없으면 나라의 동량이 된다.
8. 신약하면 정관도 칠살과 같고, 신왕하면 칠살도 정관과 같다.9. 時에 일록이 되면 관성운을 기뻐하지 않는다.
정관(正官)
1. 年柱의 정관은 소년에 등과하고 조상이 榮貴하다.2. 정관은 순수해야 한다. 하나만 있어야 좋다.
3. 정관은 형충파해를 크게 꺼린다.4. 관살혼잡은 칠살을 제복하는 식신운이 와야 한다.
5. 정관이 많아도 순일하면 흉이 안된다. (男命, 여명은 흉함.)6. 노관장살(露官藏殺)은 좋고, 노살장관(露殺藏官)은 나쁘다.
7. 관성이 노출되고 淸高하면 위인이 현달하고, 칠살이 노출되면 흉랑이라 위인이 급하고 포악하다. 8. 정관이 탐합망관(貪合忘官)이면 榮華가 부족하다.
9. 월령정관은 재왕하고 인수가 있음을 기뻐한다.10. 갑목이 신금정관인데 酉月중기이후에 출생이면 참된 정관격이다. 지지에 사유축금국이면 酉月중기이전이라도 길하다.11. 정관격은 신왕하고 상관겁재가 없어야 한다.
12. 정관격에 상관운은 나쁘다.13. 임계일생에 지지에 진술축미사오가 많으면 관성이 태과한데 천간에 관살이 투출되지 말아야 한다.
14. 관살이 암장되고 많으면 제복해야 한다. 제복이 없으면 목운이 오거나 삼합하여 목국이 되어야 좋다. 그러나 다시 관성운이 되면 모든 일이 성취되지 않는다.15. 정관은 월령에 있는 것이 중하다.
16. 정관은 정인이 있어야 하니 정관이 정인이 없으면 淸閑한 직책을 맡을 뿐이다.17. 관이 많으면 관이 아니니 좋지 않다.
편관(偏官)
1. 칠살이 왕성할 때 인수운이 가장 좋고, 비겁운도 좋으며 식상운도 좋다.2. 木이 신약이고 金칠살이 왕성하면 水, 木, 火운이 다 좋다. 단, 濕土가 많으면 水를 쓰지 못하고 火를 써야 한다.
火가 신약이고 水칠살이 왕성하면 木, 火, 燥土가 다 좋다.단, 燥土가 많으면 木만 용신이다.
土가 신약이고 木칠살이 왕성하면 火, 燥土, 金이 다 좋다. 단, 燥土가 많으면 火를 쓰지 못하고 金을 써야 한다.
金이 신약이고 火칠살이 왕성하면 濕土, 金, 水가 다 좋다. 단, 濕土가 많으면 金만 용신이다.
水가 신약이고 土칠살이 왕성하면 金, 水, 木이 다 좋다. 단, 濕土가 많으면 木만 용신이다.
3. 칠살이 탐합망살(貪合忘殺)이면 복이 된다.4. 월지편관은 歲月時中에 제복되어야 한다.
5. 월령이 건록이라도 칠살이 모이면 흉하다.6. 甲日卯時이면 묘목이 칠살을 암합하므로 칠살의 흉조가 사라진다.
7. 사주에 살이 왕성하고 신왕운으로 가면 官界로 입신한다.8. 甲이 寅月이면 신왕하고 寅中丙火가 제살하니 칠살은 관성으로 변화한다.
9. 사주에 칠살이 전부 나타나 있고(칠살,상관,겁재), 신왕하면 極貧하다.10. 신강하고 칠살이 약하면 殺로써 權貴를 삼는다. (假殺爲權)11. 殺重身輕이면 종신토록 손해가 있다.12. 편관칠살은 소인이니 무지흉포하고 거리낌이 없다. 노력하여 군자를 양성하고 군자를 호위함이 마땅하다. 그러므로 조복시켜야 한다.
13. 칠살에 삼형이 모두 있고 육해가 있는데 괴강이 상충하면 흉성은 말로 할 수 없다
. 14. 사주에 칠살이 하나만 있고 제복되면 복이 되나 칠살이 중중한데 대운이 제복운으로 가면 복이 될 것이 없다.
15. 제복하면 편관이 되고 제복이 없으면 칠살이 된다. 소인이 조어되면 정도를 행할 수 있으나 조어되지 않으면 대적하기 어렵다. 16. 칠살을 대동한 자가 貴命이 많다.
17. 칠살이 삼형육해를 만나고 양인괴강이 충되면 흉하다.18. 신왕하고 칠살이 약하면 가살위권이 되는데 이 때는 형충을 꺼리지 않는다. 신왕하고 합살이 되거나 식신제살이 됨을 기뻐하고 양인을 봄을 기뻐한다. 재성이 칠살을 생조하 는 것은 꺼린다.
19. 巨富와 大貴가 칠살이 있는 경우가 많다. 20. 일지칠살인데 월지칠살이 있으면 화가 중하고 時에 칠살이 있으면 화가 가볍다.21. 일지칠살이 양인과 충이 되면 크게 흉하다.
22. 時의 칠살도 하나만 있어야 하고 연월시에서 제복함이 있으면 복이 된다.23. 시주칠살은 양인을 꺼리지 않고 충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시상칠살은 충되고 양인이 있음을 좋아한다.24. 칠살이 많으면 칠살이 아니니 오히려 해롭지 않다.
인성(印星)
1. 인성은 생왕해야 하고 사절은 꺼린다. 2. 월령인성에 천간에 재성이 없으면 참된 인수격이다.
3. 인수격은 관성운을 좋아하고 재성운을 싫어한다.4. 인수격은 형충을 꺼린다.
5. 戊日午月은 火가 많으면 인수격으로 보고 양인으로 보지 말라.6. 월령인수는 歲,時에 재성을 만나지 말아야 한다.
7. 인수가 손상되면 영화가 있더라도 오래가지 못한다.8. 관성만 있고 인성이 없으면 참된 관성이 아니나 인성만 있고 관성이 없어도 오히려 복을 성취한다.
정인(正印)
1. 인성은 관살을 좋아하고 재성은 두려워한다. 2. 여러 격국이 있어 우열을 가릴 수 없으면 인수격을 최상으로 친다.
3. 인수격은 관운을 좋아하고 재운은 꺼린다.
4. 인수는 月이나 時에 있는 것이 좋으며 월상인수가 가장 좋다. 5. 정인은 정관이 있어야 관인양전이 되어 귀명이 되고 복이 두텁다.
6. 관이 없고 대운이 재운으로 인수를 파하면 破家하고 祖宅을 떠난다. 7. 정인격은 칠살을 꺼리지 않으니 칠살이 정인을 생조하기 때문이다.
편인(偏印)
1. 도식은 財神을 충하며 탄함살이라고도 한다. 2. 편인은 재성과 식신을 싫어한다. 3. 갑목이 병화식신을 쓸 때는 임수편인을 크게 꺼린다.
재성(財星)
1. 부하면서 귀한 것은 財旺生官이다.2. 신왕재왕이면 좋고, 재다신약은 흉하다.
3. 재다신약에 관성운이 되면 재화가 생기니 관운을 만나지 말아야 한다. 4. 재다신약에 식신운이 와서 식신이 칠살과 합이 되면 재앙이 된다.
5. 재다신약에 재운이 오면 처와 재산으로 인하여 재앙을 받는다.6. 재성은 편정을 불문하고 인수를 좋아한다.
