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고전풍수

조선의 왕릉 Royal Palace of Korea

이지 easy 2021. 9. 17. 15:39
반응형

조선의 왕릉의 제작 방식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자료화한 것이 있어서 첨부합니다. 

 

https://youtu.be/pS-yBIEQ-Mk

 

治葬開塋域祠后土穿擴(深十尺廣二十九尺長二十五尺五寸), 開南 面爲羨道作石室加蓋石排地臺石, (初地臺石二十四, 正地大石十二), 隅石, 面石, 滿石, 引石(各十二)蓋石內畫天形. 四房石, 書青龍, 白 虎, 玄武, 朱雀作銷閉門扉石門倚石外作便房. 地臺石外置欄干(欄干十 二面, 周四百八十三尺, 下地臺石外, 支石, 隅石, 石柱, 童子石柱各十 二 立石柱童子石柱 橫置竹石(二十四). 線以墙. 設石羊(), 石虎 (), 石床(), 石望柱(), 長明燈(), 文武石人(各二), 石馬(). 營丁字閣, 碑閣置參奉, 守陵, 軍戶(五禮儀)

 

치장. 사당 뒤 흙에 광을 판다(깊이 십척, 동서 폭 이십구 척,, 남북 길이 이십오 척 오촌) 남면을 열어 연도를 삼아 석실을 만든다. 가개석. 배지대석, (초지대석 24, 초지대석 정지대석12), 우석, 면석, 만석, 인석(각각 12) 개석 안화 천형, 사방석, 서청룡, 백호, 현무, 주작. 작매폐문비석문외작편방. 지대석외치란간(난간십이면, 목요일 팔십삼척, 하지대석외, 지석, 우석, 석주, 동자석주 각 십이립석주동자석주횡치죽석(24). 선이벽. 석양(4), 석호(4), 석상(1), 석망주(2), 장명등(1), 문무석인(2), 석마(2). 영정자각, 비각. 참봉·수릉·군인. (「5례의」)

 

왕족은 여기에 준해 규모를 작게 하고 신하는 품계에 따라 구조를 만든다.

분묘의 형식은 두 가지가 있다. 고려 왕릉처럼 돌을 쌓아 단을 만들고 돌계단을 만들어 상단에 봉분을 얹는 것과, 조선 왕릉은 계단을 만들지 않고 경사를 형성하는 토단의 상부에 봉분을 얹는다.

『5례의』는 吉, , , , 의 5례를 참작하여 제정하였다. 보통의 곽은 분내에 석회, 황토, 가는 모래인 삼합토로 만든다. 합성 방법은 석회 60%, 황토 20%, 가는 모래 20%를 반죽하여 구운 것이다. 곽내에 넣는 물건은 작은 마차, 종복, 시녀 기타 봉양할 물건을 만들며, 4품 이상은 30, 5품 이하는 20, 서민은 15개를 사용하였다. 奠餘(상여)의 포를 쌓은 것, 5개의 대그릇에 오곡을 쌓고, 3개의 술잔에 술과 육장을 담은 것, 침실의 장막, 자리, 의자, 탁자, 신발, , 두건 등을 작게 만든 것을 넣는 것이다.

왕릉의 분묘에 넣는 것은 『분중잡물감정윤음』에 나와 있다.

 

從者, 木造, 奴婢, , 歌人人形.

衣冠, 圭晃, 上衣, 下裳, 大帶, 中單, 方心, 佩玉, , 蔽膝, 紅 襪, 赤鳥

磁器, 飯鉢一, 匙碟一 爵一, 重一, 盖一, 香爐一

瓦器, 釜一, 鼎一, 無一

竹器, 管八, 幕八, 篷十二(後六), , , 麻子, , 小豆, .

木器, 豆十二(後六), 香盒一

樂器, 銅鍾一, 磁馨一(), 瓦盒一, 第一, 琴一, 瑟一, 笙 一, 蕭一, 鼓一, (), 祝一, 歌一

役器, 于一, 甲一, 胃一, 形弓一, 形矢八, 管一

粧器, 螺鈕, 梳函, 匣鏡之類

用器, 土藤箱, 唾盂, 洩器之類.

飲器, 酒樽, 酒蓋之類

 

경국대전에는 관과 곽의 색칠에 관해서 규정하고 있다. 대군, 왕자, 공주, 옹주의 경우는 관에 옻을, 곽에는 역청(송진에 기름을 발라 이겨 만든 도료)을 이용하며, 그 외의 사람들은 모두 역청을 쓰도록 하였다.

 

신분에 따라 묘의 규모와 방식 부장품의 수 등에서 제한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반응형

'풍수지리 > 고전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 용어  (0) 2021.10.29
감룡경撼龍經 원문 양균송 사고전서 판본  (0) 2021.10.16
조선시대의 지리서  (0) 2021.10.16
사고전서  (0) 2021.10.12
청오경 靑烏經 원문 해석  (0) 2021.09.11
조선 지리 4대 고시 과목  (0) 2021.09.11
택리지 사람이 살기 좋은곳의 특징  (0) 2021.09.09
사신사 四神砂  (0) 2021.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