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새만금 잼버리 지역 분석

이지 easy 2023. 8. 12. 02:10
반응형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대회가 여러 악재 끝에 끝났습니다.  말로만 들었고 가보지는 못했지만 지도상으로 한번 어떤 곳인가 찾아 보았습니다. 91년에도 강원도에서 잼버리가 열렸었다고 합니다. 그냥 조용히 끝나서 그런게 있었는지도 몰랐습니다. 

전라북도

네이버 지도에서 전라북도 서해안에 위치해 있는 곳입니다. 위로는 군산 아래는 변산반도 국립공원도 있네요. 오른쪽으로는 모악산과 김제시가 있습니다. 지도에서 고군산군도라고 쓰인 곳이 새만금 방조제 입니다. 이렇게 이슈가 될 때 한 번 찾아 봅니다. 

 

 

부안군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부안군입니다. 변산반도 국립공원은 오래 전에 가보았는데 역시 국립공원이라 그런지 매우 아름답고 청정한 경치가 일품이었습니다. 이번 잼버리가 열린 곳은 하서면 입니다. 변산반도 북쪽 해안 입니다.

 

 

하서면

변산의 북쪽입니다. 바둑판 처럼 칸막이가 되어 있는 곳이 이번에 잼버리가 열린 곳입니다.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조감도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사이트에서 가져온 사진입니다. 매우 넓은 장소입니다. 이 조감도처럼 잘 조성되었다면 정말 좋았을 것 같네요. 

 

 

해수면 0m

등고선 지도에서 확인한 잼버리 장소의 고도 입니다. 해수면과 동일한 0m로 뜨네요. 아래 보이는 백련리의 산이 150m쯤 되어 보입니다. 굵은 등고선이 50m 마다 있습니다.

 

잼버리가 열리는 기간이 8월 1일~ 8월 12일인데  음력으로는 6월 15일 유두절 부터 6월 26일까지 입니다. 보름에는 해수면이 높아 지는기간이라 물빠짐도 더 안되었을것 같습니다. 

 

애초에 바닷가 갯벌에 기획을 한 자체가 문제 였던것 같습니다. 저 넓은 곳을 다 숲으로 조성을 하는 것는 너무나 낭비 같습니다. 갯벌이 가진 천문학적인 가치가 더 큰데 말이죠. 

 

갯벌은 예전부터 사람이 살지 못하는 곳이고요. 그 이유는 바닷가라서 짠 바람이 많이 불어오고 물이 들어찼다가 빠지곤 하는 곳이죠. 남기라고 해서 짠 기운으로 건강에 해롭다고 합니다. 지금도 물빠짐이 일어나지 않고 있지요.  갯벌이 가진 자정능력을 살리는 것이 지구적 환경보호에 더 크게 기여를 할 수 있는 일이고요. 갯벌은 지구의 허파라고 불리며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 처리를 하는 곳이라고 하지요. 

그런 소중한 장소를 땅으로 메워서 갯벌도 아닌 땅도 아닌 어정쩡한 곳으로 만드는데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갔습니다.

붉은색 부분이 잼버리가 열린 장소

네이버 지도에서 지도를 더 축소 했더니 새만금 갯벌이 아예 바다로 표시됩니다. 원래 바다라는 것이죠. 

굳이 저 곳을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여가면서 메워야 했을 까요? 

 

그 돈을 다른 곳에 투자를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큽니다. 

완전히 실패한 프로젝트라고 생각됩니다. 자연도 파괴하고 돈은 돈대로 들고 활용도 못하고요. 

다시는 이런 프로젝트가 시도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됩니다. 

 

저 곳 자체는 땅이 아닌 그냥 바다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마도 밀물 썰물 때문에 방조제 정도로는 땅이 조성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할 수 있었다면 벌써 끝났겠죠. 벌써 시작한지 30년도 넘은 것으로 아는데요. 언제까지 여기에 투자를 계속 해야 하나요? 인구도 줄어들어서 이미 사람들이 살지 않는 곳이 넘쳐 나고 있습니다. 사업 시작할 때와 시대가 많이 바뀌었는데요. 면적을 줄이고 거점부분만 집중 투자를 해서 마무리를 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갯벌은 모래바닥이라 기반암이 없어서 기초 공사에도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가며 지금 지구 온난화로 바다가 높아져서 서해쪽은 모두 바다가 된다는 말도 있는데 너무나 시대착오적인 프로젝트 인것 같습니다.  

이런쪽에는 관심이 없어서 신경을 쓰지 않고 살아 왔는데 진짜 세금이라고 막 이렇게 해도 되나요? 

 

이번에 세금 700억으로 해외여행 99번 다녀왔다는 공무원들 정말 처벌 받길 바랍니다.

 

 

아래는 새만금 간척사업에 관한 위키백과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새만금 간척 사업(새萬金干拓事業)은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군산시 비응도동부터 고군산군도의 신시도를 거쳐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까지 총 33.9 km에 이르는 새만금 방조제를 건설하고 방조제 내측에 매립지(291km2)와 호소(118km2)등을 포함하여 총 409km2 면적(서울 면적의 2/3 규모)의 간척지를 조성하여, 이 권역을 글로벌 자유무역 중심지로 개발하는 대규모 국책 사업(총 사업비 22.2조원)이다. 
  • 1991년 사업 시작
  • 2010년 4월 27일 새만금 방조제가 완공
  • 현재 새만금 기본계획(MP)에 따라 6개 용도별(국제협력, 산업연구, 관광레저, 농생명, 배후도시, 환경생태 등) 용지개발이 추진되는 중
  • 새만금 신항만(총 18선석, 4.8km2) 및 남북․동서도로(총 43.57km) 등 기반시설 건설사업이 완공되었거나 진행 중
  • 정부는 새만금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새만금특별법」 제정(2007년 12월)
  • 새만금 사업을 전담하는 중앙행정기관인 「새만금개발청」(’13. 9 개청)
  • 공공기관인 「새만금개발공사」(‘18. 10 출범)를 설립

https://ko.wikipedia.org/wiki/%EC%83%88%EB%A7%8C%EA%B8%88_%EA%B0%84%EC%B2%99_%EC%82%AC%EC%97%85

 

새만금 간척 사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만금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방에 대해서는 새만금 방조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새만금 위성사진 2018년 새만금 간척 사업(새萬金干拓事業)은 대한민국 전

ko.wikipedia.org

 

반응형