7. 관성은 노출되는 것이 좋으나 재성은 지지중에 암장된 것이 좋다.8. 재가 많은데 재운이 오면 재가 살로 변한다.
정재(正財)
1. 재왕하고 천간에 관성이 있으며 신약하면 가난하고 구제하기 어려우니 신왕운이 약이 된다. 관운이 흉하다. 2. 사주에 인수가 없는데 재성운을 만나면 탐재괴인으로 禍患이 百出한다.
3. 재다신약인데 칠살운이 오고 형충을 겸하면 그 화를 말로 다 할 수 없다. 4. 재가 약하면 관성을 꺼리고, 인수를 좋아함은 신왕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편재(偏財)
1. 편재격이 신왕하면 영웅호걸의 명조이다.2. 편재는 衆人之財이므로 비견겁재가 分奪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3. 시상편재는 비겁을 꺼린다. 4. 관성이 있으면 화환백출이다. 5. 재가 많으면 일주와 힘을 비교해 본다. 5. 사주에 비견겁재가 많으면 관운에 발복한다.
식상(食傷)
1) 식신(食神)
1. 식신이 有氣하면 財官보다 낫다.2. 時에 식신이 有氣한데 月에서 파괴하면 파격이다.
3. 식신은 관성은 기뻐하지 않고 편인이 奪食함도 꺼린다. 4. 식신을 편인이 탈식하면 辛苦하고 가난하며 공연히 바쁘고 화환도 생긴다.
5. 財神이 식신을 相食하는 것을 기뻐한다. 6. 식신은 하나만 있어야 좋다.
7. 신약하거나 도식이 있거나 식신이 많으면 청하지 않다.8. 신왕함을 좋아하고 인수도 싫어한다. 식신의 길흉은 재성과 같다.
9. 월령에 식신이 있고 時에 칠살이 있으면 대귀한다.10. 식신은 앞(연월)에 있고 칠살은 뒤(時)에 있어야 귀하다.
11. 식신과 칠살이 가까이 붙어 있으면 재앙이 된다.
상관(傷官)
1. 상관격이 정관을 보면 화가 백단이다. (傷官見官 爲禍百端.)2. 상관상진(傷官傷盡, 관성이 없거나 있어도 상관에 의해 파진된 것)이 되어야 한다.
3. 상진되지 못하여 사주내에 관성을 보고, 대운에서 관성운이 되면 그 화가 극심하여 말로써 형언할 수 없다. 4. 월령에 상관이고 사주가 합하여 상관을 도우며 대운이 신왕운으로 가면 眞貴人이다.
5. 인수가 상관을 제압하면 좋은데, 사주에 인수가 없고 신약하면 정관은 꺼리나 칠살은 꺼리지 않는다. 칠살은 인수를 생해주고 상관에 의해 파극되지 않기 때문이다.6. 만약 상관상진되어 사주에 관성이 없는데 신왕운이나 인수운으로 가면 귀명이 된다.
7. 상관상진되었고 신왕하더라도 사주에 재성이 일체 없으면 가난한 사람이다.8. 상관은 재를 만나야 좋다.
9. 상관의 피해는 칠살과 다름없다. 10. 상관격에 칠살은 오히려 권귀를 돕는다.
11. 화토상관격은 상진되어야 한다.12. 금수상관격은 관성이 있어야 좋다.
13. 목화상관은 관성이 왕성하고 인성이 있어야 한다.14. 토금상관은 관성이 제거되고 인성이 있어야 귀하다. 15. 수목상관격은 재성이나 관성을 다 좋아한다.
비겁(比劫)
1. 양간이 형이고 음간이 동생이다. 2. 일지가 비겁이면 궁핍하고 손재상처한다.
3. 특히 신왕하고 일지비견이면 극처한다.4. 겁재양인은 시와 세운과 대운에서 다시 만나면 재액을 만난다.
5. 양인은 時에 있으면 흉하지 않다. 6. 신약할 때는 일주를 도우므로 흉하지 않다. 단, 양인이 거듭 있어서는 안되고 時에 있는 관성이 극해되어도 흉화가 된다.
7. 양인은 재왕운을 싫어한다.8. 양인을 형충파해하면 흉하다.
9. 일간이 약한데 시에서 양인을 만나면 흉하지 않다.10. 양인이 세군을 충합하면 재화가 도래한다.
11. 양인은 천상의 凶星으로 인간의 惡殺이니 祿前一位가 그것이다.12. 양인격은 편재와 편관칠살을 좋아하고 인수를 좋아한다.
13. 양인격은 반음(反吟, 子年생은 午年, 연지와 충되는 해)과 복음(伏吟, 子年생은 子年, 연지와 같은 해)을 꺼리고 괴강을 꺼리며 삼합국이 되는 것을 꺼린다. 14. 양인은 부귀한 사람이 많다.
15. 칠살만 있고 양인이 없으면 현달하지 못하고 양인이 있으나 칠살이 없으면 위엄이 없다. 양인과 칠살이 모두 있으면 비상한 사람의 명조이다.16. 양인은 신왕해야 하고 상관운은 흉하고 양인운도 꺼린다.
17. 사주에 양인과 칠살이 모두 있는데 대운세운에서 다시 만나면 그 화가 비상하나 사주에 양인만 있고 칠살운이 오면 오히려 복이 된다.18. 양인격에 칠살이 있고 상관도 있는데 형충악살이 모이면 횡사한다.
19. 운로의 정관이 희신인데 사주의 양인이 충하면 화가 된다.20. 대운과 세운의 한쪽에서 양인을 합하고 다른 한쪽에서 양인을 충하면 불가하다.
正印(印綬)
1. 印이란 선천적으로 사물을 수용할 수 있는 힘이므로 `慈悲`의 원천이 된다.
知에 대한 욕구에서 偏印은 종종 치우치고 쉬 질리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印綬는 실제적, 합리적이자 납득이 갈 때까지 파고드는 차이가 있는데 학자와 전문가의 차이 정도로 이해하라.
2. 남을 소모시켜 내게 득이 되는 印綬와 나를 소모시켜 남이 득이 되는 傷官의 차이를 궁리해보면 吉星임에 틀림이 없다.
3. 印綬가 깨끗하면 자연 情이 많고 혜택 받은 환경에서 자라며 成格이
온화하고 선량해진다.
4. 知性이나 정조 면에서 온전하게 잘 발달하니 正財의 剋만 비켜나가면 아름답다.
5. 他人의 평가란 꼭 일의 질, 그 자체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어서
같은 일을 해도 칭찬은 인수가 독차지한다.
印綬는 자연스럽게 인정받는 데 반해 偏印은 탁월해야만 인정을 받게
되는 차이가 있다.
6. 劫財를 반기며, 印綬가 食神과 干合하면 高貴함을 잃고 제 멋대로 구는 傾向이 있게 된다.
7. 偏財와 干合하면 人生이 平凡해지고 高貴함을 잃게 된다.
8. 正官, 正印의 조합이야말로 사회적으로 무난하게 성공하기는 제격이다.
9. 殺이 正印과 함께하면 印이 더욱 강해지므로 한번 상승운을 타면
그 기세가 맹렬해진다.
四吉神에, 財官은 하나만 있어야 吉하며, 印食은 두 個가 있어도 무방하다.
10. 印星이 혼잡되면 생각이 많아져 한 가지에 만족하지 못하니
성취의 속도면에서 지체될 가능성이 크다.
正印格
대개 모든 格局은 身弱하면 破格이 되지만 正印格과 偏印格만은 身弱해도
상관이 없다. 正印格은 순용의 격국이니 기본적으로 正官과 七殺을 반기게
된다. 반대로 財星이 印을 파하면 破格이 된다.
財가 印을 파괴하게 되면 正官이나 七殺로 이를 財生官, 官生印하여 통관으로
成格을 이룬다. 또한 劫財나 羊刃을 반기며 이로써 財를 약화시켜 좋아진다.
羊刃과 印星은 日干을 강화하는 六神으로 이러한 성분이 겹치면 질병이 있거나
고독 하거나 고집이 세거나 버릇이 없다. 女命 印格에 羊刃이 있으면 반드시
食傷이 있어야지 그렇지 않으면 매우 불행한 삶을 살아가게 된다.
偏印
1. 偏印을 倒食이라 하기도 하는데 `밥그릇을 엎는다`는뜻이니 食神에게 가장타격을준다.
2. 梟神이라고도 하는 바는 女命의 食神, 자식을 쓰러뜨리기 때문이다.
3. 偏印이 傷官을 제어하는 구도라면 흉성이 제어되는 바, 吉星으로 바뀌어
위력이 커지게 되니 자고로 命式에 偏印과 傷官, 이 둘을 갖추었다면 그 知性의 걸출 함이 보증된다.
4. 偏印이 偏官의 범퍼존이 되면 그 권력과 지배력, 행동력이 正官을 능가하므로 리더십이 출중하다.
5. 偏의 성분은 특수한 분야에서 재능이 걸출해짐을 의미한다.
자못 흉성들은 運氣가 나빠지면 위태로운 전조가 있으니 도박으로 말하자면
그 판이 너무 커서 안정성이 부족한 것 같은 것이다. 한마디로 흉운기에 크게
흐트러지는 바는 다 명식의 흉신들이 제각기 표를 내기 때문이다.
반면 시대가 고도로 성숙된 사회를 지향하면 이 偏의 활동 영역이 더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 偏財 - 유통되는 財를 운용 (거부를 실현하는 방편)
※ 偏官 – 自手成家 형의 영달 (문벌, 핏줄과 무관하게 자신의 지력과
완력으로 패권을 쥠)
※ 偏印 - 세분화된 사회의 전문가적 지식 (비생산적, 비실업적 세계에서의 명예)
한마디로 偏印은 公이 아니라 私, 일이 아니라 유희, 겉이 아니라 속,
구체적인 아니라 추상적인 테마와 관련한 평가나 명성이 지배하는 속성이
강하다.
그러므로 國家나 단체, 집단의 사정에 따라 이 偏印의 지위와 작용력이
달라지니. 타고난 재능이나 천부의 자질은 오직 偏印이나 평가를 받는 것은
환경이 주관하는 셈이다.
正偏에 대하여 [ 변화하는 사주학의 패러다임 ]
봉건 사회나 다소 성숙하지 않은 사회에서는
人生의 幸福이 우선 먹는 것 (食神),
다음에 저축 (正財),
그리고 도산할 일이 없는 관리 (正官),
다음으로 상을 받거나 명예로운 평가가 따르는 (印綬)
와 같은 順으로 가치가 정해지게 된다.
이 같은 가치관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응당 혈통이니 문벌이니 간판이니
고급 관리가 중시되며 偏字가 붙은 분야는 자연 등한시되기 마련이다.
반면 고도로 분화된 성숙 사회에서는 좀 다른 가치관의 체계가 형성될 것인데
먼저 기술이나 기예, 문화, 예술, 두뇌 작업에 몰두하는 것 (傷官)을 인정받게
되며, 財物을 저축하기보다는 운용하는 것 (偏財)에 가치를 두게 되고 , -
`유통되는 財의 운용`이라는 것은 눈에 보이는 것에 가치를 두는 미성숙한
사회의 구조에서는 생각이 미치지 않는 범위라 할 수 있다 -
무형의 정보가 경제를
움직이고 상상이 구체화되면 시스템으로 발전되는 이 사회에서 부모의 유산을
지키려고만 하는 사고방식으로는 시대 흐름에 대응이 되지 않는다.
결국 실력, 재능 제일주의의 경향이나 가치관이 주도하는데 (偏官), 그러한
다양한 가치관과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재능, 삶 (偏印)도
사회가 인정하게 되니, 현대는 正에서 偏으로 사주학의 가치나 지식체계의 해석
패러다임이 轉移되는 시점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6. 財星的 재능이나 官星的 재능은 훈육과 개발에 의한 것이며,
印星과 食傷的 재능은 타고난 재능이라 할 수 있다.
偏印과 傷官을 구분하자면 `잠재적 재능`, `가능성의 재능`이 전자요,
드러난 재능`, `눈에 보이는 재능`이 후자라 할 수 있다.
印星이 지배하는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물을 수용하는 힘이 있고, 원천적
호기심이 왕성하여 이치를 깨닫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나, 食傷星의 드러난
재능은 어느 형태로든 자극을 받아 표출되지 못하는 그 재능이 무력해질 수
있으므로 자칫 잡다한 지식인이나 유흥인의 한계를 극복하기 힘들 수도 있다.
7. 偏印은 남이야 뭐라 한들 제 좋으면 만족하는 성향으로 때로는 무한정
게을러지기도 하는데 용두사미는 그런 연유에서 비롯된다.
8. 財로 인해 偏印이 剋破 당하면 천부적 재능은 상실되고, 印星이
혼잡되면 산만한 기질로 인해 재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9. 偏印을 偏財가 合하면 印을 버리고 財에 붙는다 하여 조업을 물려받지
않고 독립하게 된다. 반면 合이 아닌 偏財의 제어는 반긴다.
재능은 자극 당하며 재능이 財와 연결된다.
10. 偏印이 좋은 조건에 놓이면 비범한 재능을 발휘하며 인기와 명성을
獲得財를 얻으나 偏財의 그것처럼 큰 규모는 아니다.
11. 貪財壞印이라, 財를 쫒으면 필시 그 재능을 삭감된다.
偏業
正業, 實業과 상대되는 이 말은 비생산업의 뉘앙스가 강하다.
이 偏業의 대표적 직종이 바로 구류술업으로 印星과 食傷星은 종종 이 구류술업이 적합하다고 한다. 종교가나 학자, 의사, 법률가, 교육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재앙에는 `자신의 뿌린 씨`와 `천재지변`의 차이가 있다.
가령 스스로 적자를 감수하여 재적 손실을 보는 것과 태풍이 싹 쓸어가
터전을 잃는 것은 차이가 크듯이 자의적 손실과 타의적 피해로 양분된다.
이러한 차이는 가령 이러한 차이에서 비롯된다. 바로‘偏印格에 食神이 있는가,
食神格에 偏印이 있는가’의 차이라 할 수 있다.
偏印格
日干이 身弱할 경우에는 偏印도 용신이 될 수 있으나 印綬는 日干을 생조하는
데 주로 쓰고 偏印은 화살하는 데 주로 쓴다.
고서에 이르되, "偏印格이 官殺을 보면 다성다패하고 偏印이 財星을 만나면
오히려 영화롭다. 梟神이 왕하면 임기응변에 능하니 처음에는 부지런했다가
결국은 게으르고 학예를 좋아하나 성취는 적다.
偏印이 년에 있으면 조상의 업을 망가뜨린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偏印格은 偏財가 있어서 극해야 하는 逆用의 格局으로 成格된다.
따라서 偏印格이 身强하고 財가 투출하면 좋다.
偏印과 傷官은 예술을 뜻하여, 음악, 시, 그림, 철학, 종교, 문학에 심취하는
경향이 있는데 財가 있어야 큰 성취를 이루게 된다. 偏印格에 羊刃이 있으면
羊刃이 財를 극하므로 用神을 극파하는 결과가 되니 흉하다.
偏印格이고 日支가 財星이면 재복과 처복이 있다. 또 天干의 偏印이 財星을
좌하면 吉하다. 예컨대 甲日이 壬辰이나 壬戌을 만난 경우다.
正官
1. 正財, 妻가 낳는 正官은 子息이 된다.
자식이 낳은 명예, 印에 의해 男子는 태어나니 자식의 명예로 남자는
그 일생을 보답 받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가문의 명예로 父子 관계는 이어지게
되므로 正官이 상처를 입으면 명예는 생기지 않고, 印星이 너무 많으면 아버지는 기대가 크나 자식이 그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女性의 입장에서 보면 자식이 낳는 財에 의해 官을 生하여 그 남편이
편해지니 男印女財의 보편적 가치가 정해진다.
2. 예전부터 貴한 神으로 貴氣라 하여 중시하였고, 이는 印綬를 낳아
지성 또한 발달하여 리더가 되나 치밀해서 인색하다는 평이 돌기도 한다.
3. 月支 正官이 眞官으로 官祿과 연이 깊다고 할 수 있다.
4. 公義와 公論을 중시하며 왕도를 가고자 하는 正官의 순수성은 劫財에
의해 희석된다.
官星이 羊刃을 보면 때론 술수를 행하고 위법하기도 하거니와 이를 두고
劫財가 貴氣를 훔친다고 말한다. 혼탁한 경쟁사회를 피할 도리가 없다면
이런 개성도 또한 필요하거니와 편 가르기를 일삼는 정객들이나 실업가의
명에서 종종 보게 되는 유형이다.
5. 正官과 食神이 干合하면 겉보기는 성실한 듯 하나 끈기가 부족하고
결실이 없다.
6. 月柱 正財, 正官이면 父母의 유산은 보증된 국면이다.
7. 印綬를 護祿神이라 하는 이치는 傷官을 제어하기 때문이다.
正官格
正官格은 順用의 格局이므로 格局이 日柱보다 强할 경우에 傷官으로 正官을
剋하기보다는 印星으로 正官을 설기하여 日干을 생조함이 마땅하다.
正官格은 財星과 印綬가 있고, 身弱하지 않고, 傷官과 七殺이 없고, 刑沖과
正官의 合이 없으면 成格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조건을 구비하여 成格이 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破格 後에 다시 成格이 되는 조건에 합당해도 이를 채용한다.
이 같은 바를 두고 敗中有救 혹은 忌中有救라 하는 것이다.
正官格이 成格되지 못하는 요인 中에 우선이라면 傷官이 正官 옆에 貼한
경우다. 正官格은 傷官을 用神으로 삼지 못할 뿐만 아니라, 傷官이 있으면
破格이 되어 빈천하게 된다.
이 傷官을 財로 설기하거나, 印綬로써 傷官을 제압시키면 傷官은 正官을
剋하지 못하므로 成格이 된다.
地支의 傷官은 合沖으로 무력화시키면 成格을 이룰 수 있다.
官殺이 혼잡된 경우라면 合殺留官이 된 경우나, 羊刃으로 七殺을 무력화시킨
경우에 한해 成格을 이룬다. 이외의 경우는 번잡하여 채용할 여지가 없다.
財格의 成格과 마찬가지로 日干과 合을 이룬 正官은 破格의 요인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他干과 合을 이루면 마땅히 格을 이루지 못한다.
모든 格局은 格局을 이루는 것이 合이 되면 破格이 되는 법이다.
刑沖으로 인한 破格의 여지가 있다면 三合 또는 六合이 있어 刑沖을 해소해야
비로소 成格이 된다.
雜氣財官의 경우 오히려 刑沖을 반기는 이치가 있는 데 이 원리에 대한 바른
규명은 ‘Touching the core <′ω` 야부리 刑沖會合 특강 >’에서 단서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身弱命의 경우 成格시키는 ‘子平眞詮’의 설명법은 번거롭다. 이는 格局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各其 상이한 이론을 채용하기 때문이다. 현대의 子平法
(偉千里의 ‘命學講義’ 이래, 現在로는 ‘滴天隨 써머리’가 표방하는 관법이
가장 선진적라고 생각한다)은 약간의 이론이 있음에도, 月支의 地藏干이 天干에
투출한 것으로 格局을 정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었다.
이 경우 月支가 생조하는 五行의 天干으로 格局을 정하는 방식은 채용하지
않으며 - 물론 이때도 天干에 透出한 글자들이 아예 통근한 경우가 아니라면
月支 자체로만 格을 정해야 할 경우가 있기는 하다 - 이 점에서는 ‘三命通會’
나 ‘子平眞詮’, ‘命理約言’등의 이론체계를 굳이 고집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八字術 실전의 효용성이나 현상의 적중성을 감안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偏官
1. 偏官은 七殺로 위해를 加하는 힘이 적지 않으니 食神의 制御, 印의 범퍼존이 필수적이다.
偏官은 나를 죽이려 드는 적장에 비유되어, 위험요소이되 그 용맹함과
과감성은 탐나니 내 편으로만 만들면 忠臣이 되나, 내 편이 안 되면 피를
흘리게 하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위인이 총명하고 담력이 있으며 전술에 능하여 적을 쓰러뜨리고 있다면 偏官의 성분이 자신의 편이지만 타인을 얕보거나, 권모술수에 능하거나, 상식을 벗어난 파격성이 지배할 때는 日干의 명맥을 끊을지도 모를 凶神이 된다.
한편 적장도 쓸 만한 적장이라는 생각이 들려면 어쨋거나 이 偏官의
세력은 일단 강해야 제 구실을 한다.
2. 파괴적 행동을 하며 주색에 빠져있을 때의 모습을 가장 경계해야 한다.
3. 殺星이 드러나면 겉은 화려하고 리더십이 뛰어나 남의 눈에는 잘 띄나
자신을 지키는 데 의외로 약할 소지가 있다.
4. 運이 극도로 저조하게 되면 자신를 부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자포자기하게도 만드는 요인이 된다.
5. 刃과 貼하거나 同柱하면 이 殺은 刃을 빌어 그 권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결합은 吉凶 어느 쪽이든 상관없이 강렬한 개성의 띤 人生이
될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운기가 호전되면 순식간에 패권을 잡지만 흉운기
에는 기구한 팔자가 되기도 한다. 特히 時柱에 위치하고 日柱 陽干의
경우라면 이러한 현상이 더욱 뚜렷하다.
6. 女命에 官殺混雜도 문제거니와, 殺만 많아도 문제니, 重하면 생가에
머물기 어려우며 일찍 집을 나서고 이성을 일찍 알아 패가망신이 두렵다.
7. 偏官, 劫財의 干合, 偏官, 傷官의 干合은 일단 凶意를 제거한다.
凶神일지라도 干合보다는 제어에 의한 逆用이 마땅하다.
干合으로 성분 자체를 희석시키면 강렬한 개성이 사라져 리더십은
현저하게 소멸된다.
가령 偏官이 合하면 투쟁성이 소멸되며 自己 세계에 빠져들어 틀어
박히니 쉬우니, 合을 푸는 시기에 殺의 성정이 표출된다.
七殺格
七殺格은 逆用의 격국인 바, 食傷으로 制殺하는 것이 上格이고 印綬를 쓰면
그 다음이 된다. 까닭에 身弱하면 破格이 되기 십상이다. 또한 身强한
七殺格일지라도 天干에 財와 七殺이 모두 透出하면 格이 떨어지기 쉽다.
七殺格에 食傷이 透出하면 食傷制殺이 되어 좋다.
이때 印綬는 필요가 없으니 七殺格에 印星과 食神이 겹치면 破格이 된다.
七殺과 印綬가 天干에 透出하면 化殺爲權이 되어 좋다.
이때는 羊刃이 겹치는 바를 기피한다.
殺印相生의 구도에서 羊刃이 있으면 身强함이 지나치게 되어 成中反敗의
예로 나타나기 쉽다는 것이다.
羊刃駕殺이 되면 成格된다.
陽日干의 劫財는 七殺과 合하거나 能히 감당할 수 있으므로 七殺을 크게
두려워하지 않는다. 羊刃架殺의 成格이 되려면 七殺은 앞에 있고 羊刃은
뒤에 있어야 한다.
食神과 七殺과 羊刃이 모두 있을 때는 食神이 제일 앞에 있고 七殺이
가운데, 羊刃이 맨 뒤에 있어야 吉하다.
무릇 身殺이 균형을 이룬 身殺均停의 身强殺强命을 貴하다 한다.
이는 身强하여 능히 七殺을 감당하여 양자간에 균형을 이룬 형상이다.
그러나 甲寅日이 庚申月을 만나고, 丙午日이 壬子月을 만나면 五品의 官職에는
오를 수는 있어도 오래 가지는 못한다고 하였다.
古書는 이를 가리켜 身殺二停 貴而不久라 食傷이나 印星의 범퍼존이 복록의
유구함을 상정하는 요인이 된다.
正財
1. 기본적으로 노력형에 정이 깊은 인물이며 성실, 견실, 절약하는 위인이
正財나 財多하면 통속적이 된다.
땀 흘려 거둔 `自己의 財`를 正財라고 하니 이를 토지에서 거두는 경작물에
비유해 본다면, 劫財는 가뭄, 해충, 질병의 원흉이 되므로 가장 두려운 것이다.
食傷이 없다면 그 土地가 척박하고, 財가 지나치게 많다면 경작지가 너무 넓어
황폐화되기 십상임을 암시한다.
2. 財星不眞이 되면 허영이나 탕진으로 상징되어 사람은 화려하고 재미
있으나 천성은 경박하고 말만 앞세우는 경향이 농후해진다.
3. 庫中財의 형상이면 인색과 일의 은닉을 암시한다.
4. 劫財의 위협을 받는 命式 원국에 劫財運이 도래하면 아내의 신변에
재앙이 찾아온다.
5. 나와 결합하는 正財는 아름다우나 他와 合하는 正財는 문제가 된다.
6. 一陰一陽이 太極, 宇宙의 진리일지니 一陰二陽, 二陽一陰은 正道를
벗어난 것으로 파란이 올 암시다.
7. 財官雙美란 正財, 正官 吉星의 조합을 의미하여 干合을 기피한다.
8. 財로써 官을 나으니 이를 順理富貴라 한다.
順理에 따른 先後의 개념은 ① 先命後運 ② 先干後支 ③ 先月支後時支의
順을 원칙으로 한다.
9. 正財가 偏官을 보면 官位를 얻기 위해 가진 財産 모두를 들이민다는
의미니 스스로 위기를 자초하게 된다.
대개 相生의 관계는 陰陽이 같은 무정이 陰陽이 다른 有情의 관계보다
좋을 경우가 많다.
10. 食神으로 殺을 다스려야 財는 더욱 안정된다.
11. 劫財가 財를 위협하는 구도라면 구제의 神은 偏官(七殺)이 된다.
財格
正財와 偏財는 順逆의 원리상 同一하므로 財格으로 통칭한다.
財格은 順用의 格局이므로 身弱하면 좋지 않다.
身强한 財格은 財星을 用神으로 삼고 正官을 喜神으로 삼는다.
身弱한 財格은 印星을 用神으로 삼으면 .上格이고 比劫을 用神으로 삼으면
하격이 된다. 印星을 用神으로 삼을 때는 반드시 財는 앞에 있고 印은 뒤에
있어야 한다. 앞뒤란 年月日時의 순서를 말한다.
동일한 주에서는 天干은 앞이고 地支는 뒤다.
財格에서 天干에 比肩, 劫財, 地支에 羊刃이 있는 것이 좋지 않다.
이럴 경우 食神이나 傷官이 天干에 있거나 地支가 三合하거나 三會하면
比劫 羊刃이 食傷을 生하고 食傷이 財를 生하여 통관이 되므로 그 폐단이
해소된다.
또한 四柱에 正官이나 偏官이 있으면 官殺이 比劫을 剋하여 財를 剋하지
못하게 막아 준다. 그러므로 財格에 比劫이 기신이 되지만 사주에 식상 또는
官殺이 있으면 파격이 변해 성격이 된다.
財多身弱에는 比劫祿印을 쓰나 상격은 못된다.
財星이 日干과 合이 되면 좋다.
그러나 다른 天干 또는 地支와 合하면 財格은 파격이 되어 구제할 방법이 없다.
이럴 때는 다른 天干이나 地支에 合하지 않은 또 다른 財가 있어야 한다.
어떤 格局이고 格局을 이루는 五行의 地支가 刑沖이 되면 파격이 된다.
이때는 六合이나 三合으로 刑沖을 해소하면 다시 성격이 된다.
偏財
1. 無情의 剋, 偏財는 따져보면 제 것이 아니다.
`有情의 剋`이 剋하면서 일체가 된다면 `無情의 剋`은 일체성이
없으므로 내 것이 되지 않는다는 이치다.
2. 타인의 財, 세상에 유통되는 財를 희롱하는 요령이 뛰어나다.
3. 正財는 생각이나 기획으로 얼마든지 늘릴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偏財는
그게 가능하므로 잘되면 巨富요, 안 되면 큰 빛에 시달리거나 자금유동성 위기에 몰린다.
4. 行動은 財로 나타나니 偏財가 있으면 活動的, 쾌활, 놀기 좋아하고,
교제나 유흥에 돈 안 아끼고 써야 할 것에 기분 좋게 쓴다.
생각은 印으로 나타나고, 行動은 財로 나타나니 부지런함과 게으름을
구분하는 기준은 간단하다.
5. 偏財의 생각은 원래 돈이 돌고 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財物에 담백하다.
財物에 집착하는 순간, 그것을 운용하기는 어려워진다는 특성이 있다.
6. 변론이 능하고, 도량도 있으며, 일도 잘 하는 편이다.
7. 財를 두텁게 하려면 食傷의 범퍼존이나 官을 끼고 있어야 한다.
官은 比劫의 爭財를 견제하므로 이를 官星護財라 한다.
8. 財星이 刑地에 봉하면 색정의 화가 미친다.
9. 財星混雜은 財에 대한 상반된 지배를 동시에 하려 하므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치거나 노력에 비해 성과가 없게 되는 수가 있다.
混雜은 부순의 의미로 통속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기에 印格에 일말의 장애를 수반하기도 한다.
10. 財星의 순하면 대성의 기상이 농후하고 財官 공히 순수하면 명리를
갖출 가능성이 높아진다. 財官印 모두 순수하면 안태함이 보증된다.
11. 正官의 범퍼존이 없으면 印을 극파하니 印格이 굴절되기도 한다. (貪財壞印)
傷官
1. 傷官은 한마디로 正官을 해친다는 뜻이다. 따라서 女命의 男便, 正業,
立身, 상속을 다스리는 正官의 성분에 불리한 작용을 한다.
2. 내 몸의 소모도 심하니 아프기도 하려니와, 남에게 득 되는 일 하며
자족함이 일단 상책이다. 그러므로 일단 신왕하고 볼 일이다.
무릇 相生의 관계는 陰陽이 같은 무정, 相剋의 관계는 陰陽이 다른
유정일 경우 무리가 따르지 않는 法이다.
3. 두뇌에 있어서야 食神을 능가하며, 머리 회전이 빠르기로는 제일이다.
4. 특히 辛壬, 甲丁의 관계는 學問, 文學, 哲學 方面의 재능이 출중하다.
5. 日柱에서 훔친 氣가 너무 강하니 지식, 식견을 숨겨 두지는 못하느니
알면 말하고 싶어지고 몰라도 아는 척하기 쉽다.
6. 자신을 적대시 하는 자, 반론을 제기하는 자. 용서가 안 되니
꺾으려 한다.
7. 일반적으로 반항적이자 스스로 억누를 수가 없으니 꼭 말해서 탈이
나고, 기분의 변화가 심하니 구제가 힘들다.
이 같이 길길이 날뛰는 傷官도 印綬와 財로만 잘 다스리면 선용하게
되니 의외의 발전을 보게 된다. (傷官傷盡)
8. 종종 부호의 딸과 결혼하는 유형에는 月支 傷官, 月干 財의 조합을
많이 본다.
9. 傷官과 偏官, 흉신의 干合은 吉하기만 할까. 밖으로 드러나는 지성의
예민함은 약해지리니. 다만 개인주의자로 자족하는 인생은 보내게 된다.
10. 偏印과 傷官의 干合, 또한 吉한 면이 있지만 제 멋대로의 기상은
피하기 어려우며 평생에 총대 매는 일은 없다.
이러한 점은 겁재의 경우도 마찬가지. 즉 흉신은 제압하여야지,
干合하게 되면 특별한 장점을 상실 당하게 된다.
傷官見官果難辨이라. 무조건 正官을 기피할 일이 아니다.
가령 劈甲印丁이나 金水傷官格의 火用는 어찌 설명할 것인가.
요는 다만 이 傷官과 官이 貼하는 것을 경계해야 하는데 있다.
12. 印綬로 傷官을 제어하면 傷官佩印이 되니 聰明, 藝術的, 창조적인
능력이 긍정적으로 표출된다.
傷官格
傷官格은 順用과 逆用을 병용하여 財가 있으면 傷官生財로 順用하며, 印綬로
제하면 傷官佩印의 逆用이 되고, 이에 사주에 官이 없으면 傷官傷盡이 되어 좋다.
이중 최선은 傷官佩印의 逆用이다. 이러한 법칙은 月支 傷官을 用하는 眞傷官의
경우에 한한다.
조후용신에 財가 해당되면서 傷官生財가 되면 上格이고, 調候用神에 印이
해당되면서 傷官佩印이 돼도 상격이다. 財를 쓰려면 신강해야 하고 印을
쓰는 것은 신약할 때다. 조후에 필요하면 傷官格이라도 正官을 써야 할 경우도
있다.
예컨대 겨울철에 생한 金日柱는 丙丁을 쓰는 것이 원칙이다. 丙丁은 官殺이지만
조후의 필요에 의해 金水傷官格은 丙丁을 으뜸가는 用神으로 삼는다.
이제 傷官格의 응용법칙을 설명한다.
調候法과 관련한 子平眞詮의 해석법은 다소 허술하다.
이 점은 行運法의 우선 원칙에 의해 이해해야 한다. 조후용신은 體(命式)의
고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되며 行運法에서는 대운에 국한하여 쓰이는 法이다.
歲運의 성패하면 응당 扶抑法에 의해 응용함이 마땅하다.
沈孝瞻이 ‘傷官格은 特히 調候用神을 중요시한다’고 설파한 대목은 용신법의
역할이나 우선 순위에 대한 지식체계나 원칙이 불분명하였음에 기인하는 것이다.
地支가 三合 또는 三會하여 傷官局을 이루었을 때 주의해야 할 바가 있다.
月支가 食傷의 墓庫이면 대흉하다. 예컨대 庚辛日이 辰月에 出生하고 申子辰水局을
이루어 傷官格이 되었을 때 辰은 壬癸의 墓庫이므로 큰 인물이 못된다.
三合하여 七殺格과 傷官格이 되면서 月支가 七殺이나 傷官의 庫가 되면 흉하다.
`Warming-up`의 단계에서 이미 인지할 수 있듯, 墓庫의 글자는 동시에
白虎의 글자가 되거나, 아니면 沖하는 글자가 白虎에 해당하여 흉사를 예고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점은 會合局으로 成格되는 격국 자체의 미비함과는 무관한 대목이다.
子平書에 이르길, 正財와 印綬의 상극구도, 음란 賤婦의 대표적
유형으로 꼽지 않았던가.
11. 偏財에 偏官을 갖추면 강렬한 개성의 소유자가 된다. 정복욕이 강하고
한번 운기를 타면 대발한다. 이때 殺의 위력이 극대화되면 폭력성,
방탕, 변태적 성욕으로 나아갈 잠재력이 있다.
情이 두텁다면 이는 財星에 기인함이다. 반면 印은 지성과 이성에 의해
조율되므로 자칫 냉정한 면모를 보이기 십상이다. 그러나 印은 보다 깊은
정인 자애를 상정하는 성분이 되기도 하므로 財克印의 구조는 너그러움은
사라지고 복잡다면, 갈팡질팡하는 성격으로 흐르기 쉽다.
食神
1. 食神은 누기, 傷官은 도기라 하여 그 느낌이 사뭇 다르다.
2. 食神은 표 나지 않게 내 몸의 힘을 빼서 더구나 殺을 제압하기 까지 하니 오히려 나를 살리는 吉星이 된다.
자신의 힘을 빼서 자신을 剋하는 성분을 견제하는 논리는 매우 중요하다.
이른바攻擊은 最善의 방어(Attack is the best of defense)’라는 논리와 흡사하다.
3. 별로 힘쓰지 않고 財를 수중에 넣는다는 암시니 일이 놀이가 되고 취미가 직업이 된다.
4. 왜 衣食住의 神이라 하는가. 하고싶은 것을 해도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다는 뜻이다.
5. 食神의 성분이 강하면 무슨 일이든 제 식대로 이해하고 행동하므로 민폐를 끼치는지를 모르는 게 문제다.
比食으로만 이루어진 명식의 주위에는 반드시 이 사람에게 휘둘려
피해를 입는 사람이 있으니 범퍼존 財가 필요하다.
6. 한쪽으로 치우친, 남의 말에 쉬 귀를 기울이지 않는, 부당한 人格이 되기도 하니 操心할 일이다.
7. `잘못은 내가 아니다`, `예전에 내가 해 준 게 얼만데..` 식의 공치사를 잘하는 편. 또한 남의 일에 참견하는 습성이 강하다.
8. 八字에 財星이 없으면 헛수고 하고 보수를 받지 못하는 格이며 지적, 인격적으로 미숙함이 증가된다.
9. 月柱 食神, 正財면 正道, 正業으로 발전한다.
10. 月柱 食神, 偏財면 파격적인 면모가 있으며 낙천적으로 正道, 편법 양수겸장을 치게 된다.
11. 食神 正官의 干合은 吉星 간의 干合으로 무슨 일이든 철저하지
못하고 미적지근하니 답답한 인생이 된다.
12. 印綬와 食神의 干合, 또한 좋을 리 만무하며 食神의 길의를 무력화 시킨다.
食神에 印綬는 천적, 偏印은 용서할 수 없는 적이 되니 서로 붙어 있으면
좋지 않은 모양새가 되어 이 食神에는 印綬도 偏印도 부정적인 의미상 별반 차이가
없다. 이와 같이 格局用神이 주도권을 잡지 못하게 되는 상황은 운명을 개척하는
힘이 떨어짐을 암시한다.
食神格
食神格은 順用의 格局으로 간접적인 격국인 바, 반드시 財가 있어야 妙用을
발휘한다. 반면 財와 七殺이 모두 있으면 파격이 된다. 食神格은 偏印, 合,
刑沖, 신약이 되면 파격이다.
食神은 福祿과 수명을 암시하는데 偏印에 의해 극을 받으면 복록과 수명이
감소되고 공명을 얻기 힘들다. 그러나 偏財가 있으면 다시 성격이 된다.
食神格은 印星生比劫, 比劫生食傷의 통관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比劫으로 印星과 食神의 사이를 통관시키지 않고 오직 財星으로
印星을 극하여 成格시키는 방법을 쓴다.
食神格은 財를 쓰는 것이 원칙이며 正官과 正印을 用神으로 삼지 않는 것이
통례이다. 왜냐하면 陽日干은 正官과 食神이 合하고 陰日干은 食神과 正印이
合하기 때문이다. 食神格은 官印을 병용하지 못한다.
食神格이 刑沖되면 박복하고 몸이 약하게 된다. 女子가 食神이 時支와 刑沖되면
자식에게 불리하다. 合으로 해소하면 다시 成格이 된다.
食神格이 신약하면 印星으로 일간을 돕지 않고 比劫祿印으로 방조하는 것이 원칙
이다. 食傷格만은 比劫이 있어도 財를 극한다고 하지 않는다. 比劫生食傷,
食傷生財가 되기 때문이다. 食神과 傷官이 겹치면 傷官格으로 판단한다.
地支가 三合하거나 三會한 것이 食傷이라면 傷官格으로 본다.
劫財
1. 陰陽이 결합하면 에너지가 더 강해지므로, 훨씬 강렬한 개성의 소유자가 된다. 陽干 日柱의 劫財가 陰干 일주에 비해 길흉, 선악이 더 뚜렷한 개성을 지닌다.
2. 身强命(强旺格)이 劫財를 用하면 강인하고, 추진력이 있으며 쉽게
굴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 전념하게 된다.
3. 身弱命이 劫財를 用하면 `강탈의 神이 되어 남의 것을 빼앗기 위해
잔머리를 굴리게 되니 배신을 일삼기도 하므로 조심할 일이다.
4. 財에 대한 욕구의 강렬함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도박이나 투기성 상품에 손을 대지 않고 견디기 어렵다.
사람이 빵만으로 사는 것은 아니지만, 빵이 없으면 굶어 죽게 되니
이에 더욱 몰두하는 게 ‘劫財’라는 성분이다.
5. 빈곤, 빚 독촉, 부정한 수단에 의한 금전적 획득 이런 것들은 다 劫財와 연관되니. 한마디로 財와의 건전한 관계를 유지하는 데 신경을 쓰는 것이 관건이다.
6. 食神의 범퍼존이 있다면 지배욕이 건전한 육성욕이 되어 겁재의 흉성은해소된다. 傷官星의 경우 또한 유사하지만 이기적인 성향이 강하다.
7. 財를 영양과 五體로 보는 관점이라면 육체가 힘을 잃는 이치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壽와 관련이 깊은 성분이다.
8. 財에 대한 지배가 과잉되면 妻子를 해치니 이별을 면키 어려우며, 성욕의 컨트롤이 쉽지 않고 변태적 성욕의 소유자가 되기도 한다.
9. 陽日干의 偏官, 陰日干의 偏財가 劫財와 合하면 흉의는 사라지고 財는 살아나지만 이런 것들이 풀릴 때를 조심해야 한다.
10. 比劫星이 많다면 比劫運에 돈에 구애를 당할 암시가 증대된다.
11. 명식에 財星이 없다면 財星運에 群劫爭財가 된다.
12. 食傷星의 범퍼존이 없거나 强한 印星이 범퍼존을 무력하게 하면 財를 얻기 위한 합당한 절차를 밟지 않으므로 부정이 발생하기 십상이다.
13. 비록 官의 逆用은 아름다우나 입신, 야심의 실현에 힘을 발휘해야 할 본래의 힘이 자신을 다스리는데 다 쓰여 진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있다.
가령 劫財와 偏官이 干合되면 그저 자족하는 수준에서 머물러 독자적
세계를 구축하고 자족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14. 印이 劫을 生하면 욕망이 몹시 심해지며 자제심을 잃는 수도 생긴다.
逆用의 격국은 순용하면 하격이 된다는 이치다.
15. 食傷의 범퍼존이 없는 겁재는 자신의 힘을 과시하기 십상이다. 印星만 있다면 발전운에 기이하게 크지만, 반드시 함정에 빠지게 된다.
요컨대 吉凶, 선악의 낙차나 진폭이 몹시 크다면 이런 경우를 두고 말함이다.
羊刃格
古書에 이르되, "劫財 羊刃은 時에 있는 것이 가장 나쁘고 歲運과 大運이
함께 오면 재앙이 도래한다. 羊刃이 있고 七殺이 있으면 大貴하니 과거에
合格하고 羊刃이 七殺을 만나면 타향에서 이름을 떨친다.
地支의 羊刃 위에 官殺이 있고 時와 月에 官殺이 중첩하면 반드시 발전한다.
羊刃이 서너 個이면 반드시 질병이 있거나 눈이 멀고 印星이 겹치면 刑罰을
받거나 질병을 앓는다. 羊刃이 沖하거나 合하는 流年에는 재앙이 있다." 하였다.
七殺을 감당하는 것 외에 羊刃은 쓸모가 없다.
그러므로 一但 羊刃格이 되었으면 四柱에 七殺이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七殺이 없으면 3개의 正官이 있어도 좋다. 羊刃格에 官殺이 없으면 財가 있는지
살펴야 하는데 食傷이 있어 羊刃生食傷, 食傷生財가 되어야 한다.
이것마저 없으면 食傷으로 설기하는 것을 用神으로 삼지만 격은 떨어진다.
羊刃이 있을 때 가장 주의할 점은 大運이나 流年에서 日沖日合하는 것이니,
심하면 죽고 경하면 질병을 앓거나 재산이 소멸된다.
가령 甲日 卯月의 羊刃이라면 己酉運이나, 庚戌運에 日沖日合이 해당된다.
庚日 酉月의 羊刃이라면 乙卯運이나, 丙辰運에 日沖日合이 된다.
위 두 가지 예에 근거하여 甲庚의 羊刃을 두고 眞羊刃이라 한다.
比肩
1. 比肩이 喜神이면 동료간 형제간 서로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결속하는
힘이 더 강해질 것이나, 忌神으로 작용하면 골육상잔의 비극을 일으키기도
하는 위험한 성분이 된다.
종래 比肩과 劫財로 格을 이루지 않는다는 것은 이 六神을 중심으로 먼저
통변을 전개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는 뜻이다.
2. 陽干의 比肩은 前進이요, 남에게 의지하기 싫어하니 독립심이 왕성한 것이다.
3. 陰干의 比肩은 겉으로 온화하지만 내면은 강하고 집요하다.
4. 自我가 강하니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 바는 굽히지 않을뿐더러 남의 이야기를 잘 듣지 않는다.
5. 결혼은 쉽겠는가. 독신 생활이 계속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6. 比肩은 특히 財星을 破剋시키니 결혼한들 妻宮에 장애가 따르지 않겠는가. 女子라면 生官하는 財의 성분이 파괴되니 남편의 능력 발휘가 어렵다.
이러니 比劫星이 많은 여자 남편을 극하고 해친다는 극언이 나오기 시작하는 것이다.
7. 群劫爭財는 거개 골육상잔의 비극을 암시하는 것이다.
8. 比肩이 喜神이면 대체로 이를 順用함을 기뻐하고,
比肩이 忌神이면 逆用함이 좋다.
9. 욕망이 강렬하여 무리한다면 比肩은 허약한데 식상성이 왕성한
경우. 비도덕적인 수단을 강구하여 뜻을 이루려 하니 재앙을 초래하게 된다.
10. 比肩의 어머니는 印綬. 印綬는 다 주기 때문이다. 印綬와 合을 이루는 偏財는 아버지가 된다.
11. 比肩이 偏財를 剋할 때 아버지가 고통을 겪는 것이다. 일찍 世上을 뜨거나 이산가족이 된다.
12. 身强財强이 富命의 전형이며 범퍼존 食傷이 있으면 대길해진다.
범퍼존(bumper zone)이란 대립하는 오행의 구도를 생화시키는 오행의 글자로
흉신의 글자가 강한 세력으로 존재하더라도 그 흉의를 반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관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가령 官殺混雜命이라도 범퍼존 印星이 있다면 남성의 출입이 심한들 악연이
아닌 한, 이성운이 좋은 씩씩한 여걸이 된다.
13. 陰干의 比肩은 二陰一陽(투합.두여자에 한남자)을 피할 도리가 없으므로, 자매나 친구들이 서로 다투며, 남편의 바람기, 불안정한 부부 관계 등으로 나타난다.
14. 男子에게 二陰一陽은 한마디로 자리를 두고 다투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古書에 이르길 투합에 의해 손에 넣은 것을 부정하다 했으니, 결국 파란이
수반되기 십상이다. 獵官이 좋을 리 만무하며 심지어 도둑질까지 행할 수
있으니 주의하고 입신과 관련한 유혹에 조심해야 한다.
16. 印星이 많으면 어머니가 여럿이란 뜻이니 진로, 발전을 의미하는 식신을 타격하여 발달, 개운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17. 强旺格이면 응당 財星運이 가장 두렵다.
官印運의 行運氣는 `겸손`이 핵심이며, 食財運의 行運氣는 승부를 걸어야 한다.
18. 초대운론(初大運論)
初大運이 本人命 太歲와 五年以內면 곧 配星이다.
初大運이 配星이면 그 天干 또는 地支까지 配星으로 삼는다.
初大運이 用神이면 그 天干 또는 그 地支를 쫓아 配星이 된다.
19. 입태(入胎)
胎宮이 十二神殺, 天乙貴人, 空亡, 三合, 用神, 合局등을 考慮하여 適用할 것.
胎宮이 配星用神이면 그대로 定配로 한다.
入胎月은 先天的인 運命이 決定되므로 淸純, 混濁, 補助, 刑,沖,破,害 等을 暗示한다.
入胎月의 納音五行이 吉神이 相生하고 天德貴人, 月德貴人, 天乙貴人 등에 該當하면
어렸을 때 父母陰德이 많고 家庭環境이 좋으며 平生安樂하다.
柱中 喜神, 用神이 弱하여 用神으로 쓸 수 없거나 用神이 四柱中에 없으면
入胎月로서 用神한다.
入胎月이 四柱와 刑,沖,破,害)가 겹치면 出産 當時 災害가 많이 發生하고 어려움이 많다.
入胎月이 年,月과 刑,沖,破,害되면 父母와 早別하고 일찍 離鄕하고 兄弟와 離別한다.
入胎月이 日,時와 刑,沖,破,害)되면 妻子宮이 不美하고 老年이 不吉하다.
入胎月이 空亡이면 先天的으로 六親 및 每事에 結實이 없으며 空亡中에서도 入胎月이
空亡됨을 가장 싫어하니 百事가 不成이다.
入胎月이 陽刃이고 命局과 刑,沖,破,害되면 災殃이 많이 發生하고 不良兒가 되거나
그 家庭이 大破한다.
入胎月이 陽刃이고 刑,沖되면 不良兒가 아니면 父母가 惡死하거나 또는 凶惡하게 되고
萬若 制剋되거나 合去되면 謀免할 수 있다.
入胎月이 日時와 三合이면 男女 공히 一夫一妻 百年偕老 못 한다.
入胎月이 命局을 刑,沖,破,害하거나 陽刃月이면 先天的인 不具者가 많다.
入胎月이 命局과 三合되어 吉神이 되고 化神이 天德貴人, 月德貴人, 吉神이면
四方 有德하고 富貴兼全한다.
入胎月이 日柱의 祿地이면 良家에서 出生하고 父母의 陰德이 至大하게 많다.
入胎月이 陽刃이면 祖上의 基盤을 破하게 하고 亂暴, 殺生, 刑獄살이를 하게된다.
入胎月이 天乙貴人이고 祿地요 吉神이면 매우 吉하여 幸福하게 成長한다.
入胎月이 建祿이 되고 刑,沖,破,害가 없으면 良家의 出生者이다.
入胎月이 空亡이면 貧賤한 家庭 또는 不幸한 事件이 많이 發生한다.
入胎月이 生時와 合을 이루면 正常的으로 出生하고 七沖이면 正常的인
出産日 以前에 出生한다.
入胎月을 定하는 法은 生月柱 卽 月柱를 基準하여 算出하는데 生月柱를 逆順으로
세어 보면 妊娠月이 나오는데 姙娠後 10個月만에 出産하기 때문에 正常的인 出産이면
280日~285日만에 出産한다.
* 算出하는 方法은 月柱의 月干에서 月干 다음 이며 月支는 4번째가 入胎月이 된다.
卽 例를 들면
壬子月生이면 癸卯月에 妊娠하였으므로 癸卯月이 入胎月이 되고
癸亥月生이면 甲寅月이 入胎月이 된다.
甲寅月生이면 乙巳月이 入胎月이 되고
丙午月生이면 丁酉月이 入胎月이 된다.
20. 其他事項
年支 月支와 沖되거나 元嗔殺이 되는 因緣을 많이 만난다.
日支와 三合, 六合 또는 沖 元嗔殺이 되는 因緣을 많이 만난다.
本人의 太歲와 가까운 因緣을 選擇하라.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신살 육해살 六害殺 (0) | 2022.07.31 |
---|---|
천간합 오운천문도 천상열차분야지도 (0) | 2022.07.03 |
왕상사수휴 오행의 강약 (0) | 2022.07.02 |
정선명리학강론 /명리학책 (0) | 2022.06.17 |
십이운성 十二運星 胞胎法정리 (0) | 2022.05.16 |
위치에 따른 비견겁재 (0) | 2022.03.27 |
위치에 따른 상관 (0) | 2022.03.26 |
사주기본 - 육신정리 (0) | 2021.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